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기재부는 “차단 검토 중”
딥시크 이미지. 로이터연합뉴스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에서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 금지령’이 확산하고 있다. 외교부·국방부·산업통상자원부에 이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환경부·경찰청·금융위원회 등이 개인정보 보안을 이유로 딥시크 접속 차단에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6일 외부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에서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강도현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우선 잠정적으로 딥시크 보안에 관한 문제점들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어 조치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환경부·보건복지부·여성가족부·통일부·농림축산식품부 등도 이날 접속을 차단했거나 차단할 예정이다.

지금도 각 정부 부처는 보안 문제로 내부 전산망과 인터넷이 연결된 외부망을 물리적으로 분리해 운영한다. 정부 내부 업무망에서는 딥시크를 비롯한 모든 생성형 AI에 접속할 수 없고 외부망으로는 가능하다. 환경부 등 일부 부처들은 이날 외부망을 통한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면서 챗GPT 등 다른 생성형 AI의 접속은 막지 않았다.

경찰청도 이날 “개인정보 유출 등 보안 우려가 있어 오전 7시부터 보안상 안전성을 확인할 때까지 딥시크 접근을 차단했다”고 공지했다. 금융위도 이날부터 외부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에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이미 챗GPT를 차단하고 있었는데, 정부에서 공문이 와서 오늘부터 딥시크를 차단 목록에 추가했다”고 설명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날 언론 공지를 통해 “개인정보 밎 민감정보의 수집·처리 관련 약관사항 등이 명확히 확인될 때까지 딥시크 접속을 일시 차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기재부는 딥시크 차단을 검토 중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지침대로 일단 공무원들에게 생성형 AI를 사용할 때 개인정보를 입력하지 말라고 재공지했다”면서도 “외교부·산업부처럼 딥시크를 아예 차단할지는 봐야 한다”고 했다.

국세청처럼 보안 문제로 애초부터 생성형 AI 접속을 막아온 기관들도 있다. 국세청 관계자는 “국세청은 보안 문제로 이중망을 쓰고 있는데, 지난해부터 이미 외부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의 생성형 AI 접근을 차단해왔다”고 설명했다. 한국거래소도 모든 생성형 AI 접속이 차단돼 있다고 밝혔다.

앞서 행정안전부와 국가정보원은 지난 4일 각 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 “생성형 AI 사용 시 개인정보 입력을 자제하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공문엔 ‘딥시크 차단’을 직접 언급하진 않았다. 정부 관계자는 “지난해 챗GPT 때도 개인정보 유출에 유의하라는 비슷한 지침이 왔었다”고 설명했다.

일부 금융회사들도 딥시크 차단에 동참하고 있다. 국책은행인 수출입은행, KB금융·KB국민은행, 하나은행에 이어 우리은행이 이날부터 내·외부 전산망의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금융기관의 경우 내부망에선 애초 딥시크 접속이 불가능하지만, 영업점에 비치된 고객용 PC 등에 사용되는 외부망에서도 딥시크를 전면 차단하고 나선 것이다. 수출입은행 관계자는 “글로벌 모니터링을 통해 딥시크를 둘러싼 개인정보 유출 등에 대한 우려를 인지하고 선제적으로 외부망 차단 조치에 나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신한금융·NH농협은행 등은 망 분리 환경에서 애초에 딥시크 사용이 어려웠던 터라 접속 차단 조치가 불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외부망을 통해 인터넷, 웹메일 등을 사용할 경우에도 일부 영업에 필요한 사이트 외에는 정보보호본부에서 원천 차단하고 있기 때문에 딥시크 접속이 현재도 불가능하다”라고 설명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675 '음모'로 시작해 '협박'으로 끝났다, 하나님도 놀랄 전광훈 회견 [현장에서] 랭크뉴스 2025.02.07
43674 공은 나에게, 책임은 부하에게 [세상읽기] 랭크뉴스 2025.02.07
43673 "침대 흔들려서 깼다"…충주 지진에 3년 전 악몽 떠올린 시민들 랭크뉴스 2025.02.07
43672 구준엽 "아내 유산, 내 몫 권한은 모두 장모님께 드릴 것" 랭크뉴스 2025.02.07
43671 윤 “인원이란 말 써본 적 없다”? ‘군인만 쓰는 용어’라는데 랭크뉴스 2025.02.07
43670 [속보] 네이버, 사상 첫 ‘연간 매출 10조 원’ 시대 열었다 랭크뉴스 2025.02.07
43669 김종인 "한동훈, 신선하고 용기 있다…김문수는 확장성 별로" 랭크뉴스 2025.02.07
43668 테슬라 이어 도요타도 단독 공장… 中 못 버리는 자동차 업계 랭크뉴스 2025.02.07
43667 네이버, 국내 플랫폼 최초 연매출 10조 돌파…영업이익 1.9조 원(종합) 랭크뉴스 2025.02.07
43666 수상한 '카드 발급' 독려‥전광훈 '돈줄' 됐나? 랭크뉴스 2025.02.07
43665 [LA산불 한달] 집 잃은 한인 "맨발로 뛰어나왔는데…다 타버려 막막" 랭크뉴스 2025.02.07
43664 [김원배의 시선]우려되는 헌재의 신뢰도 하락 랭크뉴스 2025.02.07
43663 흑돼지를 현장서 죽여 제물로... 동물학대 논란 제주 의례 '포제' 바뀌나 랭크뉴스 2025.02.07
43662 “의정갈등 때문?” 상급종합병원 6대 암 수술 17% 감소 랭크뉴스 2025.02.07
43661 ‘자회사 팔고 사옥 옮기고’… 허리띠 졸라매는 대형 건설사들 랭크뉴스 2025.02.07
43660 한파 속 이동노동자 몸 녹일 쉼터…“지자체마다 설치 필요” 랭크뉴스 2025.02.07
43659 [단독] "尹, 대왕고래에 동공 흔들"…11조 가치, 4개월 뒤 2000조 랭크뉴스 2025.02.07
43658 140억배럴 산유국 ‘헛꿈’…석유·가스 개발 “원점 재검토해야” 랭크뉴스 2025.02.07
43657 [속보]규모 4.2→3.1...충주 지진, 전국민 새벽잠 깨운 기상청 재난문자 ‘오차’ 랭크뉴스 2025.02.07
43656 충주 지진에 유감신고 23건…피해 접수는 없어 랭크뉴스 2025.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