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여심위 실태조사, 부실 편법 정황
유령 직원, 허위 서류 제출 의심
공정 대표 "전문가" 강하게 반박
野 인력 자질 검증 강화 입법 착수
윤석열 당시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2022년 1월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당사에서 생활밀착형 공약 행보의 일환으로 '4월 전기요금 인상 백지화' 공약을 발표하기 위해 마스크를 벗고 있다. 오대근 기자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가 최근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 편향성 논란이 일었던 여론조사 업체의 부실 운영을 문제 삼은 것으로 확인
됐다. 업체 측은 "편법 운영은 어불성설"이란 입장이다. 다만 업체 등록 허가 기준 자체가 느슨하다보니, 편법 운영이 적발되더라도 처벌 권한이 부재해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7일 한국일보가 양부남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을 통해 입수한
여론조사업체 '공정'에 대한 실태조사 보고서
를 보면 선관위 산하 여론조사심의위원회(여심위)는 지난해 해당 업체를 직접 방문한 뒤 편법적으로 운영되는 정황을 파악하고, 추후 관리가 필요하다는 취지로 보고서에 적시했다. 여심위는 등록 업체에 대해 매년 실태조사를 통해 자격 요건 심사를 진행하고 있다. 여심위는 여론조사 업체 부실로 인한 신뢰도 문제가 커지자, 재작년부터 △분석전문인력 최소 3명 이상 △연간 매출액 1억 원 이상으로 올리는 등 등록유지 요건을 강화했다.

이와 관련,
'공정'의 경우 분석전문인력에 대한 자질이 의심된다는 게 여심위의 판단
이다. 여심위는
우선
'유령 직원' 가능성을 의심했다
. 여심위는 지난해 업체를 방문해 점검한 결과 분석전문인력 3명 중 2명에 대해서 "각각 1950년생과 1960년생이라 심층 보고서 작성 업무가 실제로 가능한지 의문이 있다"거나 "사실상 고문 역할"이라고 적시했다. 두 사람이 분석전문인력으로 등록은 돼 있지만, 실제 분석 업무를 수행했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허위 서류 제출'도 의심
되는 부분이다.
분석전문인력 1명의 재직증명서상 입사연도가 2018년인데, 해당 직원의 건강보험 취득일자가 2023년 9월 30일이었다는 점이 문제
가 됐다.

여심위가 공식 실태조사 보고서에서 업체의 편법 부실 정황이 있다고 판단했지만,
해당 업체는 여전히 여론조사기관으로 등록
돼 있다. 현행 제도상
분석전문인력으로 3명을 채워야 한다는 인원 충족 기준은 있지만, 인력의 전문성과 자질에 대한 규정은 별도로 없는 탓
이다. 여심위 관계자는 "서류상으로 요건을 갖췄다면 실질적으로 어떤 일을 했는지 파악하는 게 법적으로 요구되고 있지 않다"며 "답답한 면이 없지 않다"고 토로했다.

공정 측은 편법 운영 의혹을 전면 반박
했다. 서요한 공동대표는 이날 본보와의 통화에서 "문제가 된 분석전문인력들은 여론조사 관련 전문가로,
나이와 무관하게 실제로 심층 보고서를 작성
해왔다"며 "창립 초기부터 업무를 하다 규칙 개정으로 상근직원 등록을 해야 하는 바람에 4대보험에 가입시켰을 뿐 허위 직원도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 같은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분석전문인력의 자질을 점검할 수 있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
이 나온다. △분석전문인력이 관련 업무를 제대로 하고 있는지 △업체 측이 제출한 서류가 조작됐는지 등을 파악할 권한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
여론조사업체 등록 기준이 너무 느슨하다보니 신뢰성이 낮은 조사 결과가 나오고, 이게 자꾸 정치적으로 활용되어 여론조사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악순환
을 낳고 있다"고 지적했다. 민주당은 인력의 전문성 검증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관련 입법 손질에 나설 방침이다.

'공정'은 이달 2, 3일 '펜앤드마이크' 의뢰로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윤 대통령을 지지한다'는 응답이 51.0%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민주당에서는 선관위 이의제기 신청 검토 등 여론조사 문항의 편향성이 심각하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663 [위클리 건강] "암 생존자가 '이 음식' 끊었더니 사망률 낮아졌다" 랭크뉴스 2025.02.08
48662 딥시크 ‘의외의 수혜’ 네이버, 이해진 컴백으로 노 젓나 랭크뉴스 2025.02.08
48661 주말에도 이어진 맹추위…전국 대부분 영하 10도 아래로 '뚝' 랭크뉴스 2025.02.08
48660 미일 정상회담 “일본 방위비, 2027년까지 2배로” 랭크뉴스 2025.02.08
48659 2만여 명 발 묶인 제주공항…하늘길 운항 재개 랭크뉴스 2025.02.08
48658 檢, '부당합병' 이재용 1·2심 무죄에도 불복... "기계적 상고" 비판 랭크뉴스 2025.02.08
48657 주말 한파 절정, 서울 체감 -17도…호남·제주 많은 눈 [주말 날씨] 랭크뉴스 2025.02.08
48656 [시승기] 고급 세단 못지않은 승차감… 캐딜락 전기 SUV ‘리릭’ 랭크뉴스 2025.02.08
48655 ​결혼정보회사 가입비 지원... ‘저출산 대책의 새방향을 열다’ 랭크뉴스 2025.02.08
48654 '대왕고래 실패' 후폭풍‥"대국민 사기" 맹공 랭크뉴스 2025.02.08
48653 트럼프 “김정은과 잘 지내는 건 모두에게 자산…北과 관계 맺을 것” 랭크뉴스 2025.02.08
48652 천정부지 금값…돌 반지 진열대서 사라지고 골드바 문의 빗발 랭크뉴스 2025.02.08
48651 트럼프發 관세전쟁, 내주 '다수 국가 상호관세' 발표로 확전하나 랭크뉴스 2025.02.08
48650 도둑 잡기위해 도둑 고용…英 "도난 통제불능" 무슨일 [세계한잔] 랭크뉴스 2025.02.08
48649 고속도로서 버스가 사고로 정차 중 승용차 추돌해 1명 사망 랭크뉴스 2025.02.08
48648 "식비 얼마나 높길래? 일본도 먹고살기 힘들다"…日 엥겔지수 43년만에 최고 랭크뉴스 2025.02.08
48647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발표 예고에 ‘뚝’…테슬라 3.4% 하락 랭크뉴스 2025.02.08
48646 "지나갈 때마다 미치겠다"…1억 짜리 벽 없는 '흡연부스' 효과는? 랭크뉴스 2025.02.08
48645 도심복합사업 민간중심 개편…신탁·리츠 참여 길 열렸다 랭크뉴스 2025.02.08
48644 “자니가 왔다!” 세월이 알려준 ‘궁극의 호러 영화’[허진무의 호달달] 랭크뉴스 2025.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