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딥시크. [사진 딥시크 웹사이트 캡쳐]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프로그램 딥시크를 둘러싸고 데이터 보안 우려가 불거지자 우리 정부가 ‘딥시크 주의보’를 발령했다. 일부 기관·기업에선 딥시크 접속을 금지하고 나섰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4일 중앙 부처와 17개 지방자치단체에 ‘AI 관련 보안 가이드라인’을 발송했다”고 5일 밝혔다. 공문에는 생성형 AI에 개인정보 입력을 자제하고, 공직 내부 정부를 AI에 올리는 행동을 유의해달라는 내용이 담겼다는 것이 행안부 관계자의 설명이다.
개발자 조비(32)씨가 로컬PC에서 가동한 딥시크 프로그램. [중앙포토]
행안부의 공문에는 딥시크가 직접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이 공문을 받은 일부 부처는 딥시크 접속 제한에 나섰다. 정부세종청사 일부 컴퓨터는 외부 접속이 가능하지만 딥시크에는 접속할 수 없는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와 국방부는 5일 부처 인터넷망을 통한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민감한 산업·에너지·통신 정보를 다루는 만큼 자체 판단을 통해 차단했다”며 “별도 지침이 있기 전까지는 딥시크 차단을 유지한다는 방침”이라고 말했다. 국방부 관계자도 “딥시크에 대한 대내·외의 기술적 우려가 다수 제기되고 있어 군 업무용 인터넷 PC에 한해 접속 차단을 조치했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는 행안부의 권고 사항을 전 직원에게 주지시킨 후 딥시크 접속 차단 여부를 검토 중이다. 외교부도 “구체적인 보안 조치는 확인할 수 없다”는 입장이지만 전반적인 보안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정부가 긴밀하게 움직이는 건 아직 시장에서 충분히 검증을 거치지 않은 중국산 AI 프로그램에 기밀 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다만 정부는 딥시크를 타깃으로 했다기보다는 기술적 우려가 불거지는 생성형 AI 전반의 상황을 고려했다는 입장이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이번 공문에 ‘딥시크’라는 단어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며 “생성형 AI 사용을 전면적으로 금지한다는 의미도 아니다”고 말했다.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한국인공지능협회 주최 '딥시크 쇼크 대응과 AI 발전 전략 긴급 간담회' [뉴스1]
딥시크 사용을 금지한 공기업도 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지난 1일 사내 업무망에 ‘중국 AI 서비스 딥시크 사용 금지’라는 제목의 공문을 게시했고, 한전KPS도 유사한 지침을 사내에 공지했다.

민간 기업도 비슷한 분위기다. 카카오는 최근 사내에 ‘업무 목적으로 딥시크 이용을 금지한다’고 공지했고, LG유플러스도 5일 사내망을 통해 ‘업무용으로 딥시크를 활용하는 것을 금지한다’며 ‘개인 PC에서도 딥시크 사용을 자제하는 편이 좋다’는 내용의 정보보안 안내문을 공지했다.

한편 행안부 산하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개인정보위)는 지난달 31일 딥시크 본사에 개인정보 수집 항목·절차·처리·보관 등의 확인을 요청하는 질의서를 발송했다. 개인정보위 관계자는 “아직 딥시크 본사 측으로부터 회신을 받지 못했다”며 “통상 기업에 유사한 질의서를 발송한 경우 회신을 받는데 평균 1~2주 정도 걸리기 때문에 당분간 회신을 기다릴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058 먹고살기 힘들다면서 명품 '오픈런' 하더니…불황 속 역대 '최대 매출' 찍었다 랭크뉴스 2025.02.05
43057 특전사, 내란 9개월 전 ‘국회 헬기 착륙 장소’ 점검했다 랭크뉴스 2025.02.05
43056 신동아건설, 법정관리 신청 직전 ‘HUG 분양보증심사’ 사실상 ‘만점’ 받았다 랭크뉴스 2025.02.05
43055 "호텔을 왜 가? 집이 더 좋은데"…한강 보며 스파하고 주차도 척척해주는 '요즘 아파트' 랭크뉴스 2025.02.05
43054 산업부 등 정부 부처도 '딥시크' 임시 접속 차단... 기업들도 줄줄이 "경계령" 랭크뉴스 2025.02.05
43053 이재용의 '뚝심'…삼성, 업황악화에도 채용 4700명 늘려 랭크뉴스 2025.02.05
43052 ‘부정선거 주장’ 황교안 전 총리, 윤석열 변호인단 합류 랭크뉴스 2025.02.05
43051 中 정보 유출 우려… 행안부 등 정부·기업 ‘딥시크’ 주의보 랭크뉴스 2025.02.05
43050 '서부지법 난입' 전광훈 교회 특임전도사 구속 "증거인멸·도망 염려" 랭크뉴스 2025.02.05
» »»»»» 딥시크 뜨자, 정부 칼뺐다…"기밀유출 우려 접속 차단" 랭크뉴스 2025.02.05
43048 [단독]핵심정보 유출 가능성…산업부 '딥시크 금지령' 랭크뉴스 2025.02.05
43047 "조사 때 변호사 있었죠?" 핵심 찌른 재판관들 질문 랭크뉴스 2025.02.05
43046 '주52시간 예외' 반도체법 두고 野 진통… "민주당이 윤석열이냐" 반발 랭크뉴스 2025.02.05
43045 구준엽 아내 쉬시위안 ‘1200억 유산’ 어디로…대만 시끌 랭크뉴스 2025.02.05
43044 한방 70명 다닥다닥…美불법체류자, '철로 만든 지옥' 갈 판 랭크뉴스 2025.02.05
43043 ‘법원 난동 가담’ 전광훈 목사 특임전도사 윤모씨 구속 랭크뉴스 2025.02.05
43042 ‘부정선거론’ 황교안, 尹 내란죄 형사재판 변호인단 합류 랭크뉴스 2025.02.05
43041 '서부지법 난동' 2번째 사랑제일교회 특임전도사 구속(종합) 랭크뉴스 2025.02.05
43040 국방·외교·산업부, 딥시크 접속 차단…카카오 등도 '금지령'(종합3보) 랭크뉴스 2025.02.05
43039 '이재명이 틀렸다'… 비명계 3金 '李 약한 고리' 때리기 협공 랭크뉴스 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