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북한이 어젯밤 또다시 300개 넘는 오물 풍선을 남쪽으로 살포했습니다.

북한이 날려 보낸 풍선은 대통령실 바로 앞에도 떨어졌는데, 군은 더 큰 위험을 막으려면 낙하 이후 수거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양소연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대통령실 부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상가 밀집 지역.

상가 앞에 오물 풍선 잔해가 흩어져 있습니다.

경찰 저지선이 설치됐고 군 화생방부대가 출동해 위험 물질은 없는지 살핍니다.

[인근 주민 (음성 변조)]
"왜 자꾸 보내는지 몰라. 오물을 더럽게. 무섭네요. 무슨 사고 난 줄 알고 놀라서 나와 봤어요."

북한이 보낸 오물 풍선은 대통령실 바로 앞에 잇따라 떨어졌습니다.

대통령실에서 직선거리 약 8백 미터 지점인 국립중앙박물관 주차장 근처와 인근 용산구청에서도 오물 풍선이 발견됐습니다.

경호처는 풍선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적, 감시 즉 날아오는 것을 눈으로 잘 지켜보다가 대통령실 부근에 풍선이 떨어진 뒤수거 작전을 수행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달 29일에는 정부서울청사 옥상에도 오물 풍선이 떨어졌습니다.

시민들의 생활에, 정부의 심장부에 오물 풍선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정치권에서는 전방에서 풍선을 격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지만 군은 더 위험할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

[이성준/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
"낙하할 때까지 기다려서 그 이후에 그것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에 현재도 그렇게 작전을 하고 있고요. 공중에서 그것을 요격하는 것은 더 많은 위험과 부담이 있습니다."

풍선에 위험물이 들어 있다면 인명, 재산 피해가 더 커질 수 있고, 풍선을 요격하다가 남북 간 우발적 충돌로 이어질 우려도 있다는 것입니다.

북한이 풍선을 또 보낸다면 지켜보는 것 말고 막을 방법은 없습니다.

북한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은 ‘쉴 새 없이 휴지를 주워담아야 하는 곤혹은 대한민국의 일상이 될 것’이라며 추가 살포를 예고했습니다.

북한의 오물 풍선 살포에 대응해 대북 확성기 방송을 했던 군은 오늘은 일단 대북 확성기를 사용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MBC뉴스 양소연입니다.

영상취재: 최대환 / 영상편집: 류다예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2795 [속보] 여야 원 구성 협상 결렬…민주, 상임위원장 단독 선출 강행할 듯 랭크뉴스 2024.06.10
32794 때리고 욕해도 방치?…‘정서 행동 위기 학생’ 대책 없는 교육현장 랭크뉴스 2024.06.10
32793 기증받은 시신으로 비의료인 대상 '유료' 해부학 강의 논란(종합) 랭크뉴스 2024.06.10
32792 여야, 원구성 협상 결렬…민주, 곧 상임위원장 단독선출 강행 랭크뉴스 2024.06.10
32791 아일릿 소속사, 민희진에 형사고소 이어 민사소송도 제기 랭크뉴스 2024.06.10
32790 野 “권력의 시녀로 전락한 권익위…‘김건희 특검법’이 답” 랭크뉴스 2024.06.10
32789 “정부, 북 동향 심각하다고 봤을 수도”…풍선 vs 확성기 일단 정지 랭크뉴스 2024.06.10
32788 민주당 11개 상임위원장 단독 선출 강행‥이 시각 국회 랭크뉴스 2024.06.10
32787 이준석 "기내식, 상식적으로 尹과 김정숙 누가 더 많이 먹겠나" 랭크뉴스 2024.06.10
» »»»»» 대통령실 코앞 오물 풍선‥경호처 "떨어진 뒤 수거작전" 랭크뉴스 2024.06.10
32785 참여연대 “공직자 부인이 금품 받아도 되나···상식으로 납득 불가” 랭크뉴스 2024.06.10
32784 '김 여사 명품백 의혹' 반년 만에 결론‥"규정 없어 종결" 랭크뉴스 2024.06.10
32783 보호자와 절벽 추락한 반려견, 혼자 6㎞ 달려 사고 알렸다 랭크뉴스 2024.06.10
32782 파주 호텔 남녀 4명 사망 사건, 결국 ‘공소권 없음’ 종결 랭크뉴스 2024.06.10
32781 권익위 “김건희 여사 가방 의혹, 배우자 제재 규정 없어 종결” 랭크뉴스 2024.06.10
32780 '신선한 시신' 광고…가톨릭의대 유료 해부학 강의 논란 랭크뉴스 2024.06.10
32779 이르면 14일부터 파업 동네 병원 공개 “만성질환 약 미리 처방받으세요” 랭크뉴스 2024.06.10
32778 정부 “액트지오 체납은 실수”…입찰 참여 4곳→3곳 말 바꿔 랭크뉴스 2024.06.10
32777 SK에코플랜트, 카자흐스탄 리튬 광구 개발에 협력… 사업 모색나선 건설업계 랭크뉴스 2024.06.10
32776 급발진 재연 시험 두고 "신뢰 못 해" vs "객관성 충분" 공방(종합) 랭크뉴스 2024.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