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검찰, 여인형 휴대전화 메모에도 ‘한동훈 이름’ 확인
이진우 육군수도방위사령관이 지난 1월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에 출석하기 위해 국회에 도착하고 있다. 연합뉴스

비상계엄 한달 전 윤석열 대통령과의 만찬 회동에 참석했던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이 자신의 휴대전화로 ‘한동훈 당 게시판 조작’ 논란을 검색한 사실이 6일 확인됐다. 비슷한 시기에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이 작성한 휴대전화 메모에도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등의 이름이 포함된 사실을 확인한 검찰은 윤 대통령이 한 전 대표의 의혹을 거론하며 비상계엄 의사를 내비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검찰 비상계엄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고검장)는 윤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곽종근 전 육군특수전사령관, 이진우·여인형 전 사령관이 국방부 장관 관저에서 저녁 식사를 했던 지난해 11월9일 이 전 사령관이 자정께 휴대전화로 ‘한동훈 당 게시판 조작’을 검색한 사실을 확인했다. 이보다 4일 전인 지난해 11월5일 국민의힘 당원 게시판에는 한 대표와 어머니, 장인·장모, 부인, 딸의 이름으로 윤 대통령 부부를 비방한 글이 올라와 논란이 일었다. 원래 성씨만 노출되는 익명 게시판이었지만 실명으로 작성자 검색이 가능해지면서 한 전 대표가 조직적으로 윤 대통령 부부를 비방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상태였다.

수방사령관이 이 사건을 인터넷에서 검색한 건 당일 윤 대통령과의 회동과 무관하지 않다고 검찰은 보고 있다. 그날 만찬은 윤 대통령이 늦은 시각에 참석해 “특별한 방법이 아니고는 현 시국을 해결할 방법이 없다”며 비상대권 실행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등 계엄령 실행을 준비하는 자리였다. 이 전 사령관은 그 자리에서 윤 대통령에게 수방사의 부대 편성 등을 설명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김 전 장관은 곽 전 사령관에게 비상계엄 선포 뒤 어떻게 할 것인지 물었고, 곽 전 사령관은 “예하 부대 준비태세를 잘 유지하겠다”고 답변했다고 한다. 회동 참석자들은 윤 대통령이 그날 만찬에서 부축이 필요할 정도로 폭음했다고 검찰에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런 진술 등을 바탕으로 지난해 11월부터 계엄을 위한 군 병력 점검 등 실질적인 준비가 이뤄졌다고 결론 내렸다.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뒤 2024년 12월4일 새벽 서울 국회의사당에 무장한 군인들이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연합뉴스

검찰은 당시 만찬에서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의사를 내비치며 그 배경 중 하나로 한 전 대표와 관련된 의혹을 거론하자 이 전 사령관이 ‘한동훈 당 게시판 조작’을 인터넷에서 검색했다고 의심하고 있다. 실제로 한 전 대표는 비상계엄 당시 우원식 국회의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등과 함께 방첩사의 우선 체포 명단에 올랐다. 한 전 대표는 비상계엄 하루 뒤인 지난해 12월4일 윤 대통령을 만나 ‘어떻게 나를 체포하라고 하느냐’라고 항의했지만 윤 대통령은 ‘그런 지시를 한 적 없다. 포고령을 위반해서 그런 것 아니겠냐’고 답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700 권영세, '대왕고래 경제성 없다' 정부 판단에 "시추 더 해봐야" 랭크뉴스 2025.02.07
43699 ‘새벽 지진’에 중대본 가동… 충주 앙성면 규모 3.1 랭크뉴스 2025.02.07
43698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 진출 소식에 관련株 급등 [특징주] 랭크뉴스 2025.02.07
43697 “비트코인 가격 0원 될 것”...천재 경제학자의 ‘충격’ 전망 랭크뉴스 2025.02.07
43696 딥시크 열풍에 가짜 계정 2000개 넘어…딥시크 코인 등 피해 주의해야 랭크뉴스 2025.02.07
43695 윤정부의 ‘대국민 스캠?’···대왕고래 실패에 테마주 급락 랭크뉴스 2025.02.07
43694 2인 1조 '마음 맞는' 직원과 근무 때만 폭행… 삐뚤어진 동료의식이 피해 키웠다 랭크뉴스 2025.02.07
43693 [단독] “계엄옹호 안건 상정하고”…유엔에 ‘셀프칭찬’ 보낸 인권위 랭크뉴스 2025.02.07
43692 아내에 '알몸 드레스' 입힌 유명 래퍼…돌연 "자폐증 진단" 고백, 왜 랭크뉴스 2025.02.07
43691 [속보]충주 지진 규모 4.2→3.1···전국민 새벽잠 깨운 기상청 재난문자 랭크뉴스 2025.02.07
43690 “부하를 믿습니까?”…군 생활 38년 이진우 전 사령관은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2.07
43689 ‘尹 수감’ 서울구치소 앞서 흉기 소란 40대男 검거 랭크뉴스 2025.02.07
43688 트럼프, ‘반기독교 대응 TF’ 설치···“신을 되돌려 오자” 랭크뉴스 2025.02.07
43687 어제 퇴근길 이어 출근길도 곳곳에 '눈폭탄'…전국 종일 영하권 랭크뉴스 2025.02.07
43686 소름 돋는 실수‥10억 원 슈퍼카 한순간에 랭크뉴스 2025.02.07
43685 연애 실종 시대에도 '결정사'는 승승장구…혼인도 맞춤형 시대 랭크뉴스 2025.02.07
43684 파나마 대통령 “미국 ‘운하 무료 통항 합의’는 거짓말” 랭크뉴스 2025.02.07
43683 “더러워서 못 가겠네” 스크린골프 위생 관련 불만 다수 랭크뉴스 2025.02.07
43682 구준엽 "창자 끊어질 듯한 아픔…'아내 유산' 내몫은 장모님께" 랭크뉴스 2025.02.07
43681 세종시 ‘줍줍’ 무순위 청약에 56만명 몰려, 7일도 시세 차익 4억 예상 무순위 접수 랭크뉴스 2025.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