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가짜 3.3', '무늬만 3.3' 실질적으로는 근로자로 일하면서, 계약서 상으로는 3.3% 사업소득세를 내는 개인사업자들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분명 사용자와 근로자 관계인데, 계약을 사업자와 사업자로 맺고 일하는 건데요.

실제 노동현장에서 '가짜 3.3' 계약은 어떤 꼼수로 작용할까요?

차주혁 노동전문기자가 알려드립니다.

◀ 리포트 ▶

아이 첫돌부터 시작한 맞벌이.

아내가 퇴근하면, 남편은 물류센터로 출근했습니다.

[박민호 (가명)]
"(아이를) 와이프한테 넘겨주고 제가 출근할 수 있는 시간이니까."

저녁 7시부터 새벽 3시, 야간 고정으로 일주일 6~7일씩 일했습니다.

계약서는 매일 새로 썼습니다.

실질적인 근로자를 개인사업자로 위장한 이른바 '가짜 3.3' 계약입니다.

[박민호 (가명)]
"월급이 아니고 일당제이다 보니까, 그걸 끊어버리면 생활이 안 되는 거죠."

만 1년을 넘기자 퇴직금을 받을 권리가 생겼습니다.

그러자 회사는 '퇴직합의서'라는 걸 내밀었습니다.

위로금 50만 원만 받고, 1년 5개월치 퇴직금을 포기하라는 각서였습니다.

[도급업체 관리자 (음성변조) / 지난달 22일, 당사자 대화 녹취]
"고용노동부에선 주라는 식으로 얘기를 하는데, 여기는 솔직히 말씀드리면 그냥 주기 싫어요. 퇴직금 자체를‥"

서명하지 않으면, 더이상 근무할 수 없다고도 했습니다.

[도급업체 관리자 (음성변조) / 지난달 22일, 당사자 대화 녹취]
"<이거 안 쓰게 되면 퇴직 처리를 하신다는 건가요?> 그렇죠. 그렇죠. <그건 부당해고 아니에요?> 일용직에 부당해고가 어디 있어요? 하루하루 계약인데‥"

퇴직금을 포기하든지, 아니면 퇴직하라는 각서.

법적 효력이 있을까.

없다는 걸, 업체도 이미 알고 있었습니다.

[도급업체 책임자 (음성변조)]
"만약에 이걸 작성을 하셨어도, 고용노동부에 진정을 하게 되면 아마 전혀 이게 무용지물일 거예요."

그런데도 퇴직금 대상자 5명 중 4명이 그 자리에서 서명했습니다.

['퇴직합의서' 서명 (음성변조)]
"네네, 저거 냈어요. 안 그러면 퇴직을 해야 된다고 해서. 바로 근무 신청에서 빼버리더라고요."

거부했던 박 씨만 해고됐습니다.

[박민호 (가명)]
"행정소송하지 말고 아무 것도 하지 말아라. 그리고 비밀준수. 회사에 대한 어떠한 발언도 넌 하면 안 된다. 이게 그냥 '노예 계약서' 아닌가요?"

최저임금, 주52시간제, 퇴직금, 해고 제한‥

노동법이 보장하는 각종 권리는 근로계약을 맺은 근로자에게만 적용됩니다.

'가짜 3.3' 계약을 맺으면 개인사업자 신분이라 형식적으로는 권리가 없습니다.

하지만, 법적으로 더 중요한 건 계약서의 형태가 아닌 실질적인 근로자성입니다.

[한용현/변호사]
"프리랜서 계약, 3.3% 계약이라고 하더라도, 실질적으로 봤을 때는 근로자성이 인정되는 근로계약이라고 보면 될 것 같고요. 그래서 실제로 노동법, 근로기준법, 퇴직급여보장법이 적용되는 근로자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방송을 하루 앞둔 어제 오후, 해당 업체 측은 박 씨에게 369만 원을 입금했습니다.

1년 5개월치 퇴직금 액수와 일치합니다.

[도급업체 책임자 (음성변조)]
"저희 회사에서는 퇴직금이라고 안 해요. 프리랜서인데, '계약해지위로금'이라는 이름으로 나가요."

50만 원 합의서에 서명했던 나머지 4명에게도 적법한 금액을 지급하겠다고 했습니다.

'가짜 3.3' 계약으로 위장했지만, 실질적인 근로자라는 사실을 업체도 알고 있는 겁니다.

MBC뉴스 차주혁입니다.

영상취재: 허원철 / 영상편집: 김정은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522 “그동안 제대로 된 반성 못해” 밀양 80개 기관단체장, 20년 전 성폭력 사건 ‘대국민 사과’ 랭크뉴스 2024.06.25
43521 수주 시동거는 쌍용건설, 하반기 '건설명가' 이름 되찾나 랭크뉴스 2024.06.25
43520 한미약품 GLP-1 비만치료제, 체중 25% 줄이고 심장 신장 질환 치료 효과 확인 랭크뉴스 2024.06.25
43519 ‘덜렁덜렁 전세계약’ 발언 국토부장관, 국회 청문회 질타에 “상처드려 죄송, 진의 아냐” 사과 랭크뉴스 2024.06.25
43518 “나 장교야” 한 마디에 뚫린 민통선…20대 민간인 집행유예 랭크뉴스 2024.06.25
43517 중국 매체 “사망자 대부분 30~40대 조선족 여성…시급 9860원”[화성 리튬전지 공장 화재] 랭크뉴스 2024.06.25
43516 ‘화성 참사’ 아리셀 대표 대국민 사과문 발표 랭크뉴스 2024.06.25
43515 ‘방송3법’ 거부-폐기 6개월 만에 다시 본회의로 랭크뉴스 2024.06.25
43514 "이렇게 일찍 가려고, 그 많은 사랑을"…아들 잃은 엄마의 눈물 랭크뉴스 2024.06.25
43513 정체전선이 올라온다…이번 주말 중부 장마 시작 랭크뉴스 2024.06.25
43512 [속보] 밀양시장, 여중생 집단성폭행 사건 대국민 사과 랭크뉴스 2024.06.25
43511 "참사 이틀 전에도 불났다, 그때 조처했다면…" 아내 잃은 남편 눈물 랭크뉴스 2024.06.25
43510 "조선족, 한국 경제 발전 기여했는데"... 중국 매체, 화성 공장 화재 주목 랭크뉴스 2024.06.25
43509 선수촌만 없는 게 아니다…‘노 에어컨’ 프랑스 왜? [특파원 리포트] 랭크뉴스 2024.06.25
43508 “中대기업 계약인 줄 알았더니 구글링해도 안나오는 소기업”… 발주처 미공개 공시제도 허점 랭크뉴스 2024.06.25
43507 '하와이 1000억 집 샀다' 루머에…하정우 "반지하인데" 해명 랭크뉴스 2024.06.25
43506 [속보] ‘화성 참사’ 아리셀 대표 “유족에 사죄” 랭크뉴스 2024.06.25
43505 연기 피어오른 뒤 31초간 4번 터졌다…화성 참사 첫 폭발 영상 보니 랭크뉴스 2024.06.25
43504 [르포] "가족이 와도 못 알아볼 것"…'화성 화재' 시신 속속 국과수로 랭크뉴스 2024.06.25
43503 정부, 수련병원에 “6월말까지 미복귀 전공의 사직 처리해달라” 랭크뉴스 2024.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