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차 자동 분석 후 지진 발생 7초 만 문자 발송
진앙과 관측지점 가까워 실제보다 크게 진단
결과적으로 기준 안 맞는 지역까지 문자 발송
기상청 "시민보호 위해 자동 분석 문자 필요"
7일 오전 2시 35분쯤 충북 충주시 북서쪽 22㎞ 지점에서 규모 3.1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기상청이 밝혔다. 기상청 홈페이지 캡처


7일 오전 2시 35분, 충북 충주시 북서쪽 22km 지점에서 규모 3.1의 지진이 발생했다. 흔들림 등 유감신고는 강원 13건, 충북 8건, 경기 2건 등으로 집계됐다.

별다른 지진 피해는 없었지만 충주와 140km가량 떨어진 서울은 물론 경상도까지
여러 지역 시민들도 밤잠을 설쳐야 했다
. 이날 새벽 '삐삐' 소리와 함께 날아온 '지진 긴급재난문자' 때문이다. 온라인상에선 "재난문자 소리에 깜짝 놀라 잠을 깼다", "새벽 2시 문자로 온 국민을 다 깨우나", "긴급 대피가 필요한 지역만 문자를 보내라"등 시민들의 볼멘소리가 나왔다.

긴급재난문자가 지진 발생 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곳까지 날아온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기술적인 이유로 자동 규모 예측이 실제 규모보다 크게 분석
됐기 때문이다.

통상 지진조기경보시스템과 지진분석관 분석은 0.3 정도의 분석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이번 지진은 1.1 규모 차이가 났다. 1.1 규모 차이는 이론적으로 40배 가까운 에너지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기상청 관계자는 "이번 충주 지진은 진앙지와 기상 관측 지점이 가까워 규모 차이가 컸던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기상청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은 정해진 매뉴얼이 있다. 지진이 발생하면 'P파'와 'S파'가 파동을 일으키는데, 기상청 시스템은 더 빨리 도착하는 P파를 자동으로 분석해 일정 기준을 충족하면 곧장 재난문자를 보낸다. 이후 조금 더 정확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S파를 기상청 소속 지진분석관이 정밀 분석한다.
이번 지진은 지진조기경보시스템에서 규모 4.2로 분석됐지만, 지진분석관의 정밀 분석을 거쳐 3분 뒤 규모 3.1로 수정됐다.


그래픽= 박구원 기자


기상청은 P파 분석으로 규모에 따라 재난문자를 보낼 지역(
표 참조
)을 정해놓고 있다. 육지 발생 지진 규모 3.5 이상은 예상진도를 기준으로 발송하는데, 이는 지진 피해를 막기 위해 지진 발생 지점과의 거리 등을 고려해서 즉각적으로 분석한 예상 지표다. 반면 규모가 더 작은 지진은 실제 지진 장비에 측정된 계기진도를 기준으로 문자가 발송된다.

기상청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은 처음 규모 4.2 지진을 측정, '예상진도' Ⅱ 이상인 서울·강원·경기·경남·경북·대구·대전·세종·인천·전북·충남·충북에 긴급 재난문자를 발송했다. 충주 앙성 지진관측소에서 지진 발생 2초 후인 2시 35분 36초 최초 관측했고, 5초 만인 2시 35분 41초에
재난문자가 곧장 송출
됐다.
지진 발생 후 7초 만
이다.

하지만
정밀분석 결과인 규모 3.1을 기준
으로 살펴보면, 재난문자 수신 지역은 줄어든다. 충북과 강원, 경기 계기진도는 각각 5, 4, 3으로 측정돼 재난문자 송출기준을 충족했다.
하지만 서울은 계기진도가 1로 측정돼 문자 발송 기준에 미치지 못했다. 즉
서울 시민은 받지 않아도 될 문자를 받은 셈
이다.

다만
기상청은 자동 분석과 정밀 분석 간 차이는 일부 발생할 수밖에 없고,
정밀분석이 나오기 전 발송되는 재난문자 발송은 시민 안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
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지진 관측은 피해 예측을 통한 시민 보호와 정확한 수치 예측이 모두 중요하다"며 "시민을 더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자동으로 분석된 정보를 신속하게 안내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497 [속보] 우원식 의장 만난 시진핑 "한국, 내정 문제 해결 지혜 있다… 방한 고려 중"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96 시진핑 "올해 경주 APEC 방한 고려 중" 11년 만의 방한 성사되나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95 눈길 미끄러져 40m 아래로 추락…운전자 극적 생존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94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에 박현수…尹, 옥중 코드인사 논란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93 검찰, 1·2심 무죄 ‘경영권 불법 승계’ 이재용 회장 상고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92 입장 번복 ‘유동규 진술’ 1·2심서도 신빙성 인정하며 김용 유죄 판단한 배경은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91 시진핑, 우원식 40분 회담…"경주 APEC 참석, 진지하게 고려"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90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에 박현수 경찰국장…‘계엄 당일 통화’ 논란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89 [속보] ‘방중’ 우원식-시진핑 별도 면담…“시진핑, 한중 관계 안정 희망한다 말해”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88 “망하는 민주당, 오래전부터 시작”… 거세진 ‘李대세론’ 견제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87 시진핑, 우의장 접견…"경주 APEC정상회의 참석 진지하게 고려"(종합)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86 [단독] "끌어내라는 건 국회의원‥부수라는 건 본회의장 문"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85 ‘先모수개혁’ 공감 속 여야 또 기싸움 시작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84 허은아 복귀 실패…법원 “당원소환 투표 유효, 대표직 상실”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83 "삼성 경영시계 다시 멈추나" 檢 이재용 상고에 재계 우려 목소리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82 [속보] ‘내란 가담 의혹’ 박현수, 서울경찰청장 발령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81 검찰, ‘이재용 부당합병’ 대법 판단 구할까…상고심의위 논의 마쳐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80 [속보] 시진핑 "APEC정상회의 국가주석 참석은 관례…방한 고려중"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79 “옥에 계시니 ‘옥중정치’ 표현할 수 있지만…” 오늘은 윤상현, 김민전 면회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78 [속보] 박현수 행안부 경찰국장,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 임명 new 랭크뉴스 2025.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