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최근 회고록서 독대 발언 공개
이상민 책임론에 음모론 꺼내
대통령실 “멋대로 왜곡” 반발


김진표 전 국회의장(사진)이 최근 발간한 회고록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이태원 참사에 대해 “특정 세력에 의해 유도되고 조작된 사건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이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책임론에 선을 그은 이유로 일종의 ‘음모론’을 든 것이어서 파장이 예상된다. 대통령실은 27일 “왜곡”이라고 반발했다.

김 전 의장이 최근 발간한 회고록 <대한민국은 무엇을 축적해왔는가>에 따르면 김 전 의장은 2022년 12월5일 이태원 참사에 따른 이 장관 거취 문제를 두고 윤 대통령과 대화를 나눴다. 두 사람은 당시 국가조찬기도회를 계기로 독대해 이야기를 나눈 것으로 전해졌다.

김 전 의장은 이 자리에서 “이 장관 역시 좀 더 일찍 정치적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하는 것이 옳다”고 이 장관 거취 문제를 꺼냈다. 김 전 의장은 그러면서 “하지만 윤 대통령은 자신이 이태원 참사에 관해 강한 의심이 가는 게 있어 아무래도 결정을 못하겠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그게 무엇인지 물었더니 이 사고가 특정 세력에 의해 유도되고 조작된 사건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며 “(윤 대통령이) 그럴 경우 이 장관을 물러나게 한다면 억울한 일이라는 얘기를 이어갔다”고 전했다.

김 전 의장은 윤 대통령의 발언에 “깜짝 놀랐다”고 했다. 그는 “극우 유튜버의 방송에서 나오는 음모론적인 말이 대통령의 입에서 술술 나온다는 것을 믿기 힘들었다”며 “윤 대통령의 의구심이 얼마나 진심이었을지는 알 수 없으나 상당히 위험한 반응이었다”고 적었다. 그는 이어 “나는 ‘그런 방송은 보지 마십시오’라 말하고 싶은 생각이 굴뚝같았지만 꾹 참았다”고 덧붙였다.

두 사람의 대화 6일 뒤 국회에선 야당 주도로 이 장관 해임건의안이 통과됐지만 윤 대통령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윤 대통령은 참사 직후부터 “책임은 있는 사람에게 딱딱 물어야지, 막연하게 다 책임지라는 것은 현대사회에서 있을 수 없는 일”(2022년 11월7일)이라며 이 장관 사퇴 요구론에 선을 그어왔다.

이 장관 거취 논란은 결국 지난해 2월 헌정사 최초의 국무위원 탄핵소추안 국회 통과로 이어졌다. 그해 7월 헌법재판소가 이를 기각했지만 참사 후 책임에 대처하는 윤석열 정부의 태도 논란은 사그라들지 않았다.

민주당 “윤 대통령, 유튜버 주장에 빠져 이태원 특별법 거부했던 건가”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성명에서 “윤 대통령의 이태원 참사에 대한 인식은 입을 다물 수 없을 만큼 충격적”이라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킬 의무가 있는 대통령이 할 말인가”라고 반문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극우 유튜버들의 주장에 빠져 이태원 참사 1주기 추도식에도 참석하지 않고 이태원 참사 특별법도 거부했던 것인가”라며 “발언 진위에 대해 분명하게 밝히라”고 했다.

대통령실은 “국회의장을 지내신 분이 대통령에게 독대를 요청해 나눴던 이야기를 멋대로 왜곡해 세상에 알리는 것은 개탄스러운 일”이라고 반발했다. 이어 “대통령은 당시 언론에서 제기된 다양한 의혹을 전부 조사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며 “사고 당시 119신고 내용까지 다 공개하도록 지시한 바 있고, 최근에는 이태원특별법을 과감히 수용했다”고 밝혔다. 김 전 의장은 이날 논란과 관련해 “책에 기술된 내용 외에는 사족을 붙이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밝혔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517 한 총리 "여야 합의 기반하지 않은 일방적 국회 운영에 국민 실망" new 랭크뉴스 2024.06.30
45516 "4만4000년전 동결된 늑대가 발견됐다고?…완벽한 보존 상태에 '깜짝' new 랭크뉴스 2024.06.30
45515 [단독]2017년 ‘3인 방통위’도 “의결 논란될 수 있다”는 자문 받았다 new 랭크뉴스 2024.06.30
45514 "명품=장인?" 옛말… '시급 4,000원' 불법체류자가 만든다 new 랭크뉴스 2024.06.30
45513 일반 차량에서 자율주행차까지…‘운행자 책임’의 진화 [허란의 판례 읽기] new 랭크뉴스 2024.06.30
45512 ‘김정은 배지’ 공식 석상에 최초 등장, ‘단독 우상화’ 가속화 new 랭크뉴스 2024.06.30
45511 고용장관 “화성 화재 피의자 곧 소환…불법 파견 드러나면 엄중 처벌” new 랭크뉴스 2024.06.30
45510 불법 토토 도박사이트 35억 추징했는데 대법원은 파기···“입증 부족” new 랭크뉴스 2024.06.30
45509 사전청약 마친 '운정 3·4블록' 결국 사업 취소…당첨자들 "날벼락" new 랭크뉴스 2024.06.30
45508 “이혼시 빚이 더 많아 재산분할 안했다면, 퇴직연금 분할도 불가” new 랭크뉴스 2024.06.30
45507 윤석열 사단의 기술…‘있는 돌을 다 던진다, 머리에 몇 개는 맞는다’ new 랭크뉴스 2024.06.30
45506 바이든 ‘토론 완패’…미국 유권자 절반 “다른 후보 세워야” new 랭크뉴스 2024.06.30
45505 SK, 2026년까지 인공지능·반도체 80조원 투자 new 랭크뉴스 2024.06.30
45504 ‘친윤’ 원희룡 “하루아침에 20년 관계 배신”…한동훈 직격 new 랭크뉴스 2024.06.30
45503 BTS제이홉·장윤정 매수한 100억원 대 용산 아파트, 공유·김고은도 입주민 대열 합류[스타의 부동산] new 랭크뉴스 2024.06.30
45502 “가로수 넘어지고, 펜스 날아가고”… 제주에 이틀째 비바람 몰아쳐 new 랭크뉴스 2024.06.30
45501 ‘윤석열 탄핵안’ 국민청원 동시접속 1만명 이상…63만명 동의 new 랭크뉴스 2024.06.30
45500 4년 만에 신차 낸 르노코리아...‘남혐 논란’에 발목 잡히나 new 랭크뉴스 2024.06.30
45499 ‘김정은 초상휘장’ 공식 석상 첫 등장…우상화 가속 new 랭크뉴스 2024.06.30
45498 한국콜마·코스맥스가 만들고, 올영이 팔고...중소 K뷰티 날개 달아 준 지원군들 new 랭크뉴스 2024.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