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딥시크 충격’ 민관 AI 경쟁력 간담회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이 6일 오전 서울 중구 국가인공지능(AI)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국내 인공지능 산업 경쟁력 진단 및 점검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네이버·카카오는 자사 데이터도 못 쓴다고 하니 중국 큐원(QWEN) 개발팀이 웃더라”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

“엔비디아의 최신 칩 에이치(H)200이 2천장 있으면 우리도 연내 오픈에이아이(AI) 최신 모델인 ‘오(o)3’ 정도는 만들 수 있다” (배경훈 LG AI연구원장)

중국 인공지능 업체가 미국 빅테크를 능가하는 새 모델을 개발한 ‘딥시크 쇼크’에 국내 주요 인공지능 업계 관계자들이 6일 민관 간담회에서 내놓은 반응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초거대인공지능추진협의회는 이날 서울 중구 서울스퀘어에서 미·중 인공지능 개발 경쟁에 맞서 국내 인공지능 산업의 경쟁력을 점검하는 간담회를 열고 국내 주요 기업 및 전문가 의견을 들었다.

김두현 국가인공지능위원회 분과위원(건국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이날 회의에서 “오픈에이아이나 딥시크급으로 국가적 인공지능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추격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가 소수의 성공 사례를 기대하며 업계 전반을 지원하는 것을 넘어, 현재 추진 중인 ‘국가 인공지능 컴퓨팅센터’ 산하에 태스크포스(TF)를 꾸려 국가 차원의 프로젝트를 지원해야 한다는 취지다.

업계에선 최근 2년 사이 중국 업체와의 기술 격차가 크게 벌어진 원인을 정부의 데이터 정책에서 찾았다.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는 최근 딥시크 모델을 능가하는 ‘큐원(QWEN) 2.5-맥스’를 발표한 중국 알리바바 개발팀을 언급하며 “1.5년 전에는 우리와 실력이 비슷했는데, 이젠 큰 격차가 난다”며 “가장 큰 문제가 데이터였다. ‘추격조’에 선정된 기업은 3년간 (AI 개발에) 국내 데이터를 모두 가져다 쓰게 하고, 저작권료는 나중에 계산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제를 파격적으로 열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또 정부를 향해 “길어도 5년 이내에 도달할 범용인공지능(AGI)를 국가 전략화할 것인지 정부가 분명히 답을 해야 한다고 본다”면서 “기술을 주도하는 대신 종속을 선택할 거면 지금이라도 (미국이 추진하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1조원을 주고 따라붙으면 된다. 하지만 저는 우리가 반드시 범용인공지능을 국가 전략 자산화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간담회를 주재한 강도현 과기정통부 2차관은 딥시크 쇼크를 계기로 “정부가 앞으로 더 강하게 달려야 할지, 일정한 피벗(pivot·정책 기조 전환) 시기를 탐색해야 하는 건지 심각한 고민을 2주 정도 했다”며 “(국회에서 논의 중인) 추경 여부를 떠나서 재정 투입 문제는 정부가 계속 뛰어나가겠다”고 답했다.

참석자들은 국내 기업의 기술력이 중국에 견줘 부족한 것은 아니라고 했다. 배경훈 엘지(LG) 인공지능연구원장은 “저희가 조만간 딥시크의 ‘알(R)1’ 수준의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하겠다”며 “현재 에이치(H)100 512개를 갖고 만들고 있는데, 이걸로는 솔직히 빨리 만들 수가 없다”고 정부의 인프라 지원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배 원장은 지난해 12월 회사가 공개한 ‘엑사원(EXAONE) 3.5 32B’ 모델 개발에 들어간 지피유(GPU·그래픽처리장치) 비용이 “4개월간 70억원”이라고 공개하며, 딥시크보다 낮은 개발비를 적극 홍보하지 않은 데 대한 아쉬움을 전했다.

국내 기업의 인공지능 개발 경쟁력이 고성능 지피유 확보에만 초점을 맞춰선 안 된다는 지적도 나왔다. 인공지능 인프라 솔루션 스타트업 모레(MOREH)의 조강원 대표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저사양 지피유의 효율을 끌어올린 딥시크의 사례를 두고 “우리나라의 소버린(자주적) 인공지능 역량을 갖추기 위해 엔비디아 칩을 더 사고, 돈을 많이 쓰는 방향으로만 경쟁하는 게 맞느냐”고 반문했다.

이날 간담회에선 딥시크 쇼크를 계기로 관심이 높아진 ‘소버린 인공지능’에 대한 업계의 고민도 나왔다. 마이크로소프트(MS)와 ‘한국형 챗지피티(ChatGPT)’ 개발을 협업 중인 오승필 케이티(KT) 최고기술책임자(CTO)는 “한국적 인공지능이란 게 단순히 개발사가 한국 회사여야 한다는 건가, 알고리즘을 한국에서 만들어야 한다는 건가. 이에 대한 합의가 공론장에서 이뤄졌으면 한다”고 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391 검찰, ‘인도 방문·샤넬재킷 의혹’ 김정숙 여사 무혐의 처분 랭크뉴스 2025.02.07
48390 뉴진스 새 팀명은 ‘NJZ’···내달 홍콩서 첫 무대 랭크뉴스 2025.02.07
48389 與 ‘오요안나법’ 추진…“뉴진스 국감부른 野, MBC 문제 나서야” 랭크뉴스 2025.02.07
48388 양치기 소년 된 지진 재난문자…규모 4.2라고 밤잠 깨우곤 3분 만에 3.1로 정정 랭크뉴스 2025.02.07
48387 [단독] 100주씩 안 사도 된다… 신한증권, 日 주식 ‘단주 거래’ 출시 랭크뉴스 2025.02.07
48386 유이 "'걸그룹 A양 영상 유출' 상처…싸구려 모텔에 내 얼굴 합성" 랭크뉴스 2025.02.07
48385 [속보]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명품 재킷 의혹’ 등 불기소 랭크뉴스 2025.02.07
48384 [속보] 검찰, ‘타지마할 외유성 출장’ 의혹 김정숙 여사 무혐의 랭크뉴스 2025.02.07
48383 ‘연희동 자택’ 이순자→전두환 명의 변경 소송 “각하” 랭크뉴스 2025.02.07
48382 [단독]전국민 새벽잠 깨운 충주 지진…정부 “이달 중 충주 지역 지표단층 조사” 랭크뉴스 2025.02.07
48381 검찰, '인도 방문·샤넬재킷 의혹' 김정숙 여사 무혐의 랭크뉴스 2025.02.07
48380 尹탄핵변론 2월 말까지 이어질까…헌재 "종결 여부 알수없다" 랭크뉴스 2025.02.07
48379 [단독] '성과급 갈등' SK하이닉스 노사, 다시 협상 테이블에…"PS 후속 협의" 랭크뉴스 2025.02.07
48378 검찰, 김정숙 여사 ‘샤넬 재킷·인도 외유성 출장 의혹’ 무혐의 처분 랭크뉴스 2025.02.07
48377 특전사령관, 野 의원 유튜브·국회·검찰·헌재에서 한 말이 서로 달랐다 랭크뉴스 2025.02.07
48376 ‘나 여기 있어요’…윤, 국힘에 “모래알 되지 말자” 조기 대선 의식? 랭크뉴스 2025.02.07
48375 안전엔 문제 없다는데…"보성 꼬막서 쓴맛 나요" 반품 쇄도, 왜 랭크뉴스 2025.02.07
48374 "반년 만에 10㎏ 감량" 92㎏ 베스트셀러 작가의 '다이어트 신약' 체험기 [책과 세상] 랭크뉴스 2025.02.07
48373 [속보] 검찰 ‘인도 방문·샤넬재킷 의혹’ 김정숙 여사 무혐의 랭크뉴스 2025.02.07
48372 [속보] 검찰, '인도 외유성 순방·샤넬재킷 의혹' 김정숙 여사 무혐의 랭크뉴스 2025.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