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환경부, 야생생물법 하위법령 개정안 발표
파충류 등 야생생물 사육·영업 기준 강화될 듯
수입 가능한 백색목록종은 총 897종 선정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서울 K렙타일페어에 전시돼 있는 미어캣. 환경부는 수입 가능한 야생동물을 정하는 백색목록에 미어캣을 포함했지만 동물단체는 가정에서 이들의 복지 기준을 충족시킬 수 없다며 반대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올해 12월부터 야생동물을 20마리 이상 보유하거나 기르면서 판매할 경우 지방자치단체장으로부터 허가
를 받도록 하는 등 야생동물 영업 전반에 대한 관리 강화를 추진한다.

환경부
는 지난달 23일 '지정관리 야생동물 백색목록 마련을 위한 이해관계자 3차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를 위한 법률(야생생물법) 하위법령 개정안 주요 내용을 발표했다.

이는 올해 12월부터 시행되는
수입 가능한 야생동물을 정하는 '백색목록' 제도
에 맞춰 야생동물 수입·유통·영업 등 전 과정에 대한 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조치다.
백색목록이란
법정 관리를 받지 않아 관리 사각지대에 놓인 야생동물을 '지정 관리 야생동물'로 분류하고 이 가운데 특정 야생동물종의 목록을 작성해 이에 포함된 종을 제외한
다른 모든 야생동물종의 수입, 판매, 개인 소유를 금지하
는 제도다.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서울 K렙타일페어를 찾은 관람객이 도마뱀붙이(게코)를 살펴보고 있다. 뉴스1


지금까지는 허가를 받거나 신고를 해야 기를 수 있는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사이테스)에 해당하는 종을 제외한
야생동물들은 어떠한 규제 없이 기르거나 매매
할 수 있었다.

환경부가 내놓은 개정안을 보면
20개체 이상 야생동물을 보유 및 사육하면서 판매
(파충류, 양서류만을 취급하는 경우 50개체 이상)하거나
월평균 10개체 이상 야생동물
(파충류, 양서류만을 취급하는 경우 20개체 이상)을
판매
하는 경우 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허가를 받아야 한다. 또 영업장은 독립된 건물이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시설과 같은 건물일 경우 분리하는 등 업종별 허가 기준 및 준수사항이 신설됐다.

더불어
야생동물을 실물을 보여주지 않고 판매해서는 안 되며
야생동물을 판매 또는 전달할 경우 직접 전달하거나 전문 운송업체를 통해야 하는 내용도 담겼다.

수입 가능한 백색목록 897종 선정, 되레 늘어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서울 K렙타일페어에서 관람객들이 동물들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환경부 산하
국립생물자원관
은 또 백색목록 평가표와 이를 통해 선정된 후보종인 총 897종(파충류 664종, 포유류 8종, 조류 16종, 양서류 209종)을 공개했다. 현재 수입되는 891종보다 7종이 늘었다. 자원관은 지난해 11월 백색목록 후보종으로 총 723종을 발표한 후 업계 관계자와 시민들의 의견을 취합해 435종을 신규로 평가하고 이 가운데 177종을 추가로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연관기사
• 내 도마뱀이 교란종?... 동물복지·평가위원 기준 허술한 백색목록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120917040003619)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서울 K렙타일페어에서 관람객들이 너구리를 만져보고 있다. 연합뉴스


야생동물 거래 전반에 대한 관리방안이 추진되는 것과 관련 동물권 단체는 긍정적 입장이다.
이형주 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 대표
는 "지금까지 야생동물 사육과 매매에 대한 어떤 관리방안도 없었던 만큼 이번 하위법령 개정을 통해 이들을 제대로 제도권 내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또 "백색목록 평가 기준에는 여전히 동물복지 항목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조희경 동물자유연대 대표
도 "이번 기회로 판매자가 사육하려는 이들에게 양육, 보호 관리 관련 교육을 제공하는 등 제대로 키울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나아가 사육 문턱을 높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편 환경부 생물다양성과 관계자는 "개정안 하위법령 내용과 백색목록에 대해 이달까지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4월에 다시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2734 “폭력적인 범죄자? 우리한테 다 맡겨”…미국과 '대리 수용' 합의한 '이 나라' 랭크뉴스 2025.02.05
42733 "너는 외로운 아이가 아니었다" 41년 전 입양 간 동생 찾는 누나가 쓴 편지 랭크뉴스 2025.02.05
42732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되돌린다"…가역치료 실험으로 증명 랭크뉴스 2025.02.05
42731 이젠 '구속 취소' 청구까지‥재판부엔 '훈수' 랭크뉴스 2025.02.05
42730 [속보] 1월 소비자물가 2.2% 상승…5개월 만에 2%대 랭크뉴스 2025.02.05
42729 임대주택 산다는 게 자랑이 될 수 있을까… LH의 리모델링 도전 랭크뉴스 2025.02.05
» »»»»» [단독] 야생동물 20마리 이상 사육·판매 시 허가제 검토 중···문턱 높이나 랭크뉴스 2025.02.05
42727 1월 소비자물가 2.2% 상승…3개월 연속 올라 2%대 진입 랭크뉴스 2025.02.05
42726 [2보] 1월 소비자물가 2.2% 상승…3개월 연속 올라 2%대 진입 랭크뉴스 2025.02.05
42725 양문석 "국힘 지지자 '이재명 체포조'모집, 조건은 무술 유단자" 랭크뉴스 2025.02.05
42724 "지금 개헌 안하면 다음 대통령도 똑같은 일 당할 것" [강찬호의 뉴스메이커] 랭크뉴스 2025.02.05
42723 미·중 기술 패권 또다른 전장…차세대 통신 리더 ‘오픈랜’[경제밥도둑] 랭크뉴스 2025.02.05
42722 10년 후 택시 1만 대가 하늘에 뜬다…성큼 다가온 UAM 시대 승자는? [베인의 위닝 전략] 랭크뉴스 2025.02.05
42721 국회까지 나온 무속인‥"군인들 배신 여부 물어" 랭크뉴스 2025.02.05
42720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 vs 어피니티, 13년 전 백기사 왜 악연이 됐나 랭크뉴스 2025.02.05
42719 트럼프, 팔레스타인 이주 방안 고수… "가자는 철거 지역" 랭크뉴스 2025.02.05
42718 한미약품 지난해 매출 1조4955억원…‘로수젯’ 판매 순풍 랭크뉴스 2025.02.05
42717 1월 외환보유액 4110억달러…‘환율 방어’ 등에 46억달러 감소 랭크뉴스 2025.02.05
42716 "트럼프, 加·멕에 전면관세 직전 비서실장은 '車는 예외' 언급" 랭크뉴스 2025.02.05
42715 배현진, 故오요안나 사건에 "MBC, 괴롭힘 쉬쉬하는 문화 있다" 랭크뉴스 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