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에 도착한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 박해리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의 3자 회동이 4일 서울에서 열렸다.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은 삼성전자와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협력 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손 회장은 이날 오후 2시 40분경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사옥에 방문해 “오늘 회동의 메인 어젠다는 무엇인가”라는 국내 취재진들의 질문에 “스타게이트에 대한 업데이트 상황과 삼성과의 잠재적인 협력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라고 답했다. 이어 “이재용 회장에게 투자요청을 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에는 “아직 알 수 없다. 이제 논의를 해봐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날 회동은 올트먼 CEO와 이재용 회장, 삼성전자 DS부문 경영진과의 면담에 손 회장이 전격 합류하는 식으로 이뤄졌다. 중국 딥시크의 약진 속에 오픈AI와 소프트뱅크는 5000억 달러(약 720조원) 규모 인공지능(AI) 인프라 프로젝트 ‘스타게이트’ 합작 등으로 밀착하는데, 여기에 반도체·하드웨어 열쇠를 쥔 삼성전자와의 협력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막대한 투자와 경험이 필요한 반도체 제조사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공급망의 핵심 구성원이자, 잠재적인 AI 대형 투자자다.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와의 회동을 위해 4일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사옥에 도착하고 있다. 르네 하스 Arm CEO도 이날 회동에 배석했다. 뉴스1
이날 회동에는 손 회장과 함께 르네 하스 Arm CEO도 자리했다. 소프트뱅크그룹 자회사인 반도체 설계자산(IP) 기업 Arm은 ‘스타게이트’ 에도 참여하고 있다. 최근 Arm은 반도체 설계회사들에 설계 밑그림을 제공하는 로열티 사업에서 벗어나, 직접 칩을 설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날 회동에서 반도체 제조사 삼성과의 협력이 구체화될지 주목된다. 회동은 1시간 50분 가량 진행됐다. 회동을 마치고 난 후 손 회장은 다시 취재진들과 만나 “(오늘 회동에서) 좋은 논의가 있었다. 모바일 전략과 AI전략에 대해서 주로 이야기를 나눴다”고 말했다. “삼성이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참여하는가”란 질문에는 “논의할 예정이고 좋은 대화가 있었다”라고 답했다. 이어 “한국은 훌륭한 엔지니어와 훌륭한 기술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미래가 밝다고 생각한다. AI는 현재 모든 국가에서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소프트뱅크에서 개발할 AI반도체를 삼성전자 파운드리를 통해 제작할 것이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르네하스 CEO가 “삼성은 훌륭한 파트너다. 우리가 말할 수 있는 건 없다”고 대신 답했다.
전날 회계부정 혐의 등으로 기소된 항소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은 이재용 회장은 바로 다음날 글로벌 기업인들과 AI 회동을 하며 본격적인 경영 행보를 시작했다. 딥시크발 AI 충격이 세계를 뒤 흔드는 가운데 ‘한·미·일 AI 동맹’으로 삼성이 발빠르게 대응할지 주목된다.
손 회장과 올트먼 CEO는 지난 3일 일본에서 양사가 합작사를 세워 기업용 생성AI ‘크리스털 인텔리전스’를 개발·판매하겠다고 깜짝 발표했다. 4일 3자 회동에서 삼성의 칩 제조사로서의 역할 외에도 오픈AI가 구상하는 새로운 소비자 용 AI 기기, 한국 내 AI 시장 공동 공략 등 다양한 사업 협력안이 논의될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