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곽 전 사령관 “윤 대통령이 ‘인원’ 데리고 나와라 지시”
“인원을 국회의원으로 이해했다”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6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 심판 6차 변론기일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헌법재판소 제공) 2025.2.6/뉴스1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 사건 6차 변론기일이 8시간여 만에 종료됐다. 이번 변론에서는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이 윤 대통령으로부터 어떤 지시를 받았는지와 김현태 육군 707 특수임무단장에게 어떤 지시를 내렸는지에 대한 신문이 중요하게 다뤄졌다.

헌법재판소는 6일 오전 10시부터 윤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 6차 변론을 열고 김현태 육군 707 특수임무단장,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 박춘섭 대통령실 경제수석 3명에 대한 증인 신문을 진행했다.

이날 변론은 비상계엄 사태 당시 국회에 진입했을 당시 계엄군의 임무에 대한 질의로 시작됐다. 당시 현장을 지휘한 김 단장은 자신의 임무가 국회봉쇄였다며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으로부터 국회의원을 체포하라는 지시는 없었다”고 주장했다.

김 단장은 “제가 받은 임무는 국회의사당과 의원회관 봉쇄 및 확보”라면서 봉쇄가 국회 출입을 금지하라는 게 아니라, 적대 세력으로부터 국회를 방어하는 취지라고 발언했다.

재판부는 김 단장의 발언이 이전 증언과 엇갈린다고 지적했다. 김형두 재판관은 “증인은 검찰 조사에서 곽종근 사령관의 지시 내용이 마이크를 통해 예하부대에까지 들렸다고 얘기했다”며 “국회의원을 끌어내리라는 지시가 있었다는 얘기를 들은 게 맞나”고 물었다. 김 단장은 “진술했으면 그 당시 기억이 맞다”고 밝히기도 했다.

김 단장은 곽 전 사령관에게서 “150명이 넘으면 안 된다고 하는데 내부에 들어갈 수 없겠냐는 취지의 지시를 받았다”고도 밝혔다. 김 단장은 ”강한 어조는 아니고 사정하는 느낌으로 얘기했다“며 ”들어갈 수 있겠느냐는 물음에 ‘안됩니다’라고 답하고 통화를 끝냈다“고 했다. 또 ”150명의 의미에 대해 어떤 의미인지 몰랐고, 나중에 국회의원 숫자라는 것을 알게 됐다”고 했다.

이날 심문은 곽 전 사령관이 윤 대통령으로부터 비상계엄 당시 어떤 지시를 받았는가에 대한 질의가 집중적으로 이뤄졌다. 곽 전 사령관은 앞서 검찰 조사에서 윤 대통령에게 ‘사람’들 빨리 데리고 나오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진술한 바 있다.

곽 전 사령관은 이날 변론에서 “윤 대통령이 전화로 국회의사당 안에 있는 ‘인원’을 데리고 나오라고 했다”며 “본관 안에 작전 요원들이 없었던 만큼 국회의원을 데리고 나오라고 한 것으로 이해했다”고 말했다.

정형식 재판관은 곽 전 사령관에게 “‘국회 안에 있는 ’사람‘들 데리고 들어와라‘고 했느냐”고 물었고, 곽 전 사령관은 “‘빨리 국회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안에 있는 ’인원’들을 밖으로 끄집어내라’ 이렇게 기억한다”고 했다. 정 재판관이 “국회의원이란 말은 안 했느냐”고 하자, 곽 전 사령관은 “의원이라는 말은 자수서에 안 썼다”고 답했다.

정 재판관이 “‘인원’이냐”라고 재차 물었으나, 곽 전 사령관은 “안에 있는 ‘인원’을 끄집어내라고 했다”고 했다.

재판부는 곽 전 사령관의 증언이 바뀌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재판부는 “증인의 진술이 처음에는 ‘사람’이라고 했다가 달라지는 등 혼재돼 있다”며 “말이 달라지니 자꾸 문제가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곽 전 사령관에 대한 증인 신문이 끝나고 발언권을 얻어 “오늘 얘기를 들으니까 ‘의원’이 아니라 ‘인원’이라고 이야기 했다고 한다”며 “저는 그냥 사람이란 표현을 놔두고, 또 의원이면 의원이지 인원이라는 말은 저는 써본 적이 없다”고 했다.

윤 대통령 측도 곽 전 사령관의 진술이 계속 바뀌고 있다며 ‘끌어내라’는 지시가 없었다는 취지의 질문도 던졌다. 윤 대통령 변호인단은 “‘사람’이 ‘인원’으로 바뀌고 ‘데리고 나와라’가 ‘끄집어 내라’로 바뀌었다”며 “나중에는 ‘문을 부수고 들어가라’는 말도 추가됐다”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은 곽 전 사령관의 증인신문이 끝난 후 퇴장했다. 변호인단은 ‘휴식 차원’이라고 설명했으며 이후에는 반 수석에 대한 증인신문이 진행됐다.

다음 변론기일은 오는 11일 열린다. 7차 변론에는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백종욱 전 국가정보원 3차장, 신원식 국가안보실장, 김용빈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에 대한 신문이 진행된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150 최상목 “헌재 결정 존중하지만…여야 합의 확인 기관 아니다” new 랭크뉴스 2025.02.07
48149 '지진 느꼈어요' 강원지역서 지진 유감 신고 잇따라…총 13건 new 랭크뉴스 2025.02.07
48148 충주 규모 3.1 지진에 중대본 1단계 가동…위기경보 '경계' new 랭크뉴스 2025.02.07
48147 충주 북서쪽 규모 3.1 지진…“서울서도 진동” 한밤 깜짝 new 랭크뉴스 2025.02.07
48146 윤이 키운 대왕고래, 산업부 “경제성 없다” new 랭크뉴스 2025.02.07
48145 오요안나 '술냄새' 욕한 선배들 …母 "우울증에 잠 못자 술 의지" new 랭크뉴스 2025.02.07
48144 충북 충주 규모 3.1 지진에 소방에도 유감 신고 잇따라 new 랭크뉴스 2025.02.07
48143 "지금 디즈니랜드 왔어요"…출장 중 ‘브이로그’ 찍어올린 공기업 직원 결국 new 랭크뉴스 2025.02.07
48142 기상청 "충북 충주시 북서쪽 22km서 규모 3.1 지진 발생" new 랭크뉴스 2025.02.07
48141 美무역대표 후보, 韓 등의 美플랫폼기업 규제 시도에 "맞설 것" new 랭크뉴스 2025.02.07
48140 [속보]충북 충주 규모 3.1 지진, 기상청 지진규모 너무 큰 오차탓 전국민 단잠 깨워 new 랭크뉴스 2025.02.07
48139 [속보] 충북 충주시에서 규모 3.1 지진 new 랭크뉴스 2025.02.07
48138 [속보] 기상청 "충북 충주시 북서쪽 22km서 규모 3.1 지진 발생" new 랭크뉴스 2025.02.07
48137 충북 충주시 북서쪽 22㎞ 지역서 규모 3.1 지진 발생 new 랭크뉴스 2025.02.07
48136 작년 경상수지 ‘흑자 역대 2위’ 성과…‘트럼프·딥시크 변수’ 올해는 모른다 new 랭크뉴스 2025.02.07
48135 뉴욕증시, 대내외 경제 지표 발표에 혼조세 출발 new 랭크뉴스 2025.02.07
48134 영국, 자국 주재 러시아 외교관 '맞추방' new 랭크뉴스 2025.02.07
48133 2주간 '지진 6000건' 1만 여명 대탈출 공포…유명 관광지 결국 new 랭크뉴스 2025.02.07
48132 "이혼 고민 말고 차라리 죽여라"…내연녀 남편 살해 교사, 상속 재산 노렸다 new 랭크뉴스 2025.02.07
48131 ‘썩지 않는 뇌’ 원한다면, 일상 속 디톡스 어때요 new 랭크뉴스 2025.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