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규모 4.2라며 긴급재난문자 전국 여러 지역에 발송
3분 만에 규모 3.1로 줄여서 다시 안전문자 보내
초기값과 보정값 차이 너무 커
재난 문자 발송 시스템도 추가 개선 필요

7일 충북 충주에서 발생한 규모 3.1 지진의 지진동 범위. 실제 지진의 영향은 크지 않았지만, 영향권 밖의 수도권을 비롯한 전국 여러 지역에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돼 불편을 겪었다./기상청


7일 오전 2시 35분, 충청북도 충주에서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은 실제 규모가 3.1이었지만, 기상청이 발생 직후 지진 규모를 4.2로 보고 충주뿐 아니라 전국 여러 지역에 긴급재난문자를 발송했다. 긴급재난문자는 최소 40dB 이상의 휴대전화 알림소리를 동반하기 때문에 많은 국민이 밤잠을 설쳐야 했다. 이후 불과 3분 만에 지진 규모가 3.1로 하향 조정되고 이를 알리는 안전안내문자가 다시 발송됐다.

국내 지진의 경우 휴대전화 알림소리를 동반하는 긴급재난문자는 규모 3.5 이상인 경우에만 발송한다. 기상청이 애초에 정확하게 지진 규모를 확인했다면 실제 규모 3.1인 이번 지진에 국민들이 새벽잠을 설칠 이유는 없었던 셈이다.

기상청은 과거에도 여러 차례 지진 긴급재난문자와 관련된 홍역을 치렀다. 2023년 11월 30일 규모 4.0의 경주 지진 때 전국에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된 바 있다. 진동을 느끼지 못한 수도권 주민들에게도 모두 문자가 발송돼 불편이 컸다. 반면 2024년 4월 22일 발생한 규모 2.6의 칠곡 지진의 경우 인근 주민들은 지진동을 느꼈지만, 규모가 작다는 이유로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되지 않기도 했다.

이런 문제가 반복되자 기상청은 작년 10월 지진재난문자 송출 기준을 개선하기도 했다. 규모 4.0 이상이면 전국에 긴급재난문자를 보내도록 했던 걸 고쳐서 전국 문자 송출 대상 지진은 규모를 5.0 이상으로 상향했다. 대신 규모 3.5 이상, 최대 예상 진도가 ‘V(5)’ 이상인 지진이 발생할 경우, 예상 진도 2 이상인 시군구에는 긴급 재난 문자를 발송하도록 했다. 진도는 상대적인 흔들림의 크기를 뜻하는 개념으로, 긴급 재난 문자는 경고음과 함께 발송된다.

이번 충주 지진의 경우, 초기 분석값이 4.2로 나오면서 충청도뿐 아니라 진도 2 이상이 예상된 수도권, 강원, 전북, 경북, 경남 등 여러 지역에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된 것이다. 이후 지진 규모가 3.1로 조정되면서 이를 알리는 안전안내문자가 발송됐다.

지진재난문자 발송으로 인한 국민 불편을 없애기 위해 새로운 제도가 시행됐지만, 이런 혼선을 막지 못한 건 기상청의 지진 분석 시스템의 한계 때문이다. 기상청의 지진 분석 시스템은 P파(Primary wave)와 S파(Secondary wave)의 속도 차이를 이용해 신속한 지진 조기경보를 내린다. P파는 S파보다 약 1.7배 빠르게 전파되기 때문에 먼저 도착하는 P파를 자동 분석해 지진의 발생을 감지하고 경보를 발송한다. 이후 분석사가 수동으로 데이터를 재검토해 지진 규모를 보정하는 방식이다. 초기 분석값과 추후 보정값에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이번 충주 지진에서는 유독 이 차이가 컸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초기값과 보정값의) 규모가 1 이상 차이가 나는 건 이례적”이라고 지적했다. 지진 규모는 로그 스케일로 측정되며, 규모가 1 증가할 때마다 방출되는 에너지는 약 32배 증가한다. 이번 충주 지진의 경우, 초기 규모인 4.2와 후에 보정된 3.1의 방출 에너지는 약 44배 차이가 난다.

홍 교수는 “기계로 지진파를 자동 분석할 때는 가장 강한 신호를 기반으로 규모를 계산하는 데, 순간적인 지진파 증폭이나 기계적 잡음으로 인해 오류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박순천 기상청 지진화산연구과장은 “자동 분석은 지진 발생을 신속하게 알리는 것이 목적으로, 지진이 발생한 곳에서 가까운 관측소 최소 4곳의 측정값만을 사용한다”며 “이 때문에 특정 관측소의 영향으로 값이 크게 나왔을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추가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상청이 활용하는 초기 분석 방식은 신속성을 우선해야 하므로 지진 규모가 과대 또는 과소 평가될 가능성이 있다. 지금의 조기경보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현재의 일괄적 재난 문자 발송 방식이 대신, 초기 경보와 후속 정밀 분석을 구분해 단계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체계를 도입하는 방안이 검토될 필요가 있다.

홍 교수는 “비교적 규모가 작은 지진의 경우 경보를 잘못 보내면 실제 피해와 무관하게 광범위한 지역에 재난 문자가 발송될 가능성이 높다”며 “지진 규모의 오차를 일정 범위 내로 관리할 수 있도록 내부 규정을 마련하고, 조기경보 시스템의 오차율을 감안해서 경보를 발송하는 지역을 더욱 정밀하게 선정해 불필요한 문자 발송을 줄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414 유시민 "이재명 비판, 망하는 길"…고민정 "그 길 시작된지 오래"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13 두달전 가요무대 열창했는데…송대관 가수 별세, 향년 78세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12 법원 "전두환 사망으로 추징금 소멸"…연희동 자택 소송 각하(종합2보)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11 "대통령 탄핵되면 헌재 부숴야" 김용원 인권위원 '내란선동' 고발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10 "어떻게든 의대로"… 서울대 삼수 합격자 10년 만에 최다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09 국민의힘 "산자부, '대왕고래' 발표 전 협의 없어서 유감"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08 500억 자산가에서 280억 빚쟁이로… 굴곡졌던 송대관의 삶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07 태진아 “송대관은 트로트계의 별…정말 가슴 아파”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06 요원, 의원, 인원…‘탄핵 공작’ 발언에 야당 “윤석열 궤변”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05 ‘수박’ 내쫓더니… 盧·文 사람 들이는 이재명 new 랭크뉴스 2025.02.07
48404 [2보] 검찰, '인도 방문·샤넬재킷 의혹' 김정숙 여사 무혐의 랭크뉴스 2025.02.07
48403 당정, '오요안나법' 제정 추진···MBC 특별근로감독도 검토 랭크뉴스 2025.02.07
48402 2024년 누가 잘나갔나…전통 10대 제약사 실적 지배한 신약·수출 성과[비즈니스 포커스] 랭크뉴스 2025.02.07
48401 “식사도 못 하신다”…인생의 친구 송대관 잃은 태진아 랭크뉴스 2025.02.07
48400 “뼛속까지 창원 사람”…법원, 현직 때 총선 출판기념회한 검사 “징계 정당” 랭크뉴스 2025.02.07
48399 “클럽, 술, 모임 안 해요” JOMO 즐기는 Z세대 랭크뉴스 2025.02.07
48398 강풍·폭설에 제주공항 결항 속출…1만 3,000여 명 발 동동 랭크뉴스 2025.02.07
48397 K조선, 中 제쳤다…1월 글로벌 선박 수주 1위 랭크뉴스 2025.02.07
48396 윤석열 “헌재 나가보니 너무 곡해된 것 알겠더라” 랭크뉴스 2025.02.07
48395 검찰 ‘인도 방문·샤넬재킷 의혹’ 김정숙 여사 무혐의 랭크뉴스 2025.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