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석열 대통령이 19일 경기도 성남시 HD현대 글로벌R&D센터 아산홀에서 '저출생 추세 반전을 위한 대책'을 주제로 열린 2024년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회의에 입장하며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등 참석자와 인사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대 여성이 국방부 장관을 한다면 남성들이 공감할 수 있겠나. 그런 비슷한 느낌 아닐까 싶다.”

지난 19일 윤석열 대통령이 주재한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저고위) 회의 뉴스를 봤다는 한 40대 워킹맘이 전한 말이다. 이 여성은 “뉴스에 나온 사진을 보니 회의장에 검정색 양복을 입은 중년 남성들만 가득했다”며 “그분들이 일·가정 양립에 얼마나 고민을 해보셨을지 솔직히 의문”이라고 말했다. 경기도의 한 맘카페에도 회의 뒤 “공감가는 정책이 없었다. 뭔가 좀 혹해서 아이를 한 명 더 낳아볼까 이렇게 생각할만한 내용이 없었다”는 글이 올라왔다.

윤 대통령은 19일 경기도 판교 HD현대 아산홀에서 ‘저출생 추세 반전을 위한 대책’을 주제로 저고위 회의를 주재했다. 일·가정 양립과 양육 및 주거를 저출생 해결의 3대 분야로 제시하며 육아 휴직 급여 및 남성 출산 휴가 확대, 출산 가구 특별공급 청약 기회 추가 등의 대책을 발표했다. 하지만 앞선 워킹맘의 말처럼 회의 현장에서 이런 윤 대통령의 지시 사항을 받아적는 정부 고위직은 모두 1960년대생 남성들이었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왼쪽)과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장이 19일 경기도 성남시 HD현대 글로벌R&D센터 아산홀에서 '저출생 추세 반전을 위한 대책'을 주제로 열린 2024년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회의에 참석해 회의 시작 전 대화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을 포함해 이날 모습을 드러낸 정부 부처 장관들은 모두 남성이었고, 대통령실 참모들과 경제계 및 지자체 출신 인사 중에서도 여성을 찾기 어렵긴 마찬가지였다. 민간 분야에서 맞벌이 워킹맘이 소수 참석했는데 초대 손님에 가까운 수준이었다. 대통령실 내에서도 “윤 대통령의 남초 인사가 더욱 도드라져 보였다”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또다른 50대 초반 워킹맘은 윤 대통령이 인구 국가비상사태를 선언하며 내놓은 정책들에 대해 “변죽을 울리는 느낌을 받았다”고 했다. 이 워킹맘은 “여성들은 아이를 낳은 뒤 직장 내에서 차별과 불합리한 대우를 받을 수 있다는 본질적 두려움을 갖고 있고 실제 현실이기도 하다”며 “저출생을 국가 재난으로 규정한 윤 대통령이 여성 인재 발탁에 인색한 것은 아니냐”고 되물었다.

현재 대통령실 수석급 참모는 국가안보실 1·2차장을 포함해 모두 남성이다. 비서관급도 구성도 크게 다르지 않다. 윤 대통령이 회의 전 HD현대 어린이집을 찾은 걸 두고도 뒷말이 나왔다. 한 30대 워킹맘도 통화에서 "대기업 어린이집을 누리는 직장인은 극소수에 불과하다"며 "가장 보통의 흔한 어린이집을 가는 건 어땠을까 싶다”고 아쉬워했다.

지난달 22일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공수처장) 임명장 수여식에 참석한 대통령실 참모들의 모습. 윤 대통령 오른쪽이 오 공수처장의 배우자 맨 뒷편이 김수경 대변인이며 이외 모두 남성 대통령실 참모들이다. 연합뉴스
윤 대통령은 지난달 저출생수석 신설을 지시하며 “저출생의 어려움을 몸소 체감한 분을 모셔오라”는 당부를 전했다. 그러면서 1960년대 윤 대통령과 윤 대통령의 동생 윤신원씨를 키우며 직장과 육아를 병행하다 교수직을 포기했던 모친 최성자 전 이화여대 교수를 언급했다고 한다. 하지만 저고위 회의에서 저출생의 어려움을 몸소 체감한 참석자가 많아 보이지 않았다는 것이 인터뷰에 응원 워킹맘들의 공통된 평가였다.

대통령실은 최근 저출생 수석 후보군을 한 자릿수로 압축하고 검증을 진행 중이다. 워킹맘을 중심으로 후보군을 물색했다는데 아직 최종 후보자가 낙점되진 않았다. 관련 사정에 정통한 여권 관계자는 “후보군을 넓혀 추천을 더 받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수석 경력을 고려할 때 워킹맘 인선이 어렵다”며 말까지 나오고 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최선의 인선을 위해 후보군을 다각도로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474 재산 빼돌린 가족 처벌 가능해진다…'친족상도례' 헌법불합치(종합) 랭크뉴스 2024.06.27
44473 ‘1주택 종부세 완화’라던 민주… “징벌적 과세 아냐” 랭크뉴스 2024.06.27
44472 헌재 “박수홍 부친 악용했던 ‘친족상도례’, 헌법 위배” 랭크뉴스 2024.06.27
44471 “안 맞은 프로선수 있나”… ‘손웅정 체벌’에 불거진 논쟁 랭크뉴스 2024.06.27
44470 자녀 수능 부정행위 적발 감독관에 "네 인생 망가뜨려줄게" 폭언한 스타강사 재판행 랭크뉴스 2024.06.27
44469 주말 전국 장마 시작…시간당 최대 50㎜ 이상 물폭탄 쏟아진다 랭크뉴스 2024.06.27
44468 美 고물가 장기화에…연봉 2억원 넘어도 “6개월 뒤 생계 걱정” 랭크뉴스 2024.06.27
44467 尹 대통령 장모, '23억 요양급여 환수' 불복소송 각하 랭크뉴스 2024.06.27
44466 박수홍·박세리 울린 '친족상도례' 헌법 위배 판결… "입법 재량 일탈" 랭크뉴스 2024.06.27
44465 “이게 환자분 콩팥이에요”… ‘맨정신’ 신장 이식술 첫 성공 랭크뉴스 2024.06.27
44464 제자에게 “나의 여신님” 박정현 교총 회장, 당선 일주일 만에 사퇴 랭크뉴스 2024.06.27
44463 자녀 수능 부정 적발 감독관에 “너도 망가뜨리겠다” 위협한 유명 강사 랭크뉴스 2024.06.27
44462 美 나스닥 입성하는 네이버웹툰… ‘만년 적자’ 해결은 숙제 랭크뉴스 2024.06.27
44461 밀양시 “성폭행 가해자 44명 공개 불가… 누군지도 몰라” 랭크뉴스 2024.06.27
44460 [속보] 헌재, ‘친족 간 재산범죄 처벌 면제’ 헌법불합치 “국회가 법 고쳐야” 랭크뉴스 2024.06.27
44459 성폭행·고문보다 더한 '최악 형벌' 뭐길래…한국행 시도 탈북민 통곡 랭크뉴스 2024.06.27
44458 자녀 수능 부정행위 적발했다고···“네 인생도 망가뜨리겠다” 감독관 찾아가 위협한 유명 강사 랭크뉴스 2024.06.27
44457 일주일 만에 '벌집'된 교총, "여신님" 편지 7일 만에‥ 랭크뉴스 2024.06.27
44456 [속보] 친족 간 재산범죄 처벌 가능해진다… '친족상도례' 헌법불합치 결정 랭크뉴스 2024.06.27
44455 "허가는 받았나"…아리셀 사망자 분향소서 경솔한 발언한 경찰관 랭크뉴스 2024.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