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탄핵심판 5차 변론기일 출석
“호수 위 달그림자 쫓는 느낌”…생중계된 사실마저 부인 윤석열 대통령이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다섯 번째 변론에 피청구인으로 출석해 진술하고 있다. 헌법재판소 제공


“엉터리 투표지들 많았기 때문”

구체적 행위엔 군에 책임 돌려

“아무 일도 안 일어나” 궤변 일관


홍장원 “윤, 싹 잡아들이라 해”

이진우 “윤과 계엄날 세번 통화”


윤석열 대통령이 4일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5차 변론에 출석해 12·3 비상계엄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군병력 출동을 “내가 지시했다”고 밝혔다. “엉터리 투표지들이 나왔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윤 대통령은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도 이뤄지지 않은 일이라 실체가 없다”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중앙선관위에 군병력이 출동한 데 대해 “제가 김용현 (국방부) 장관에게 얘기한 것”이라며 “검찰에 있을 때부터 선거 사건, 선거 소송에 대해 보고받아 보면 투표함을 개함했을 때 상식적으로 납득이 안 가는 엉터리 투표지들이 많이 나와 있기 때문에 문제가 있겠다는 생각을 해왔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실행방안에 대해선 떠넘기기로 일관했다. 윤 대통령은 “(출동한 군인들은) 서버를 압수하네 뭐네, 이런 식으로 생각할지 모르지만 제가 내린 지시는 장비가 어떤 시스템으로 가동되는지 보라는 것이었다”며 “국방부 장관도 지휘관, 사령관들한테 ‘이 계엄은 곧 해제될 계엄’이라는 얘기를 안 하고, 헌법에 따라 각자 맡은 업무를 하도록 했기 때문에 각자 정해진 매뉴얼대로 하다보니까 저나 장관이 생각한 것 이상의 어떤 조치를 준비했을 수는 있다”고 말했다. 헌법기관인 선관위에 영장도 없이 군 투입을 지시했으면서도 ‘단순한 점검’ 차원이었고, 부하직원들이 자신의 뜻을 과도하게 해석해 수행했다는 궤변을 내놓은 것이다.

선관위 장비시스템 문제를 점검하려면 방첩사령부나 사이버사령부가 투입돼야 했지만 당시 정보사령부 요원들이 투입된 것은 김 전 장관 탓으로 돌렸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전혀 압수한 게 없는 것으로 보고받았다”며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밤중에 선관위에 들이닥쳐 직원들의 휴대전화를 압수하고 청사를 폐쇄했지만 서버를 압수하지 않아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윤 대통령은 군경 지휘관에게 ‘국회의원을 끌어내라, 체포하라’고 지시했다는 의혹에 대해선 “실제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았는데 지시를 했니 지시를 받았니 이런 얘기들이 마치 호수 위에 떠 있는 달그림자 같은 것을 쫓아가는 느낌을 좀 많이 받았다”고 말했다. 계엄 당시 경찰이 국회의원들의 국회 진입을 통제하고, 군이 국회의사당에 난입하는 장면이 방송으로 생중계됐는데도 이를 부인한 것이다.

증인으로 나온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은 ‘정치인 체포조’가 있었다고 반박했다. 홍 전 차장은 국회 측이 “윤 대통령이 전화해서 ‘이번 기회에 싹 다 잡아들여. 싹 다 정리해. 국정원에 대공수사권 줄 테니 방첩사를 도우라’는 취지로 말했느냐”고 묻자 “그렇게 기억한다”고 답했다. 홍 전 차장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과의 통화에서 여 전 사령관이 정확히 ‘체포조’를 언급하며 “체포 대상자를 1·2조로 구분해 위치추적을 요청했다”고도 밝혔다.

윤 대통령은 계엄 선포 당일 홍 전 차장에게 직접 전화를 한 것에 대해 “계엄사무가 아닌 간첩 검거와 관련해 방첩사를 도와주라고 한 것”이라며 “계엄 상황과 관계없는 얘기를 한 것”이라고 말했다. 긴박한 비상계엄 선포 상황에서 간첩을 잘 잡으라고 전화했다는 주장이다.

증인으로 나온 이진우 전 육군 수도방위사령관은 비상계엄 당일 윤 대통령과 세 차례 통화를 한 사실을 인정했다. 여 전 사령관도 증인으로 출석해 김 전 장관이 직접 정치인 체포조 등의 출동을 지시했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280 [속보] 1월 소비자물가 2.2% 상승…5개월 만에 2%대 랭크뉴스 2025.02.05
47279 임대주택 산다는 게 자랑이 될 수 있을까… LH의 리모델링 도전 랭크뉴스 2025.02.05
47278 [단독] 야생동물 20마리 이상 사육·판매 시 허가제 검토 중···문턱 높이나 랭크뉴스 2025.02.05
47277 1월 소비자물가 2.2% 상승…3개월 연속 올라 2%대 진입 랭크뉴스 2025.02.05
47276 [2보] 1월 소비자물가 2.2% 상승…3개월 연속 올라 2%대 진입 랭크뉴스 2025.02.05
47275 양문석 "국힘 지지자 '이재명 체포조'모집, 조건은 무술 유단자" 랭크뉴스 2025.02.05
47274 "지금 개헌 안하면 다음 대통령도 똑같은 일 당할 것" [강찬호의 뉴스메이커] 랭크뉴스 2025.02.05
47273 미·중 기술 패권 또다른 전장…차세대 통신 리더 ‘오픈랜’[경제밥도둑] 랭크뉴스 2025.02.05
47272 10년 후 택시 1만 대가 하늘에 뜬다…성큼 다가온 UAM 시대 승자는? [베인의 위닝 전략] 랭크뉴스 2025.02.05
47271 국회까지 나온 무속인‥"군인들 배신 여부 물어" 랭크뉴스 2025.02.05
47270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 vs 어피니티, 13년 전 백기사 왜 악연이 됐나 랭크뉴스 2025.02.05
47269 트럼프, 팔레스타인 이주 방안 고수… "가자는 철거 지역" 랭크뉴스 2025.02.05
47268 한미약품 지난해 매출 1조4955억원…‘로수젯’ 판매 순풍 랭크뉴스 2025.02.05
47267 1월 외환보유액 4110억달러…‘환율 방어’ 등에 46억달러 감소 랭크뉴스 2025.02.05
47266 "트럼프, 加·멕에 전면관세 직전 비서실장은 '車는 예외' 언급" 랭크뉴스 2025.02.05
47265 배현진, 故오요안나 사건에 "MBC, 괴롭힘 쉬쉬하는 문화 있다" 랭크뉴스 2025.02.05
47264 독주하는 엔비디아, 부상하는 브로드컴… 속내 복잡해진 리사 수 AMD CEO 랭크뉴스 2025.02.05
47263 전한길 ‘부정선거론’ 가담에 전 동료 유명 강사 “부끄럽고 자괴감” 랭크뉴스 2025.02.05
47262 ‘제2반도체’ 꿈꾼다…새로운 성장 신화 쓰는 K방산 [진격의 K방산 ①] 랭크뉴스 2025.02.05
47261 트럼프 “‘이란이 나를 암살하면 완전히 말살하라’ 지시” 랭크뉴스 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