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일 제주 해상 이어 9일 여수 해상서 어선 침몰
4명 사망·6명 실종…‘정부 안전대책 무색’ 지적
9일 오전 전남 여수시 하백도 인근 해상에서 승선원 14명이 탑승한 대형 트롤 어선이 침몰해 여수해경이 구명 뗏목에 대기 중인 승선원을 구조하고 있다. (여수해양경찰서 제공) 연합뉴스

9일 전남 여수 해상에서 14명이 승선한 139톤급 대형 선박 제22서경호가 침몰해 4명이 사망했고, 6명은 실종 상태다. 지난 1일 제주 인근 해상 어선사고가 발생한 지 열흘도 지나지 않아 또다시 어선사고로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지난해 해양수산부가 내놓았던 어선사고 안전대책이 무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부산선적 어선 침몰

여수해경 설명을 종합하면, 이날 새벽 1시40분께 전남 여수시 하백도 동쪽 약 17㎞ 해상에서 139톤급 저인망 어선인 트롤 선박 제22서경호가 연락이 끊겼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당국은 해상·수중 수색에 나섰다.

사고 당시 배에는 한국인 선원 8명과 외국인 선원 6명 등 모두 14명이 타고 있었다. 승선원 14명 중 8명이 구조됐는데, 이 가운데 4명은 생존했고, 4명은 사망했다. 6명은 실종됐다.

구조된 외국인 선원은 “항해 중 바람과 파도에 선체가 전복됐다”고 해경에 진술했다. 해경은 경비함정 19척과 항공기 13대, 유관기관 선박 7척, 민간어선 15척 등을 동원해 수색하고 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가용 장비와 인력을 총동원해 최우선으로 인명을 구조하고 실종자 파악에도 최선을 다해 달라”고 지시했다.

어선 사고 증가

여수 해상 어선 전복 사고는 지난 1일 제주 인근 해상에서 발생한 어선 사고로 3명이 숨지고 1명이 실종된 지 열흘도 되지 않아 발생했다.

해양수산부 조사를 보면, 어선 전복·침몰·충돌·안전사고 등으로 인한 사망·실종자 수는 2023년 78명에서 지난해 119명으로 41명(52%)이나 증가했다. 이는 2014년 이후 가장 많은 수치이자, 2017년 이후 7년 만의 세자릿수 사망·실종자 기록이다. 어선 사고는 해마다 2천건 정도 발생한다. 어선 사고 사망·실종자는 2020년 99명에서 3년 연속 감소했다가 지난해 급증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지난해 3월에는 어선 사고 5건이 발생하면서 18명의 인명피해(사망 11·실종 7)가 발생했다. 이에 해수부는 맞춤형 어선 안전 관리로 전복·침몰 사고를 예방하겠다면서 지난해 5월 ‘어선 안전관리 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강도형 장관은 당시 “어업인이 안전한 환경에서 마음 놓고 생업에 임할 수 있도록 이번 대책을 실효성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지난해 11월8일 제주 해상에서 135금성호 승선원 27명 중 5명이 숨지고 9명이 실종되는 등 어선 사고가 가파르고 늘었다.

9일 새벽 전남 여수시 하백도 인근 해상에서 침몰한 139톤 대형 트롤 어선 제22서경호 모습. 연합뉴스

이상기온 등 영향

어선 사고 증가의 원인으로 이상기후와 인적 과실 등을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최근 풍랑 특보 발표 현황을 보면, 2022년 734건에서 2023년 804건, 2024년 10월 기준 734건으로 2022년 전체 건수를 넘었다. 박재화 해양경찰청 구조안전국장은 “일단 갑작스러운 돌풍 등 이상 기온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위험물 적재 불량과 무리한 조업, 인적 과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풍랑주의보 발효에도 선단을 구성할 경우 출항과 조업이 가능해 사고 예방 한계가 있다는 점도 문제다. 선단은 15톤 이상(2척 이상), 어선 간 9.66㎞(6마일) 이내 거리를 유지하며 운항하는 경우를 말한다. 포항해양경찰서 한 관계자는 “어민들의 생계가 걸려있는 부분이다 보니, 기름을 들여 조업 장소까지 간 어선이 조업을 포기하고 돌아오지 않는다. 해경에서도 법을 위반한 사항이 아니면, 어선을 강제로 입항하도록 할 방법이 없다”고 밝혔다.

해수부는 외국인 선원이 급격하게 증가한 점도 주목하고 있다. 선박사고 원인을 분석한 국승기 한국해양대 교수(재난원인조사반장)는 “선주와 외국인 선원 간의 원활한 소통 부재에서 비롯되는 사고 비율도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외국인 선원에 대한 관련 교육 강화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외국인 선원은 2021년 1만1160명에서 지난해 1만6145명으로 40% 이상 급증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014 헌재 “피의자 신문조서 증거능력 인정…형사 소송과 헌법 재판 달라” 랭크뉴스 2025.02.10
45013 이재명 "국회의원 국민소환제 도입…근무 줄여 주4일제 가야" [교섭단체 연설] 랭크뉴스 2025.02.10
45012 文 "윤석열 발탁, 두고두고 후회‥당시 검찰개혁 너무 꽂혀" 랭크뉴스 2025.02.10
45011 작년 국세수입 336.5조 원…세수펑크 30.8조 확정 랭크뉴스 2025.02.10
45010 李 "회복과 성장으로 '잘사니즘' 구현…진보·보수정책 총동원" 랭크뉴스 2025.02.10
45009 “출발 안해요?” 국적항공사 4대 중 1대는 지연…에어서울 지각대장 랭크뉴스 2025.02.10
45008 尹측, 검찰조서 증거 채택 문제 삼았지만‥헌법재판소 "선례대로" 랭크뉴스 2025.02.10
45007 문재인 “이재명, 대선 이기려면 포용·확장해야…‘분열 비판’ 안돼” 랭크뉴스 2025.02.10
45006 문재인 전 대통령 인터뷰 ① “윤석열 발탁, 두고두고 후회한다” 랭크뉴스 2025.02.10
45005 납품업체에 할부금·생일축하금 요구한 공무원…권익위, 검찰 이첩 랭크뉴스 2025.02.10
45004 [단독] '서부지법 배후' 캐는 경찰, 전광훈 특임전도사 2명 옥중 조사 랭크뉴스 2025.02.10
45003 신동빈 회장이 챙긴 이유 있었네... 국내외 명품·패션 기업이 탐내는 14억 인구대국 인도 랭크뉴스 2025.02.10
45002 이시바, 트럼프에 “방위비는 일본이 정할 일” 전달 랭크뉴스 2025.02.10
45001 "국힘 공문 있다"‥"소장 임명동의 전제" '마은혁 합의' 공방 랭크뉴스 2025.02.10
45000 국힘, ‘헌재 휩쓸 것’ 전한길 고발건 종결 촉구···“내란선동 아냐” 랭크뉴스 2025.02.10
44999 1월 전국 아파트 거래 45%는 ‘하락거래’…거래량 3개월 연속 감소 랭크뉴스 2025.02.10
44998 ‘성장’ 24번 외친 李… “주4일 근무, 30조 추경” 랭크뉴스 2025.02.10
44997 AI 가격 혁명의 방아쇠인가 vs 버블론 점화할 기폭제인가 [딥시크, 딥쇼크⑤] 랭크뉴스 2025.02.10
44996 국민의힘 이상휘 “홍장원·곽종근은 탄핵 내란의 기획자···확실하게 조사해야” 랭크뉴스 2025.02.10
44995 세계문화유산 ‘병산서원’ 훼손 혐의 KBS 드라마팀 관계자 3명 송치 랭크뉴스 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