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산업부 발표 후 프로젝트 전체에 대한 부정적 여론·논란 확대
지난해 12월20일 시추선 웨스트 카펠라호 제어실에서 시추 감독자(오른쪽)가 대왕고래 탐사시추를 위한 굴착 장비 연결을 지시하고 있다. 한국석유공사 제공


지난해 6월 윤석열 대통령의 1호 국정 브리핑 이후 많은 논란을 불러왔던 동해 심해 유전 탐사, 일명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탐사시추가 종료됐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6일 “대왕고래를 경제성 있는 가스전으로 보기 어렵다”고 발표했지만 실패 여부를 포함해 논란은 더 커지고 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논란을 불식시키기 위해 지난 7일 방송에 직접 출연해 정부 입장을 전하기도 했다. 정부와 한국석유공사, 전문가 등의 평가를 종합해 논란과 함께 9일까지 진행 경과를 문답 형태로 정리했다.

Q. 대왕고래 탐사시추는 실패인가?

A. 이번 탐사시추 결과를 보는 입장에 따라 실패 여부에 대한 평가를 달리한다. 정부와 석유공사는 ‘실패’가 아니라 ‘과정 중 하나’로 보고, 이번 탐사시추에서 후속 시추로 이어갈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확보했다고 강조하고 있다. 석유공사는 “석유·가스가 저장될 수 있는 양질의 사암층, 유기물을 포함한 셰일층의 발견 등 동해 분지에서 석유·가스전이 존재할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Q. 그럼 실패가 아닌가?

A. 당연히 1차공이었던 대왕고래 탐사시추는 실패로 봐야 한다는 입장도 있다. 탐사사추의 주목적이 탄화수소(석유·가스 등을 구성하는 유기화합물) 부존 여부를 확인하는 것인데, 경제성 있는 규모의 탄화수소를 발견하지 못한 건 실패라는 입장도 있다. 익명을 요구한 석유업계 전문가는 “시험에서 떨어진 걸 실패로 보지 않고 다음 도전을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 보려면 볼 수도 있겠지만, 경제성 있는 발견에 실패한 건 분명하지 않냐”고 말했다.



Q. 이제 대왕고래 프로젝트는 어떻게 되나?

A. 대왕고래 프로젝트는 공식 명칭이 아니다. 대왕고래는 이번에 시추한 유망구조(석유·가스가 묻혀 있을 것으로 보이는 유망한 형태의 지하 구조) 중 하나를 가리키는 이름이다. 윤 대통령 브리핑 이후 일부 언론에서 이번 사업을 대왕고래 프로젝트로 명명하고 많은 이들이 쓰면서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을 가리키는 이름이 됐다. 정부와 석유공사는 이번 탐사시추에서 채취한 시료를 토대로 나머지 6개 유망구조의 가능성을 재분석해 해외 투자 유치로 후속 시추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Q. ‘오징어’, ‘명태’ 이야기도 나오던데.

A. 동해 심해 유망성 평가를 진행한 미국의 자문 업체 ‘액트지오’는 2023년 동해 심해에 유망구조 7개가 있다고 보고했다. 이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유망구조가 대왕고래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머지 6개 유망구조 모두의 이름이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6개 중에는 오징어와 명태로 부르는 유망구조도 있다.

Q. 그럼 이제 오징어 프로젝트나 명태 프로젝트가 되나?

A. 동해 심해 유전 탐사와 관련해 정부와 석유공사에서 정한 공식 명칭은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또는 프로젝트)’이다. 정부와 석유공사는 이번 사업을 대왕고래 프로젝트라고 부르는 바람에 대왕고래 시추 실패가 마치 전체 사업에 경제성이 없는 것처럼 알려졌다며 이후 오징어나 명태를 시추하더라도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이라는 공식 명칭을 쓴다는 방침이다. 다만 앞서 윤 대통령 발표대로 석유·가스가 최소 35억배럴, 최대 140억배럴 있다면 천연가스만 있는 ‘가스전’보다는 원유를 포함하는 ‘유전’이 더 적확한 표현이라 할 수 있다.

Q. 최근에 나온 ‘마귀상어’도 시추할 가능성 있나?

A. 마귀상어는 액트지오가 지난해 추가로 맡은 유망성 평가에서 도출한 유망구조다. 액트지오는 기존 7개 외 마귀상어를 포함한 유망구조 14개가 동해 심해에 더 있다고 보고서를 작성해 지난해 말 석유공사에 제출했다. 정부와 석유공사는 추가 용역 보고서 내용은 국내 전문가 검증 전이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입장은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전문가 검증 뒤 유망구조 규모나 수가 바뀔 수 있다는 입장이다. 또 마귀상어란 이름도 부정적 어감이 있어 바뀔 수 있다고 한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005 납품업체에 할부금·생일축하금 요구한 공무원…권익위, 검찰 이첩 랭크뉴스 2025.02.10
45004 [단독] '서부지법 배후' 캐는 경찰, 전광훈 특임전도사 2명 옥중 조사 랭크뉴스 2025.02.10
45003 신동빈 회장이 챙긴 이유 있었네... 국내외 명품·패션 기업이 탐내는 14억 인구대국 인도 랭크뉴스 2025.02.10
45002 이시바, 트럼프에 “방위비는 일본이 정할 일” 전달 랭크뉴스 2025.02.10
45001 "국힘 공문 있다"‥"소장 임명동의 전제" '마은혁 합의' 공방 랭크뉴스 2025.02.10
45000 국힘, ‘헌재 휩쓸 것’ 전한길 고발건 종결 촉구···“내란선동 아냐” 랭크뉴스 2025.02.10
44999 1월 전국 아파트 거래 45%는 ‘하락거래’…거래량 3개월 연속 감소 랭크뉴스 2025.02.10
44998 ‘성장’ 24번 외친 李… “주4일 근무, 30조 추경” 랭크뉴스 2025.02.10
44997 AI 가격 혁명의 방아쇠인가 vs 버블론 점화할 기폭제인가 [딥시크, 딥쇼크⑤] 랭크뉴스 2025.02.10
44996 국민의힘 이상휘 “홍장원·곽종근은 탄핵 내란의 기획자···확실하게 조사해야” 랭크뉴스 2025.02.10
44995 세계문화유산 ‘병산서원’ 훼손 혐의 KBS 드라마팀 관계자 3명 송치 랭크뉴스 2025.02.10
44994 올릭스, 일라이릴리에 9천억 신약 기술수출 소식에 폭등 [Why 바이오] 랭크뉴스 2025.02.10
44993 이재명 "주4일 근무국가로 나아가야…국회의원 국민소환제 도입" 랭크뉴스 2025.02.10
44992 트럼프가 원하고 젤렌스키도 주겠다는 희토류…문제는 러시아 점령지에 매장 랭크뉴스 2025.02.10
44991 이번에는 '잘사니즘' 띄운 이재명  "진보, 보수 유용한 처방 총동원" 랭크뉴스 2025.02.10
44990 봉준호 “비상계엄, SF보다 초현실적…해외 제작진 ‘괜찮냐’며 연락” 랭크뉴스 2025.02.10
44989 충암고 졸업식서 “여러분 잘못 없다” 사과한 민주당 의원 랭크뉴스 2025.02.10
44988 [속보]이재명 “잘사니즘 위해 어떤 정책도 수용”···의원 소환제·30조 추경 제안 랭크뉴스 2025.02.10
44987 이재명 "주4.5일제 거쳐 주4일 근무 국가로‥총노동시간 연장 안 돼" 랭크뉴스 2025.02.10
44986 이재명이 찾던 ‘군용차 차단 청년’도···“반도체 52시간 예외 안 돼” 랭크뉴스 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