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발적 출석 유도하기 위해 수사팀 요청 받아 전화”
이진동 대검찰청 차장검사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검찰 자진 출석 전 통화한 이유에 대해 내란 혐의 조사를 위해 출석하라고 설득하는 과정이었다고 밝혔다.
이 차장은 6일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3차 청문회에서 백혜련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당시 통화 이유를 묻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 차장은 지난해 12월 6일 저녁 김 전 장관과 통화했다. 당시는 김 전 장관이 검찰에 자진 출석하기 이틀 전이다. 이 차장은 당시 상황에 대해 “이번 사건은 김 전 장관의 신병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며 “김 전 장관이 군사보호시설 안에 있어서 사실상 영장을 받아도 승인을 못 받으면 집행할 수가 없었다”고 말했다.
또 “자발적 출석이 제일 중요한 상황이어서 설득이 우선이었다”며 “수사팀이 설득이 어렵다고 해 제가 직접 통화해서 설득해보겠다고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윤건영 민주당 의원은 김 전 장관이 이 차장에게 먼저 전화를 걸었다며 의문을 제기했다. 윤 의원은 심우정 검찰총장이 김선호 국방부 차관(장관 직무대행)에게 전화해 김 전 장관과 연락할 방법을 물었다고 했다. 이후 김 차관이 김 전 장관의 비화폰 번호를 전달했다.
윤 의원은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 소속 이찬규 부장검사가 김 전 장관에게 두 차례 전화해 출석을 요구했다”며 “김 전 장관은 ‘대통령과 통화 후 말하겠다’는 답변을 했다”고 설명했다.
김 전 장관은 윤석열 대통령에게 김주현 민정수석과 협의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이후 김 전 장관이 직접 이 차장에게 전화를 걸었다는 것이 윤 의원의 설명이다. 검찰이 김 전 장관의 신병을 경찰보다 빠르게 확보하기 위해 윤석열 대통령을 동원한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 차장은 구체적인 통화 내용은 언급할 수 없다면서도 수사팀에서 전화번호를 받아 출석을 설득한 것이 맞는다고 했다. 이 차장은 “김 전 장관이 쓰던 전화가 연락이 안 돼서 수사팀에서 국방부 협조를 받아서 번호를 받은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이 차장은 김 전 장관이 사용하던 휴대전화가 비화폰이었다는 것을 몰랐다는 취지의 답변도 내놨다. 이 차장은 “어제 방송에서 보도된 것을 보고 알았다”고 답했다.
김 전 장관은 비화폰을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에게 받은 후 노 전 사령관에게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차장은 “내란 관련 사건은 엄정하게 수사하고 있다”며 경호처 차장 수사는 윤 대통령의 체포영장을 방해한 공무집행 방해로 별개의 사건“이라고 했다.
이어 “검찰에서 엄정하게 수사했지, 누굴 봐주고 한 건 한 번도 없었다”고 덧붙였다.
이진동 대검찰청 차장검사가 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제3차 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뉴스1
이진동 대검찰청 차장검사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검찰 자진 출석 전 통화한 이유에 대해 내란 혐의 조사를 위해 출석하라고 설득하는 과정이었다고 밝혔다.
이 차장은 6일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3차 청문회에서 백혜련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당시 통화 이유를 묻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 차장은 지난해 12월 6일 저녁 김 전 장관과 통화했다. 당시는 김 전 장관이 검찰에 자진 출석하기 이틀 전이다. 이 차장은 당시 상황에 대해 “이번 사건은 김 전 장관의 신병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며 “김 전 장관이 군사보호시설 안에 있어서 사실상 영장을 받아도 승인을 못 받으면 집행할 수가 없었다”고 말했다.
또 “자발적 출석이 제일 중요한 상황이어서 설득이 우선이었다”며 “수사팀이 설득이 어렵다고 해 제가 직접 통화해서 설득해보겠다고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윤건영 민주당 의원은 김 전 장관이 이 차장에게 먼저 전화를 걸었다며 의문을 제기했다. 윤 의원은 심우정 검찰총장이 김선호 국방부 차관(장관 직무대행)에게 전화해 김 전 장관과 연락할 방법을 물었다고 했다. 이후 김 차관이 김 전 장관의 비화폰 번호를 전달했다.
윤 의원은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 소속 이찬규 부장검사가 김 전 장관에게 두 차례 전화해 출석을 요구했다”며 “김 전 장관은 ‘대통령과 통화 후 말하겠다’는 답변을 했다”고 설명했다.
김 전 장관은 윤석열 대통령에게 김주현 민정수석과 협의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이후 김 전 장관이 직접 이 차장에게 전화를 걸었다는 것이 윤 의원의 설명이다. 검찰이 김 전 장관의 신병을 경찰보다 빠르게 확보하기 위해 윤석열 대통령을 동원한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 차장은 구체적인 통화 내용은 언급할 수 없다면서도 수사팀에서 전화번호를 받아 출석을 설득한 것이 맞는다고 했다. 이 차장은 “김 전 장관이 쓰던 전화가 연락이 안 돼서 수사팀에서 국방부 협조를 받아서 번호를 받은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이 차장은 김 전 장관이 사용하던 휴대전화가 비화폰이었다는 것을 몰랐다는 취지의 답변도 내놨다. 이 차장은 “어제 방송에서 보도된 것을 보고 알았다”고 답했다.
김 전 장관은 비화폰을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에게 받은 후 노 전 사령관에게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차장은 “내란 관련 사건은 엄정하게 수사하고 있다”며 경호처 차장 수사는 윤 대통령의 체포영장을 방해한 공무집행 방해로 별개의 사건“이라고 했다.
이어 “검찰에서 엄정하게 수사했지, 누굴 봐주고 한 건 한 번도 없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