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5일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에 전시된 금 상품. 연합뉴스
서울에 사는 A씨(42)는 최근 돌 반지 없는 셋째 아들의 돌 잔치를 열었다. 국제 금값이 연일 역대 최고가를 경신하면서 국내 시장에서도 순금 한 돈(3.75g) 돌 반지 가격이 60만 원대까지 치솟은 영향이다. A씨는 “1월에 미리 사둘지 고민했는데 2월에 더 올랐다”며 “지금은 오히려 첫째와 둘째 돌 반지를 팔아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금값 부담이 커지면서 1g 미니 금반지와 금수저, 0.2g 골드바를 끼워 넣은 종이 돌 반지 등도 인기를 끌고 있다.

5일 한국거래소(KRX) 금시장에서 금 현물의 1g당 가격은 14만7820원으로 마감했다. 전 거래일 종가(14만1350원) 대비 6470원(4.58%)이나 올라 최고가를 경신했다. 상승 폭으로 보면 역대 네 번째다. 1년 전인 지난해 2월 5일과 비교하면 8만7050원에서 69.8%나 급등했다. 한국금거래소에서 순금 한 돈을 살 때 가격도 5일 기준 56만6000원으로 올해 들어 7% 넘게 상승했다. 세공비·부가세 등을 더하면 소비자 가격은 60만원을 넘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금 거래대금은 188억3637만원으로 거래소 금 시장이 개장한 2014년 3월 24일 이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거래소 일일 금 거래대금이 1000억원을 넘은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미ㆍ중 관세 전쟁의 서막이 오르면서 금값은 연일 치솟고 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본격화하면 물가가 치솟고 경기는 침체할 수 있다는 불안감에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커진 영향이다. 포렉스 라이브(Forex Live) 등 외신에 따르면 4일(현지 시간) 금 현물 가격은 장중 온스 당 2845.48달러(약 414만 원)에 거래되며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금 선물 가격도 치솟았다. 뉴욕 상업거래소에서 4월 인도분 금 선물 종가는 전날보다 0.7% 상승한 2875.8달러로 고점을 다시 찍었다.
신재민 기자

국제 금융시장에서 금 가격은 2023년 10월부터 가파르게 상승해왔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5.5%까지 오른 때다. 미국 금리가 높으면 달러가 강세를 나타내기 때문에 투자 수요가 몰리면서 금 가격은 약세이기 마련인데, 이 공식이 깨졌다. 그해 10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발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등으로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면서 금의 가치가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각국 중앙은행들이 외환보유고 다각화 차원에서 금을 매입해온 것도 금값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2022년 러-우 전쟁 이후 서방국가가 러시아 중앙은행 자산을 동결하면서 미 달러화 체제에 불안을 느낀 신흥국 중앙은행들이 금 보유량을 크게 늘렸다. 지난해 세계금위원회(WGC)가 68개국 중앙은행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10곳 중 3곳(29%)은 향후 12개월 내 금 보유를 늘리겠다고 답했다. 2019년 8%에서 크게 상승했다. 금속정보업체 키트코 메탈스의 짐 와코프 수석 시장 분석가는 “트럼프 행정부의 시장 불확실성 초래,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 증가 가능성 등을 고려하면 금값은 올해 온스당 3000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올해 금값이 오르더라도 상승 폭은 제한적일 거란 전망이 나온다. 금 가격이 고평가돼 있다는 견해가 우세한 만큼 가격 조정을 받을 수 있다는 얘기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 우려를 키우면서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가 약해진 것도 금값을 진정시키는 요인이다. 금은 인플레이션 리스크를 분산하는 자산이지만, 금리가 너무 높으면 금의 투자 매력은 줄어든다. 미 경제가 연착륙하면서 다시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고, 트럼프 정부의 정책 지원이 더해지면서 주식ㆍ가상자산 등으로 투자가 분산될 여지도 있다.

백석현 신한은행 이코노미스트는 “지정학적 리스크, 미국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가 커지면 금 가격이 더 상승할 수 있다”며 “다만 상승 폭은 한계가 있는 만큼 금 보유 비중을 과도하게 늘리기보다 자산 포트폴리오의 일부로 생각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741 패망 위기 한국에 홀연히 온 귀인…  80일 만에 전세 뒤집은 한국전 최고영웅 [명장] new 랭크뉴스 2025.02.06
47740 경찰관들 빤히 보고도…만취 운전자의 무모한 도주 [잇슈 키워드] new 랭크뉴스 2025.02.06
47739 세월호 변호사에 80년대생까지…尹변호인단 규모 확 커졌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738 시리아 철군 현실화하나… "미 국방부, 전원 철수 계획 마련 중" new 랭크뉴스 2025.02.06
47737 유시민 "野 비명계 주자 망하는 길로, 김경수 지도자 행세 말라" new 랭크뉴스 2025.02.06
47736 “가자 파병 계획없어”…백악관 하루 만에 트럼프 발언 주워담기 new 랭크뉴스 2025.02.06
47735 [속보] 尹, 6차 탄핵심판 변론 출석 위해 구치소 출발 new 랭크뉴스 2025.02.06
47734 인권위 상임위원 “대통령 탄핵하면 헌재 부숴 없애버려야” new 랭크뉴스 2025.02.06
47733 “인원 끄집어내라, 윤 대통령이 지시” 곽종근, 오늘 헌재 증언대 선다 new 랭크뉴스 2025.02.06
47732 감세 이어 ‘성장 우선’ 시동…이재명 ‘급속 우회전’ 당내 시끌 new 랭크뉴스 2025.02.06
47731 트럼프의 DEI 정책 금지에 美육사 한국계 생도 클럽도 해산 new 랭크뉴스 2025.02.06
47730 트럼프, '성전환자의 여성 스포츠 출전금지' 행정명령 서명(종합) new 랭크뉴스 2025.02.06
47729 대만 최대 폭력조직 '죽련방' 두목 사망…암흑가 대부로 30년 군림 new 랭크뉴스 2025.02.06
47728 朴탄핵 비교해보니…보수 결집했지만 중도선 여전히 "정권교체" [김정하의 이슈해부] new 랭크뉴스 2025.02.06
47727 마포 공덕자이 '10년 숙원' 등기 완료…"재산권 행사 가능해져" new 랭크뉴스 2025.02.06
47726 中 맞서 ‘10만 로봇 양병계획’ 공개한 이 기업 new 랭크뉴스 2025.02.06
47725 트럼프 '가자 점령 구상'에 미 정치권 격돌… 백악관 "대담하고 신선" 민주 "인종 청소" new 랭크뉴스 2025.02.06
47724 4兆 거인된 다이소와 올리브영… 가성비와 K뷰티가 바꾼 유통 지형 new 랭크뉴스 2025.02.06
47723 벌써 '트럼프 탄핵' 나왔다…"가자지구 소유는 반인륜 범죄" new 랭크뉴스 2025.02.06
47722 구준엽 부인 쉬시위안 사망에 놀라… 대만 독감백신접종 하루 4만명 몰려 new 랭크뉴스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