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미국 조지아주 잭슨 카운티 커머스시에 짓고있는 SK이노베이션 전기차 배터리공장.

정부와 배터리 기업은 캐나다에서 생산되고 있는 이차전지를 미국 외 국가에 수출 가능한지 검토한다. 미국 싱크탱크 전문가를 섭외해 한미 배터리 동맹 필요성을 담은 분석 보고서도 발간한다. 자동차 업계는 미국 내 자동차 생산을 늘리고, 멕시코산 자동차에 관세가 부과될 경우 생산지 변경에 나선다.

정부는 5일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미 신정부 출범에 따른 산업별 영향 및 대응방향’을 발표했다. 이날 회의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개최됐으며, 반도체·배터리·조선·자동차·철강 협회장이 참석했다.

배터리 업계는 트럼프 2기의 통상 안보 정책이 양날의 검이라고 보고 있다. 미국이 캐나다에 25% 관세 부과를 할 경우, 캐나다에 투자한 우리 기업의 가격 경쟁력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 반면 중국산 배터리 제품 관세 인상 시 우리 기업의 가격 경쟁력이 상승해 중국 공급망을 대체할 수 있게 된다.

배터리 업계는 트럼프 정부의 정책 피해를 막기 위해 캐나다에서 생산되는 이차전지 모델을 유럽 소재 공장에 수출할 수 있는지 검토하고 있다. 협회와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3사는 대미 아웃리치 활동도 전개할 예정이다. 미국에 공장이 있는 3사는 투자지역 7개주정부·의회·카운티를 대상으로 ▲미국 배터리 산업의 중요성 ▲한국 기업의 미국산 배터리는 미국 국가 안보 이익에 부합하다는 점 ▲한국 배터리 기업이 공급망 안정화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 ▲한국 기업의 배터리는 미국산 배터리라는 점을 강조한다. 또 워싱턴 D.C에서 한미 배터리 포럼을 개최하고, 주요 핵심 인사를 면담한다. 미 국제전략연구소(CSIS), 미국우선정책연구소(AFPI)를 비롯한 싱크탱크의 전문가를 섭외해 한미 배터리 동맹 필요성을 담은 분석 보고서도 발간할 예정이.

자동차 업계는 한국에 보편 관세가 도입될 경우 수출 물량 유지에 차질을 빚고 수익성에 타격을 입을 것이라 우려하고 있다. 현재 한국 자동차의 대미 수출 비중은 50% 이상이다. 멕시코산 차량에 관세가 부과될 경우에도, 현지공장 대미 완성차 수출이 감소하고, 수익성이 악화될 뿐 아니라, 부품 공급에 차질을 빚어 가격 경쟁력 하락 우려가 있다. 자동차 업계는 이외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고율관세, 쿼터 설정 부과, 전기차 보조금 폐지 정책을 펼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자동차 업계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대미 투자확대와 현지화에 힘쓴다는 계획이다. 현대차는 앨라바마·조지아, 매타플랜트 생산공장, 연구개발(R&D)시설을 포함해 약 200억달러를 투자하고, 57만명을 고용할 예정이다. 아세안 지역으로도 투자·수출을 다변화한다. 멕시코에 관세 부과시 멕시코산 자동차의 생산지를 변경하고, 멕시코산 자동차는 북남미, 유럽 등으로 판로를 확대한다.

현대차는 인도네시아에 15만대 규모의 완성차 공장을 세우고, 베트남에 20만대 규모의 조립공장을 운영할 계획이다. 인도네시아·태국·베트남 등 아세안 주요국을 대상으로 민·관 네트워킹 활동을 추진한다.

또 전문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시나리오별 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 대미 자동차 무역수지 흑자국인 유럽, 독일, 일본 등의 자동차협회들과 협력에 나선다.

철강 업계는 미국에서 철강 수입 장벽 강화 정책을 시행하게 되면, 공급망에 차질이 생길거라 우려하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철강 232조 재조사 여부를 검토하고 있으며, 오는 4월 발표할 예정이다. 한국을 대상으로 한 연간 263만톤 무관세 쿼터가 폐지될 경우 현대기아차, 삼성, LG 등의 소재 공급에 차질을 빚을 수도 있다.

철강 업계는 화석 에너지 공급 확대, 인프라 건설 신속 추진 등 관련 행정명령을 분석해 미국 제조업 부흥에 기여하겠다는 논리를 수립하고, 수급이 부족한 품목의 쿼터 확대를 위해 대응 논리를 개발할 계획이다. 또 미국 정부, 상하원의원, 싱크탱크를 대상으로 한국산 상품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아웃리치를 추진한다. 이외에도 수입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고, 무역 구제 조치를 적극적으로 검토한다.

한편, 조선 업계는 트럼프 행정부의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 중 하나다. 미국이 해양 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있어 군함 유지·보수·운영(MRO) 수주를 확대하고, 신조 수주를 할 가능성이 높다. 정부는 범부처 협의체를 통해 민·관 협의체를 구성하고 한·미 조선업 협력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385 ‘파오차이 찌개 먹었어요’ 쓴 中 출신 아이돌…서경덕 “정말 잘못한 일” 랭크뉴스 2025.02.05
47384 부영의 ‘자녀 1명당 1억’ 출산 장려금, 지난해 28억 지급 랭크뉴스 2025.02.05
47383 내란 혐의 국조특위 구치소 현장 조사…여야, ‘윤석열·이재명’ 공방 랭크뉴스 2025.02.05
47382 전한길 “아내가 집 나가려고 해… 2030 제자 위해 희생” 랭크뉴스 2025.02.05
47381 배현진, 故 오요안나 사건에 "MBC, 괴롭힘 쉬쉬하는 사내 문화" 랭크뉴스 2025.02.05
47380 [정책 인사이트] 아이 낳고 85% 산후조리원 이용… 평균 12.6일 머물며 286만원 랭크뉴스 2025.02.05
47379 이재명, 尹 향해 “내란사태 희화화 정신차리길… 나라 망할 뻔했다” 랭크뉴스 2025.02.05
47378 김용현, ‘서부지법 난동’ 구속 30여명에 영치금…“애국청년” 랭크뉴스 2025.02.05
47377 10억치 마약 전국 풀렸다… 집단투약 온상 된 ‘外 전용’ 업소 랭크뉴스 2025.02.05
47376 헌재, 尹 탄핵심판에 '건강 이유 불출석' 조지호 다시 부른다 랭크뉴스 2025.02.05
47375 [단독] “나경원 해임 기사 보내니 용산 사모님이 좋아하네요” 랭크뉴스 2025.02.05
47374 '한국어 성능 떨어지는 딥시크' AI 스타트업들, 위기이자 기회 [한국 뒤흔드는 딥시크 폭풍] 랭크뉴스 2025.02.05
47373 트럼프 “미국이 가자지구 인수할 것…중동의 리비에라 만들겠다” 랭크뉴스 2025.02.05
47372 생활고 지인에 돈 보내며 "힘내"…故오요안나의 마지막 통화 랭크뉴스 2025.02.05
47371 내란 국조특위, 동부구치소 찾아... “김용현 거부로 현장조사 무산” 랭크뉴스 2025.02.05
47370 ‘尹 내란 우두머리 혐의’ 공소장과 군 지휘부 증언 엇갈려 랭크뉴스 2025.02.05
47369 그냥 감기인 줄 알았는데 후두암 말기?…'이것' 방치했다간 큰일 난다는데 랭크뉴스 2025.02.05
47368 [속보] 경찰, 계엄 이후 첫 고위직 승진 인사…새 치안정감에 박현수 내정 랭크뉴스 2025.02.05
47367 이틀만에 5.5만명 돌파…전한길도 가입한 '尹국민변호인단' 뭐길래 랭크뉴스 2025.02.05
47366 최상목 대행 “첨단전략산업기금 신설”…배터리 등 첨단산업에 34조 원 이상 지원 랭크뉴스 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