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의 한 보신탕 집에 시민이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개 식용 종식법’ 시행 반년 만에 개 사육 농장 10곳 중 4곳이 문을 닫았다. 농장 폐업이 늘며 개 식용 종식 추진에 속도가 붙고 있지만, 갈 곳 없는 잔여견들의 보호·관리를 위한 후속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8월7일 ‘개의 식용 목적 사육·도살 및 유통 등 종식에 관한 특별법(개 식용 종식법)’ 시행 이후 지난 6일까지 6개월 간 전국 개 사육 농장(1537개)의 40%인 623개가 폐업했다고 9일 밝혔다. 지난해 5월 농장주들이 지방자치단체에 운영 현황 등을 신고할 당시엔 약 200개 농장이 폐업하겠다고 밝혔는데, 실제 폐업한 수는 그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이다.

폐업 농장 중에선 300마리 미만 사육 농장이 449개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300~1000마리 미만 사육 농장 153개, 1000마리 이상 사육 농장 21개 등 순으로 나타났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개 식용 종식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확산하면서 폐업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소농뿐 아니라 중대농에서도 조기 폐업에 적극 참여했다”며 “올해까지 폐업 농장은 전체의 60% 수준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개 식용 종식이 큰 차질 없이 이행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개 식용 목적 사육·도살·유통·판매 등을 전면 금지한 개 식용 종식법은 지난해 2월6일 법 제정·공포 후 8월 시행됐으며, 유예기간을 거쳐 2027년 2월7일부터 적용된다. 폐업하는 개 사육 농장에는 폐업 시기에 따라 5개 구간으로 나눠 폐업이행촉진지원금을 차등 지급한다. 지난 6일까지 폐업한 농장은 1구간에 해당하며, 지자체의 현장 실사 등을 거쳐 마리당 60만원을 받는다.

폐업 농장 수가 당초 예상보다 크게 늘었지만, 잔여견의 보호관리 부실화 우려는 커지고 있다. 농장주들이 지난해 5월 신고한 사육 견은 총 46만6000마리다. 이 중 이번에 폐업한 농장에서 사육 중인 개는 10만마리 안팎으로 추정된다. 농장 폐업으로 발생한 잔여견은 지자체가 소유권을 인수해 보호·관리하도록 돼 있지만, 지자체 직영 동물보호센터도 이미 포화상태여서 수용 규모는 제한적이다. “잔여견의 안락사는 없다”고 정부도 밝힌터라, 유일한 해법은 잔여견이 분양되거나 시장에 유통·판매되는 것이다.

하지만 잔여견은 주로 몸집이 큰 대형견이어서 반려인 수요가 적고, 국민들의 인식 변화와 겨울철 등 계절적 요인으로 시장의 수요가 거의 없는 상황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폐업 농장의 잔여견 대부분이 유통상인을 통해 기존의 대형 개 사육 농장으로 옮겨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육견협회 관계자는 “지원금이라도 받으려고 조기 폐업하는 농장이 많지만, 시장의 수요가 없어 다른 대형 농장으로 사는 곳만 이동하는 실정”이라며 “기존 농장의 좁은 케이지 안에 많은 개들을 암수 구분없이 모아놓게 되면 자연 출산율이 증가해 개체 수가 오히려 늘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농장 수 감소와 별개로 부작용이 커질 수 있는 만큼 기존 개들의 유통·판매 소요 기간을 고려해 개 식용 종식법의 유예기간을 연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개 식용 종식, ‘예산 재검토·농장주 반발’ 등 곳곳 암초2027년까지 개 식용을 종식하겠다는 정부 구상이 곳곳에서 제동이 걸리고 있다. 야당은 3500억원 규모의 관련 예산에 대한 삭감을 벼르고 있고, 개 사육 농장주들은 ‘개 식용 종식법 폐기’를 주장하며 반발하고 있다. 6일 국회 등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은 개 식용 종식법의 추진 과정에서 제도 미비로 인한 부작용 발생과 예산 낭비 우려가 있다며 관련 예...https://www.khan.co.kr/article/202411061541001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682 이나현, 스피드스케이팅 2관왕 달성… 韓동계 ‘차세대 에이스’ 가득 랭크뉴스 2025.02.09
44681 "구명조끼 입을 틈도 없었다" 여수 어선 급박했던 침몰 순간 랭크뉴스 2025.02.09
44680 트럼프 ‘비핵화’ 원칙에 김정은 또다시 “핵무력 강화” 맞불 랭크뉴스 2025.02.09
44679 '아 마지막 반 바퀴...' 여자 쇼트트랙 계주 동계아시안게임 입상 실패 랭크뉴스 2025.02.09
44678 이재명, 내일 국회 연설서 '국회의원 국민소환제' 제안할듯(종합) 랭크뉴스 2025.02.09
44677 ‘인원 발언’ 논란에 尹측 “지시대명사로 안 쓴다는 뜻” 랭크뉴스 2025.02.09
44676 여수 침몰 선박 생존자 “항해 중 갑자기 전복” 랭크뉴스 2025.02.09
44675 "니 아내 임신 3번 시켜 미안타"…결혼한 전 여친 가족 스토킹 랭크뉴스 2025.02.09
44674 개혁신당판 옥쇄 파동? 허은아, 대표 직인∙계좌 비번 갖고 잠수 랭크뉴스 2025.02.09
44673 트럼프 “딥시크, 좋은 발전…안보 위협이라 생각 안해” 랭크뉴스 2025.02.09
44672 與 김기현·추경호 등 친윤계 5명, 오는 10일 尹 접견 랭크뉴스 2025.02.09
44671 윤 대통령 엄호하려다 정부와도 각 세우는 대통령실 랭크뉴스 2025.02.09
44670 尹 측 ‘인원이라는 말 안 쓴다’ 발언 해명 “지시대명사로 안 쓴다는 뜻” 랭크뉴스 2025.02.09
44669 [단독] “내가 명태균 태워줘…아크로비스타에 여론조사 결과 가져가” 랭크뉴스 2025.02.09
44668 조태용 국정원장은 홍장원 차장 ‘이 발언’에 뭐라 답할까?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2.09
» »»»»» ‘개 식용 종식’ 시행 6개월 만에 농장 40% 문 닫아…잔여견 보호·관리 대책 마련돼야 랭크뉴스 2025.02.09
44666 이시바 '트럼프 열공' 통했다…"車 관세·방위비 언급 차단" 랭크뉴스 2025.02.09
44665 "혹시, 내가 당첨됐었나?"…로또 미수령 당첨금 61억 결국 랭크뉴스 2025.02.09
44664 '민주당 망조' 두고 친명-친문 맞붙자... 박용진 "지금 싸울 때냐" 일침 랭크뉴스 2025.02.09
44663 린샤오쥔과 몸싸움, 우리만 ‘실격’…男쇼트트랙 계주 노메달 랭크뉴스 2025.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