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선포 이틀 뒤인 지난해 12월 5일 아침.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이 국회에 보고된 직후로 대통령이 담화를 통해 직접 입장을 밝힐 거란 관측이 나왔습니다.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은 이날 아침 7시 50분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에게 텔레그램 메시지를 보냅니다.
'정말 진심으로 말씀드립니다'로 시작하는 메시지.
'대국민 담화는 천재일우의 기회'라며 '나라를 위해 하고 싶은 일이 쌓였는데 모두 손가락질하고 국회가 모든 일에 발목을 잡는 답답함을 솔직히 이야기 하시고 예산을 막고 탄핵을 계속한다면 대통령에게도 이런 마지막 카드가 있다는 시위였다고 사과하셔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홍장원/전 국가정보원 1차장(4일, 탄핵심판 변론기일)
"모든 것이 다 일어나지 않은 것처럼 돌아올 수는 없겠다라는 생각이 들어서 이런 상황에서 뭔가 빨리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이게 좀 더 큰 위기로 다가오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사실은 대통령님을 도와드리고 싶었습니다."
담화의 태도 대해서도 간언했습니다.
'난 잘못한 게 없다가 아니고 부족해서 죄송하다고 하셔야 한다', '눈물을 흘리시고 무릎을 꿇으셔야 한다', 또 '절대로 앉아서 발표하는 교만한 분위기는 안 된다', '국민이 깜짝 놀랄 만큼이어야 한다', '무릎 꿇으셔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하지만 이 메시지에 대해 김태효 차장은 답을 하지 않았다고 했습니다.
▲홍장원/전 국가정보원 1차장(4일, 탄핵심판 변론기일)
("이 메시지에 대한 김태호 차장의 답이 있었습니까?") "없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틀 뒤인 12월 7일 대국민 담화를 통해 사과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대국민 담화(지난해 12월 7일)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하며 많이 놀라셨을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하지만 닷새 후 담화에선 공세적 태도로 변하며 지지층 결집을 시도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지난해 12월 12일)
"도대체 2시간짜리 내란이라는 것이 있습니까? 저는 마지막 순간까지 국민 여러분과 함께 싸우겠습니다."
홍 전 차장이 메시지를 보낸 날 오후 4시, 홍 전 차장은 대통령의 뜻이었다며 조태용 국정원장으로부터 경질 통보를 받았다고 했습니다.
KBS 뉴스 신선민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