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년보다 30일, 작년보다 14일 늦어
입춘(立春)인 지난 3일 시작한 한파가 일주일 동안 이어지면서 한강이 얼었다. 올 겨울 첫 한강 결빙이다. 올해는 관측이 시작된 후 역대 두 번째로 늦게 얼었다.
기상청은 9일 올 겨울(작년 12월~올해 2월) 처음 한강이 결빙됐다고 밝혔다. 기상청은 서울 동작구와 용산구를 잇는 한강대교 두 번째와 네 번째 교각 사이 상류 100m 지점에 설정한 가상의 직사각형 구역이 완전히 얼음으로 덮여 강물이 보이지 않으면 한강이 결빙됐다고 판단한다.
올해 한강 결빙일은 평년(1월 10일)보다 30일, 지난해 겨울(2023년 12월~2024년 2월)보다 14일 늦다. 관측 이후 1964년(2월 13일)에 이어 두 번째로 늦다. 가장 일찍 한강이 결빙된 해는 1934년으로 12월 4일에 얼었다.
한강은 ‘닷새 이상 서울 최저기온이 영하 10도 이하에 머물고, 일 최고기온도 영하’인 수준의 추위가 나타나면 얼었다. 최근 닷새(4~8일) 서울 최저기온은 영하 11.8~11.5도, 최고기온은 영하 5.3~0.2도였다. 이날 서울 최저기온은 영하 9.6도다.
올해는 신정과 구정 전후를 제외하고 예년보다 포근한 날이 이어져 한강이 얼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었다. 관측 이후 한강이 결빙되지 않은 겨울은 현재까지 9번이다. 겨울이 시작한 해 기준으로 1960년, 1971년, 1972년, 1978년, 1988년, 1991년, 2006년, 2019년, 2021년이다.
한강 결빙 관측은 1906년 시작했다. 당시에는 한강의 주요 나루 중 하나였던 노들(노량진)나루에서 관측했다. 이 곳에 들어선 다리가 한강대교다. 약 120년간 한 장소에서 관측이 이뤄지고 있는 셈이다.
다만 한강 구조가 바뀌면서 과거와 비교해 ‘늦고 짧게’ 어는 경향이 있다. 1980년대 제2차 한강종합개발사업으로 수심이 깊어지고 하상의 변동이 적어졌고, 기후변화로 겨울 기온이 오른 점 등이 이유다.
7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선유도공원을 흐르는 한강에 생긴 얼음 위에 전날부터 내린 눈이 쌓여 있다. /뉴스1
입춘(立春)인 지난 3일 시작한 한파가 일주일 동안 이어지면서 한강이 얼었다. 올 겨울 첫 한강 결빙이다. 올해는 관측이 시작된 후 역대 두 번째로 늦게 얼었다.
기상청은 9일 올 겨울(작년 12월~올해 2월) 처음 한강이 결빙됐다고 밝혔다. 기상청은 서울 동작구와 용산구를 잇는 한강대교 두 번째와 네 번째 교각 사이 상류 100m 지점에 설정한 가상의 직사각형 구역이 완전히 얼음으로 덮여 강물이 보이지 않으면 한강이 결빙됐다고 판단한다.
올해 한강 결빙일은 평년(1월 10일)보다 30일, 지난해 겨울(2023년 12월~2024년 2월)보다 14일 늦다. 관측 이후 1964년(2월 13일)에 이어 두 번째로 늦다. 가장 일찍 한강이 결빙된 해는 1934년으로 12월 4일에 얼었다.
한강은 ‘닷새 이상 서울 최저기온이 영하 10도 이하에 머물고, 일 최고기온도 영하’인 수준의 추위가 나타나면 얼었다. 최근 닷새(4~8일) 서울 최저기온은 영하 11.8~11.5도, 최고기온은 영하 5.3~0.2도였다. 이날 서울 최저기온은 영하 9.6도다.
올해는 신정과 구정 전후를 제외하고 예년보다 포근한 날이 이어져 한강이 얼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었다. 관측 이후 한강이 결빙되지 않은 겨울은 현재까지 9번이다. 겨울이 시작한 해 기준으로 1960년, 1971년, 1972년, 1978년, 1988년, 1991년, 2006년, 2019년, 2021년이다.
한강 결빙 관측은 1906년 시작했다. 당시에는 한강의 주요 나루 중 하나였던 노들(노량진)나루에서 관측했다. 이 곳에 들어선 다리가 한강대교다. 약 120년간 한 장소에서 관측이 이뤄지고 있는 셈이다.
다만 한강 구조가 바뀌면서 과거와 비교해 ‘늦고 짧게’ 어는 경향이 있다. 1980년대 제2차 한강종합개발사업으로 수심이 깊어지고 하상의 변동이 적어졌고, 기후변화로 겨울 기온이 오른 점 등이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