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의대서 '갈아타기'
반수생도 늘어나는 추세
반수생도 늘어나는 추세
서울시 관악구 서울대 전경. 연합뉴스
[서울경제]
2025학년도 서울대 정시 합격자 중 ‘삼수생(수능을 세 번 이상 치른 수험생)’ 비율이 21.0%로 최근 10년 사이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올해 의과대학 정원이 늘면서 수능 고득점자와 지방대 의대 재학생들의 ‘의대 갈아타기’ 수요가 늘어난 결과로 풀이된다.
7일 종로학원의 분석에 따르면 2025학년도 서울대 정시 합격자 1570명 가운데 삼수 이상 수험생은 330명으로 전체의 21.0%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 2016학년도 이후 가장 높은 비율이다. 앞서 서울대 삼수 이상 합격자의 비율은 2022학년도 20.5%, 2023학년도 17.6%, 2024학년도 19.3% 등이었다.
입시 업계 전문가들은 수능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반수생’(재학 중 다시 수능을 치른 학생)과 지방대 의대에 진학했던 학생들 중 올해 다시 상위권 의대 입학을 노리며 재도전에 나선 이들이 늘어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재수생 비율은 감소했다. 올해 서울대 정시 합격자 중 재수생은 571명으로 전체의 36.4%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624명(40.4%)보다 53명 줄어든 수치다. 반대로 고3 재학생 합격자의 비율은 증가했다. 올해 633명(40.3%)이 합격해 지난해 589명(38.1%)보다 44명 늘었다. 고교 졸업 후 여러 번 수능을 본 N수생 비율도 지난해 59.7%에서 올해 57.4%로 소폭 하락했다. 그러나 여전히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재학생보다 높은 비율을 기록했다.
출신 고교 유형별로 살펴보면 일반고 출신 합격자는 63.6%로 전년(63.8%)과 거의 차이가 없었고 특목·자사고 출신 합격자 비율도 27.5%로 전년(27.6%)과 큰 변동이 없었다. 세부적으로 자사고 출신 합격자는 지난해 19.6%에서 올해 18.3%로 감소했다. 외국어고 출신 합격자는 3.7%에서 3.8%로, 영재고는 2.3%에서 3.1%로, 국제고는 0.6%에서 1.0%로 소폭 증가했다. 과학고 출신 합격자는 지난해와 동일한 1.4%였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삼수 이상 합격자 비율이 높아진 것은 수시 지역 인재 전형 확대, 비교적 쉬웠던 수능, 그리고 재학생과 재수생 간 성적 격차 축소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결과로 보인다”며 “특히 삼수 이상 수험생 중 상당수가 의대에 중복 합격했을 가능성이 커, 일부 N수생이 등록을 포기하면서 최종 등록률에 변동이 생길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