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서 '국민 트로트 가수' 고(故) 송대관의 영결식이 엄수되고 있다. /뉴스1
‘해뜰날’ 등 인기곡으로 대중의 사랑을 받은 고(故) 송대관의 장례식이 9일 오전 9시30분쯤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 장례식장에서 엄수됐다.
영결식은 대한가수협회장으로 치러졌다. 유족과 동료 등 70여 명이 참석했다. 고인의 아내는 장례식장에서 눈물을 감추지 못했다.
이자연 대한가수협회장은 조사에서 노래 ‘네박자’의 제목을 고인과 함께 결정했던 일화를 떠올리며 흐느꼈다. 이 회장은 “’네박자’가 방송에 나올 때마다 특히 정이 가고 노래에 한몫했다고 생각해 행복했다”며 “우리 후배들은 선배님의 유머 있는 모습과 따뜻한 미소와 주옥같은 노래들을 잊지 않고 오래 기억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인과 절친했던 가수 태진아는 추도사에서 눈물을 참으며 “형님은 항상 저에게 멘토였다. ‘형 가는 길만 따라오면 된다’고 하길래 정말 따라갔다”고 했다. 이어 “지난 3일 동안 밥을 안 먹고 술로 배를 채웠다. 형님이 하늘나라 가서 사시면 제가 방송하는 것도 큰 재미가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태진아는 추도사 말미 손을 흔들며 “대관이 형 잘 가. 영원한 나의 라이벌이여”라고 마지막 인사를 했다.
9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서 열린 가수 송대관의 영결식에서 태진아, 강진, 설운도를 포함한 가수들이 해뜰날을 합창하고 있다. /연합뉴스
고인과 함께 ‘트로트 사대천왕’으로 불린 설운도는 “가수는 결국 무대에서 시작해 무대에서 생을 마감한다”며 “마지막까지 무대에서 하고 싶은 일을 웃으면서 하시다 가셨기에 마음은 아프지만 위안이 된다. 형님 빈자리를 사랑으로 채워주기를 바란다”고 애도했다.
이어 태진아, 설운도, 강진, 김수찬 등 동료 가수들이 고인의 대표곡 ‘해뜰날’을 조가로 합창했다. “쨍하고 해뜰날 돌아온단다~”라는 노래가 불리자 흐느끼는 소리가 영결식장을 채웠다. 생전 고인이 아꼈다는 후배 김수찬은 ‘해뜰날’ 모창과 성대모사로 웃음과 눈물을 함께 자아냈다.
영결식은 동료 가수들의 작별 인사로 마무리됐다. 이후 유족과 가수들이 관을 운구하고 식장을 떠났다. 고인은 경기도 안성 유토피아추모관에서 영면에 든다.
9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서 가수 송대관의 발인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송대관은 지난 7일 오전 10시쯤 향년 79세로 세상을 떠났다. 장례 기간 태진아, 설운도, 하춘화, 현숙, 김흥국 등 동료 가수와 연예인들이 빈소를 찾아 조문했다.
송대관은 1967년 ‘인정 많은 아저씨’로 데뷔해 ‘해뜰날’, ‘유행가’, ‘네박자’ 등 많은 히트곡을 발표했다. 고인의 생전 마지막 모습은 KBS1 ‘전국노래자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송대관은 지난해 10월 충남 당진시 편, 서울 영등포구 편을 촬영했다. 녹화분은 오는 16일과 3월 2일 방송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