메뉴 건너뛰기

경제ㆍ노무 : <17>동거주택 상속공제

편집자주

인생 황금기라는 40~50대 중년기지만, 크고 작은 고민도 적지 않은 시기다. 중년들의 고민을 직접 듣고, 전문가들이 실질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기본 상속공제는 10억 원까지
동거주택 상속공제 추가 6억
10년 동거 등 요건 충족해야
동거주택 상속공제 주의사항


Q:
50대 남성 A다. 부모님이 돌아가시면 현재 약 16억 원 상당의 아파트 한 채를 상속받는 상황이다. 그런데 “상속재산이 10억 원을 넘지 않으면 상속세가 발생하지 않는다”라는 말을 들었다. 그러면 나는 무조건 상속세를 내야 하나? 요즘 서울의 웬만한 아파트는 최소 10억이 넘지 않나?


A:
대표적인 상속공제는 △일괄공제와 △배우자 상속공제다.

먼저 일괄공제는 5억 원이다. 일괄공제 대신 기초공제 2억 원과 그 밖의 인적공제를 합한 금액을 적용할 수도 있지만, 그 밖의 인적공제가 3억 원을 넘기 매우 어렵고 현재 상태에서 추정하기 어려워 보통 ‘일괄공제 5억 원’을 적용한다.

배우자 상속공제는 배우자가 살아 있는 경우 적용하며, 최소 5억~최대 30억 원까지 공제된다. 그러므로 일괄공제(5억)와 배우자 상속공제(5억)까지 ‘최소 10억’을 공제받을 수 있다. A씨가 언급한 “재산이 10억 원이 넘지 않으면 상속세를 내지 않는다”는 보통 이 두 가지 공제를 의미한다.

따라서 A씨가 16억 원 아파트 한 채를 상속받으면, 배우자와 자녀가 상속인일 때 최소 10억 원까지는 상속공제를 받을 수 있고, 나머지 6억 원에 대해서는 상속세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같은 주택을 상속받더라도 상속세를 전혀 내지 않을 수도 있다. 바로 장기간 부모를 봉양한 자녀가 부모와 함께 살던 주택을 상속받는 경우다. 이 경우 ‘동거주택 상속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속세 부담을 크게 덜어주는 이 제도는 피상속인과 동거하던 주택 가격에서 최대 6억 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부모와 같이 살던 주택 가격이 5억 원이라면 5억 원 전액이 공제되고, 10억 원이라면 6억 원까지 공제된다.

따라서 일괄공제 5억 원, 배우자공제 5억 원을 포함해 동거주택 상속공제 조건까지 충족하면, 16억 원 상당의 주택을 물려받아도 상속세를 내지 않게 된다.

‘동거주택 상속공제’ 조건은?



그렇다면 동거주택 상속공제를 적용받기 위한 구체적인 조건은 무엇일까?

동거주택 상속공제는 요건이 상당히 까다롭다. 먼저 한 주택에서 피상속인과 함께 계속해서 동거한 기간이 10년 이상이어야 한다. 즉 부모님이 사망하기 전까지 최소 10년 이상 같은 집에서 모시고 살아야 공제받을 수 있다. 특히 상속인이 미성년자였던 기간은 동거 기간에서 제외된다.

둘째, 동거 기간 내 계속 '1세대 1주택'에 해당해야 한다. 단 이사나 혼인, 동거봉양을 위해 일시적으로 1세대 2주택이 된 경우에는 예외로 간주한다. 마지막으로 상속인은 상속개시일 당시 무주택자이어야 한다. (피상속인과 공동으로 1세대 1주택을 소유한 때에도 무주택으로 인정한다.) 이 세 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동거주택 상속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다.

이때 ‘동거는 최소 10년 중단 없이 계속 같이 거주해야’ 공제요건을 만족한다는 사실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5년 동안 같이 살다 분가한 뒤 다시 6년간 동거한 상태에서 주택을 상속받으면 ‘10년 동거요건’을 충족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다만 군대에 가거나(입영) 이직, 요양 등 특별한 사유로 동거하지 못했을 때는 예외적으로 ‘계속 동거'한 것으로 인정한다. 이때 ‘부득이 함께 살지 않은 기간’은 동거 기간을 계산할 때 제외된다.

주의할 점은?



그런데 부모님 가운데 한 분이 먼저 돌아가셔서 배우자와 자녀가 공동으로 상속을 받을 때가 있다. 예를 들어 아버지가 먼저 돌아가셔서 어머니와 자식이 공동으로 집을 상속받는 상황이다. 이 경우 2020년 세법 개정 전까지는 동거주택 상속공제를 인정하지 않아 논란이 컸다. 하지만 개정 이후 피상속인과 상속인이 공동 소유한 주택도 동거주택 상속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게 됐다.

다만 피상속인 소유지분에 대해서만 동거주택 상속공제가 적용된다. 예를 들어 어머니와 자식이 각각 50%씩 지분을 보유한 8억 원 상당의 주택을 어머니 사망으로 자식이 상속받을 때 동거주택 상속공제액은 최대치 6억 원이 아니라 어머니 지분인 4억 원만 공제된다. 자식의 지분은 상속 받은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또 피상속인이 이사 등의 사유로 ‘일시적 2주택’이 된 상태에서 사망하거나, 자녀가 유주택자와 결혼으로 인해 주택을 소유한 때도 1세대 1주택으로 간주하고 동거주택 상속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다.

당초 동거주택 상속공제는 피상속인의 직계비속(아들, 딸, 손자, 증손 등)만 받을 수 있었지만, 2022년 1월 1일부터 직계비속의 배우자도 요건만 갖춘다면 공제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동거봉양주택을 며느리나 사위가 소유하게 돼도 동거주택 상속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

마지막으로 피상속인의 배우자는 동거주택 상속공제 적용대상에서 제외된다는 사실에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피상속인이 △현금 △상가 △아파트를 남겼다면 배우자가 현금과 상가를, 아파트는 동거주택 상속공제 요건을 충족하는 자녀가 상속받는 것이 유리하다.



연관기사
• 병수발 땐 ‘엄마’라더니…'재산 상속은 안 된다'는 동거인 자녀들  [중·꺾·마+: 중년 꺾이지 않는 마음]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12409440004362)• 30년 만의 동창회... 성공한 내가 통 크게 한턱 내도 될까? [중·꺾·마+: 중년 꺾이지 않는 마음]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11609370001203)• '초등 의대반' 겨울 방학 선행학습,  우리 아이도 시켜야 하나? [중·꺾·마+: 중년 꺾이지 않는 마음]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10813130000489)• 이혼 대신 '졸혼' 선택했는데... 다른 여성 집에 들인 남편 [중·꺾·마+: 중년 꺾이지 않는 마음]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120609170002054)• 수능 망친 고3 아들의 '재수' 선언… 믿어야 하나, 말려야 하나?  [중·꺾·마+: 중년 꺾이지 않는 마음]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112714320004712)

최용규 택스코디·'스무살부터 배우는 절세법' 저자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050 이재명, 국힘 연설 방해에 “들어봅시다, 말씀하세요” [현장] 랭크뉴스 2025.02.10
45049 “대출 안나와서 전세 못들어가요”…아파트 임대차 10건 중 4건은 월세 랭크뉴스 2025.02.10
45048 "엄마와 연 끊겠다" 故서희원 전남편에…"또 연기하네" 비난 왜 랭크뉴스 2025.02.10
45047 [현장] 이재명, 국힘 연설 방해에 “들어줄 테니 계속 말해 보세요” 랭크뉴스 2025.02.10
45046 장교에 항공수당 주고 부사관엔 안 준 공군…인권위 "차별" 랭크뉴스 2025.02.10
45045 울산 온산공단서 탱크로리 폭발 …1명 부상·1명 소재 불명 랭크뉴스 2025.02.10
45044 "이준석은 제2의 윤석열"‥뉴스공장' 나온 허은아 '울분' 랭크뉴스 2025.02.10
45043 [속보] 울산서 유류 저장탱크 폭발…1명 의식불명·1명 부상 랭크뉴스 2025.02.10
45042 "눈에는 눈, 관세엔 관세"…트럼프 상호관세 타깃은 랭크뉴스 2025.02.10
45041 "채식주의 외치며 치킨 뜯는 격"…이재명 '우클릭' 때리는 與 랭크뉴스 2025.02.10
45040 '文 대변인' 선·후배 간 충돌‥"망하는 길" 발언에 후폭풍 랭크뉴스 2025.02.10
45039 "나도 집회 나가고 싶은데!"‥'저렇게 될라' 걱정한 홍준표? 랭크뉴스 2025.02.10
45038 울산 온산읍 공장 유류탱크 폭발…1명 부상·1명 소재 불명 랭크뉴스 2025.02.10
45037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 취임 “계엄 연루 논란 국회서 말씀드릴 것” 랭크뉴스 2025.02.10
45036 2년 연속 대규모 ‘세수 결손’…지난해 30조8천억원 부족 랭크뉴스 2025.02.10
45035 [속보] 온산공단서 탱크로리 폭발…1명 부상·1명 소재 불명 랭크뉴스 2025.02.10
45034 '서부지법 폭동' 피의자들 "서울중앙지법이 맡아달라" 신청했지만 기각 랭크뉴스 2025.02.10
45033 [속보] 당정 "방산 분야 우수 중기 지원…업체당 2년간 최대 50억 원" 랭크뉴스 2025.02.10
45032 중국은 왜 우원식 국회의장을 ‘눈에 띄게’ 환대했나 랭크뉴스 2025.02.10
45031 전광훈 향하는 ‘서부지법 사태’ 배후 수사···경찰, 특임전도사 2명 조사 랭크뉴스 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