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대통령실은 9일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의를 열어 이날 중 대북 확성기를 설치하고 방송을 실시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이날 오전 10시30분 장호진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회 회의를 열고 북한 오물풍선 추가 살포 대응을 논의했다.

안보실은 회의 후 보도자료를 통해 “오늘 중 대북 확성기를 설치하고 방송을 실시할 것”이라며 “앞으로 남북간긴장고조의 책임은 전적으로 북한 측에 달려있을 것임을 분명히 한다”고 밝혔다.

안보실은 “회의 참석자들은 북한이 8일 만에 오물 풍선을 다시 살포한 데 대해 우리 국민의 불안과 사회의 혼란을 야기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용납할 수 없음을 강조했다”고 했다.

정부의 9·19 군사합의 효력정지 결정으로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는 물론 군사분계선 일대의 군사 훈련이 가능해진 가운데 7일 경기도 파주 접경 지역에 기존 대북 방송 확성기가 있었던 군사 시설물이 여전히 자리를 지키고 있다. 해당 시설물 안에 확성기가 설치됐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연합뉴스
이어 “지난 5월31일 정부 입장을 통해 예고한 대로, 상응조치들을 취해 나가기로 했다”며 “우리가 취하는 조치들은 북한 정권에게는 감내하기 힘들지라도, 북한의 군과 주민들에게는 빛과 희망의 소식을 전해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보실은 “정부는 북한의 어떠한 도발에도 확고하고 빈틈없는 대비태세를 유지할 것이며, 우리 국민 안전과 국가 안보에 만전을 기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회의에는 장호진 안보실장 외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 조태열 외교부 장관, 김영호 통일부 장관, 신원식 국방부 장관, 조태용 국가정보원장, 방기선 국무조정실장, 김태효 NSC 사무처장(안보실 1차장), 인성환 2차장, 왕윤종 3차장 등이 참석했다.

정부는 지난 2일 NSC 상임위 회의와 3일 실무조정회의, 4일 국무회의를 거쳐 남북간 적대적 행위를 금지하는 9·19 군사합의의 효력을 정지시켰다. 이에 접경지역 군사훈련, 확성기 방송 등이 가능해진 상태다.

정부는 그러면서 북한이 오물풍선 살포 등 도발을 지속할 경우 ‘감내하기 어려운 조치’에 착수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확성기 재개’ 문제에 대해 배제하지 않는다”고 했다.

북한은 2일 김강일 국방성 부상 명의 담화를 통해 오물풍선 살포를 잠정 중단한다고 밝혔으나, 탈북민 단체가 대북 전단을 다시 띄우자 8일 오후 11시께 오물풍선 살포를 재개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6645 '롤' 역대 최고 유망주였다…베트남서 한국 여성 살해한 남성 정체 랭크뉴스 2024.06.09
36644 [속보] 한 총리, 의협 총파업 예고에 "깊은 유감‥환자 곁을 지켜달라" 랭크뉴스 2024.06.09
36643 한동훈, 이재명 겨냥 "대통령이 집유만 확정돼도 선거 다시해야" 랭크뉴스 2024.06.09
36642 외계인 축조설까지 나왔다…한국 '이 곳' 세계유산 등재 추진 랭크뉴스 2024.06.09
» »»»»» 오늘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용산 "책임 전적으로 北에 있다" 랭크뉴스 2024.06.09
36640 코스피 1% 오를 때, 9% 가까이 올랐다… 이 종목들 공통점은 랭크뉴스 2024.06.09
36639 '수박'이 제철인데… 당뇨병·만성콩팥병 환자는 조심해야 할 과일 랭크뉴스 2024.06.09
36638 北 3차 오물풍선에… 정부 ‘대북 확성기 방송’ 즉시 재개 랭크뉴스 2024.06.09
36637 [속보]대통령실 “오늘 중 대북 확성기 설치 및 방송 실시”···오물풍선 맞대응 랭크뉴스 2024.06.09
36636 북 3차 오물 풍선 도발에 확성기 즉각 켠다…한반도 긴장 고조 랭크뉴스 2024.06.09
36635 “이화영 유죄는 이재명 유죄” 나경원·안철수 등 한목소리 랭크뉴스 2024.06.09
36634 의협 회장, 의사에 유죄 내린 판사 공개 저격…"제정신이냐" 랭크뉴스 2024.06.09
36633 국토부 장관 “종부세는 징벌적 과세 형태…폐지해야” 랭크뉴스 2024.06.09
36632 허경영, 2034년까지 선거 못 나온다…선거법 유죄 확정 랭크뉴스 2024.06.09
36631 “야근, 몇 시간까지 오케이?”···직장인들 생각은 이랬다 랭크뉴스 2024.06.09
36630 열악처우 논란 푸바오, 中 간지 2개월여만 12일 대중에 모습 공개 랭크뉴스 2024.06.09
36629 [속보] 한 총리 “의료계 불법집단행동 유감…복귀 전공의 불이익 없을 것” 랭크뉴스 2024.06.09
36628 하남 요양병원 있는 건물서 5시간째 정전…"환자 발생 없어" 랭크뉴스 2024.06.09
36627 한총리 "의료계 불법집단행동 거론 유감…복귀전공의 불이익 없을것" 랭크뉴스 2024.06.09
36626 [속보]정부, 의료계 휴진에 “비상진료체계에 큰 부담···복귀 전공의 불이익 없을 것” 랭크뉴스 2024.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