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쉬었음 인구 급증 추세
지난해 12월 기준 41만1000명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
지난해 12월 기준 41만1000명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
1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5∼29세 청년층 '쉬었음' 인구는 41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쉬었음 인구는 이유 없이 일도 구직 활동도 하지 않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된다. 사진=뉴스1
일도 구직 활동도 하지 않고 '그냥 쉬는' 청년들이 1년 전보다 12%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5∼29세 청년층 '쉬었음' 인구는 41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쉬었음 인구는 이유 없이 일도 구직 활동도 하지 않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된다.
1년 전 36만6000명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12.3% 증가했다. 같은 기간 청년층 전체 인구가 830만6000명에서 805만5000명으로 3.0% 감소한 것을 고려하면 더욱 눈에 띄는 증가 폭이다.
12월 기준 청년층 쉬었음 인구는 코로나19가 유행하던 2020년 48만5000명에서 2021년 40만9000명, 2022년 40만6000명, 2023년 36만6000명으로 매년 감소했다. 지난해 12월 4년 만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연간 지표로 봐도 청년층 쉬었음은 지난해 42만1000명을 기록해 1년 전보다 2만1000명 늘었다. 2020년(44만8000명) 이후 최대치다.
청년층 실업자 역시 12월 기준 전년보다 2000명 늘어났다. 실업률 또한 2023년 5.5%에서 지난해 5.9%로 0.4%포인트(p) 상승했다.
코로나19의 기저효과에 힘입은 '고용 훈풍'이 점차 사라지고, 경기 회복세도 예상보다 더디게 나타나면서 청년 고용 지표가 빠르게 악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12·3 비상계엄 사태와 무안 제주항공 참사, 한파 등 내수 악재 요인이 겹치면서 '연말 특수'가 사라진 것도 12월 고용 지표에 악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