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7일 오전 2시35분 충주서 지진
규모 4.2로 판단뒤 긴급재난문자
3분만에 3.1로 하향 후 안전문자
민원 폭주에 기준 바꿨지만 실수
일각선 "비판은 안전 불감증 유도"
기상청 "초기값과 차이 원인 파악중"
최초 판단 규모로 발송된 긴급재난문자.

[서울경제]

7일 오전 2시 35분. 평소대로라면 모두가 단잠에 빠져 있을 한밤중이었지만 시민들은 가슴을 쓸어내리며 ‘잠 못 드는 새벽’을 보냈다. 갑작스레 휴대폰에서 울린 긴박한 ‘지진 경고’ 긴급재난문자 사이렌 소리 탓이다.

기상청은 지진이 발생하자마자 전국에 긴급재난문자를 발송했지만 상당수 시민들의 원성을 샀다. 지진 규모를 실제보다 크다고 오판해 진동을 느끼기 어려운 지역까지 문자를 발송해 시민들의 잠을 깨웠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시민들은 설령 잘못된 알람이었다고 해도 안전에는 ‘과함’을 허용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며 갑론을박을 펼치고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7일 오전 2시 35분께 충북 충주시 북서쪽 22㎞에서 규모 3.1의 지진이 발생했다. 진앙은 북위 37.14도, 동경 127.76도로 행정구역상 충주시 앙성면이며 진원의 깊이는 9㎞로 추정됐다.

기상청이 최초로 추정한 지진의 규모는 4.2였지만 3분 뒤인 오전 2시 38분께 상세 분석을 통해 규모를 3.1로 하향 조정했다. 지진 규모가 1.1 차이가 나면 위력은 이론적으로 약 44배 차이가 난다. 이번 지진 수동 분석과 자동 분석 간에 발생한 1.1의 차이는 기상청의 역대 지진 분석 사상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기상청이 오판한 규모를 바탕으로 지진이 발생한 충청권은 물론 진동이 거의 느껴지지 않은 서울과 인천·대전·경기·충북·충남·전북·경북·경남 등 전국에 긴급재난문자를 발송했다는 것이다.

하향조정 후 발송된 안전안내문자


심지어 기상청은 시민 불안감을 명분으로 최근 재난문자 발송 기준을 바꾼 바 있어 더욱 혼란을 낳고 있다. 기상청은 2023년 11월 30일 경주시에서 규모 4.0 지진으로 전국에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돼 ‘지진보다 재난문자가 더 불안하다’는 민원이 폭주하자 지난해 10월 28일 기준을 수정했다. 지진 에너지양의 절댓값인 ‘규모’뿐만 아닌 실제 흔들림 정도를 나타내는 ‘진도’를 기준에 포함한 것이다.

현재는 육상 지진 기준 규모 ‘3.5 이상 5.0 미만’ 지진은 최대 예상 진도가 ‘5 이상’이면 예상 진도가 ‘2 이상’인 시군구에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된다. 예상 진도란 일종의 체감온도와 비슷한 개념이다. 예상 진도 5는 거의 모든 사람이 흔들림을 느끼는 수준이다. 규모 2.0 이상 3.5 미만 지진에 대해서는 최대 계기 진도(지진계에 기록된 자료로 분석한 진도)가 3 이상이면 계기 진도가 2 이상인 시군구에 안전안내문자를 발송한다. 기상청은 이번 지진의 규모를 4.2로 판단하고 긴급재난문자를 보냈지만 3.1로 규모를 조정한 후 안전안내문자로 그 사실을 알려 체면을 구겼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러한 재난문자에 대한 비판이 ‘안전불감증’을 유발한다고 반박하고 있다. 오판이더라도 재난문자가 신속히 전국에 발송된 것은 정부나 당국이 천재지변 등에 민감하고 기민하게 대응하고 있다는 방증이라는 것이다. 당국이 실제보다 규모를 작게 판단해 시민의 방심을 유발, 피해를 키우는 것보다 다소 과하더라도 철저히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미다.

기상청은 추정과 실제 규모 차이가 컸다는 점을 인정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통상 수동 분석과 자동 분석은 아예 일치하거나 0.5~0.6 정도 차이가 나는데 이번에는 유달리 그 폭이 컸다”며 “지진의 특성에 따라서 조금 큰 지진파가 들어왔다거나 관측소의 배치에 원인이 있었는지 등 여러 가능성을 살펴보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관계자는 “국민들이 진동을 느껴서 놀란 다음에 안내문자가 왔다 하더라도 불안감은 컸을 것”이라며 “신속도와 정확성을 모두 충족하기 위해서 두 단계로 운영하는 것을 이해해줬으면 한다”고 전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492 입장 번복 ‘유동규 진술’ 1·2심서도 신빙성 인정하며 김용 유죄 판단한 배경은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91 시진핑, 우원식 40분 회담…"경주 APEC 참석, 진지하게 고려"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90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에 박현수 경찰국장…‘계엄 당일 통화’ 논란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89 [속보] ‘방중’ 우원식-시진핑 별도 면담…“시진핑, 한중 관계 안정 희망한다 말해”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88 “망하는 민주당, 오래전부터 시작”… 거세진 ‘李대세론’ 견제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87 시진핑, 우의장 접견…"경주 APEC정상회의 참석 진지하게 고려"(종합)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86 [단독] "끌어내라는 건 국회의원‥부수라는 건 본회의장 문"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85 ‘先모수개혁’ 공감 속 여야 또 기싸움 시작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84 허은아 복귀 실패…법원 “당원소환 투표 유효, 대표직 상실”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83 "삼성 경영시계 다시 멈추나" 檢 이재용 상고에 재계 우려 목소리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82 [속보] ‘내란 가담 의혹’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발령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81 검찰, ‘이재용 부당합병’ 대법 판단 구할까…상고심의위 논의 마쳐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80 [속보] 시진핑 "APEC정상회의 국가주석 참석은 관례…방한 고려중"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79 “옥에 계시니 ‘옥중정치’ 표현할 수 있지만…” 오늘은 윤상현, 김민전 면회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78 [속보] 박현수 행안부 경찰국장,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 임명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77 이어지는 먹거리 가격 인상 진짜 이유는?… "원재료 값 올라" VS "정부 물가 통제력 약화"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76 대한항공 지난해 매출 16조원 돌파…창사 이래 최대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75 [속보]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에 박현수 경찰국장…‘계엄 당일 통화’ 논란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74 윤석열 ‘내란’·이재명 ‘대장동’ 재판장은 일단 서울중앙지법에 남는다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73 ‘딥시크’에서 희망 본 오세훈, “서울시정 전반을 인공지능화” 선언 new 랭크뉴스 2025.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