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달 13일 도봉경찰서 신방학파출소에서 순찰 도중 발견한 마약류 양귀비 2700주가 화단에 빼곡하게 심어져 있다. 사진 도봉경찰서 제공

집 앞마당에서 마약용 양귀비 2000여주를 몰래 키운 80대 노인이 순찰 중이던 경찰에 적발됐다.

서울 도봉경찰서는 집 앞마당에서 양귀비 2700주를 재배한 A(82·여)씨를 마약류관리법위반(양귀비 재배) 혐의로 지난달 28일 검찰에 송치했다고 16일 밝혔다. 현행법상 양귀비는 천연마약으로 분류된다. 양귀비 열매에서 추출한 아편을 농축하면 모르핀·헤로인·코데인도 제조할 수 있다.

경찰에 따르면, 지난달 13일 신방학파출소 소속 백정현(29) 경장은 낮에 주택가를 순찰하던 중 수상한 식물이 빽빽하게 심긴 텃밭을 발견했다. 백 경장은 이웃의 눈을 피해 마당 텃밭에 대량으로 심고 가꾼 듯한 모습에 마약용 양귀비라고 의심했다. A씨는 “씨앗이 텃밭에 날아와 자생한 것이고 무슨 식물인지도 몰랐다”고 주장했지만, 성분 검사 결과 마약용 양귀비로 드러났다. 경찰은 양귀비가 주변으로 확산할 것을 우려해 출동 당일 전량 폐기했다.

서울 도봉경찰서가 지난 9일 옥상에서 적발한 양귀비의 모습. 현행법상 양귀비를 1주만 재배해도 형사 처벌 대상이나 소량의 양귀비는 훈방 조치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를 악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어 고의성이 큰 경우에는 경찰도 엄벌하겠다는 입장이다. 사진 도봉경찰서 제공

농·어촌에서 최근 도심까지 번진 ‘양귀비 밀경’ 피의자는 대부분 60대 이상 고령층이다. 최근 두 달 동안 신방학파출소에서 적발한 마약용 양귀비 재배 사건은 4건으로, 모두 60대 이상 노인들이 붙잡혔다. 지난달 29일엔 도봉산 자락 단독주택에서 양귀비 100주를 기르던 노인이, 이달 6일과 9일엔 각각 45주, 32주의 양귀비를 기르던 노인들이 조사를 받았다. 경찰 관계자는 “대부분이 ‘꽃이 예뻐서 키우던 것뿐’이라고 해명하지만, 옥상과 텃밭 등에서 몰래 재배하는 경우 고의성이 있다고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노인들은 대부분은 치료 목적으로 양귀비를 키운다. 양귀비의 마약 성분은 진통·진정·지사 등 효과가 있어 불면증·신경통·배탈을 완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경찰 관계자는 “민간요법에서 만병통치약으로 꼽히면서 만성질환이 있는 분들이 약 대신 복용하려고 키우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김주원 기자

현행법상 마약용 양귀비를 1주만 재배해도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지만, 50주 미만을 재배한 초범은 관행적으로 훈방됐다. 경찰 관계자는 “소량 재배에 관대하다는 점을 악용해 반복적으로 양귀비를 키우는 사례가 보고돼 최근에는 고의성이 있다고 의심되면 엄벌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경찰은 매년 양귀비 개화기인 4~7월에 맞춰 대대적인 단속에 나선다. 올해도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주도로 지난달부터 오는 7월까지 3개월간 양귀비·대마 밀경을 집중적으로 단속한다.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양귀·대마 재배로 검거된 인원은 2902명으로, 전년(1656명) 대비 75.2% 늘었다. 특히 양귀비 압수량은 지난 2020년 10만 9108주에서 꾸준히 증가해 지난해엔 16만 8184주에 달했다. 경찰청 관계자는 “양귀비·대마 등을 몰래 재배하는 행위는 중대한 범죄인만큼 시민들의 적극적인 신고도 중요하다”고 밝혔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9709 "올림픽에 오지 마세요"…파리 시민들, SNS로 보이콧 운동 랭크뉴스 2024.06.16
39708 '이범수와 파경' 이윤진, 발리서 호텔리어 됐다 "새롭게 시작" 랭크뉴스 2024.06.16
39707 여기선 파스타가 3000원…"영업 계속해줬으면" 랭크뉴스 2024.06.16
39706 "끝은 새로운 시작"... 499일 만에 서울광장 떠난 이태원 분향소 랭크뉴스 2024.06.16
39705 엔비디아 안 부럽네…Z세대 잡은 K컬처 ETF '훨훨' 랭크뉴스 2024.06.16
39704 “한동훈, 당대표 나올 거면 왜 사퇴?”…홍준표·윤상현 등 연일 비판 랭크뉴스 2024.06.16
39703 순방은 끝났다…의사파업·특검법·개각, 다시 윤 대통령 앞에 랭크뉴스 2024.06.16
» »»»»» [단독] 앞마당 양귀비 2700주 적발…고령층 '밀경' 줄지 않는 이유 랭크뉴스 2024.06.16
39701 이승기, 장인 주가 조작 혐의에 “가족 건들지 말기를” 랭크뉴스 2024.06.16
39700 '뚝배기 라면'·'맞춤 전통의상' 준비…우즈베크의 국빈 대접 랭크뉴스 2024.06.16
39699 취약층 에너지바우처 5만3000원, 경로당 냉방비 17만5000원 지원 랭크뉴스 2024.06.16
39698 "이재명에 나라 바치나‥참패 주범들 날뛰어" 홍준표 또 맹폭 랭크뉴스 2024.06.16
39697 정부 "휴진 전제로 정책요구 안 돼"…의협 "휴진 계획대로 진행" 랭크뉴스 2024.06.16
39696 "힘 합쳐 극우 집권 막자"더니... 프랑스 좌파 벌써 균열 랭크뉴스 2024.06.16
39695 130만 가구에 에너지바우처 5만3천원…경로당 냉방비 지원 확대 랭크뉴스 2024.06.16
39694 이승기 장인 ‘주가조작’ 무죄판결 뒤집혔다 랭크뉴스 2024.06.16
39693 송다은 "난 버닝썬 가해자 아니다, 클럽녀 꼬리표 제발 떼달라" 랭크뉴스 2024.06.16
39692 정부, 의협 요구 거절…“18일 집단 휴진 조건 없이 중단하라” 랭크뉴스 2024.06.16
39691 당정 “신생아 특례대출 소득 기준 완화 전향적 검토” 랭크뉴스 2024.06.16
39690 ‘최저임금 인상’ 찬반 여론 팽팽...“1만원 넘어야” VS “올리면 망한다” 랭크뉴스 2024.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