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질환별 피해야 할 음식


‘건강의 절반은 식습관’이라는 말이 있다. 몸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데 먹는 게 그만큼 중요하다는 의미다. 그런데 음식의 중요성은 단순히 건강한 생활 습관 수준에 그치지 않는다. 질환을 앓고 있을 때 증상이나 몸 상태를 개선하는 데 도움되기도 하지만 오히려 질환을 악화하기도 한다. 치료를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는 것이다. 때론 섭취하는 음식이나 성분의 종류와 양에 따라 치료가 무의미해지는 경우도 생긴다. 질환별로 피해야 할 음식을 알아봤다.

우선 음식의 영향을 받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과민성 방광이 꼽힌다. 과민성 방광은 특별한 질병 없이 하루 8번 이상 참을 수 없을 정도로 소변이 마렵고 수면 중에도 자주 소변을 보는 질환을 말한다. 과민성 방광을 앓고 있다면 가장 멀리해야 할 것이 커피나 에너지드링크 등 카페인이 함유된 음식이다. 카페인은 이뇨 작용이 있어서 방광을 자극하거나 소변 보는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실제로 과민성 방광 환자가 카페인 섭취를 제한하면 빈뇨와 급박뇨, 삶의 질이 호전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카페인 소변 늘리고 퓨린은 요산으로 분해
알코올도 마찬가지다. 알코올이 항이뇨호르몬인 바소프레신의 분비를 억제해 신장이 더 많은 소변을 생성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가천대 길병원 가정의학과 고기동 교수는 “과민성 방광의 경우 요의가 느껴지는 역치가 낮아 요의를 빨리 느끼는 상태인데 커피나 술을 마시면 생리적으로 더 유발되고 급박뇨 등의 증상이 심해진다”고 말했다.

통풍도 알코올과 관련이 있다. 특히 맥주는 피해야 한다. 통풍은 체내에 요산이 과도하게 축적돼 결정체를 이루면서 관절 내에 쌓여 염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근데 퓨린은 체내에 분해되면서 요산으로 변하기 때문에 퓨린이 많이 함유된 음식은 피해야 한다. 한림대성심병원 가정의학과 노혜미 교수는 “맥주·와인 등 술에는 요산의 원료가 되는 퓨린 함량이 높아 통풍 환자는 알코올 섭취를 피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같은 이유로 소고기·돼지고기 등 붉은 고기류와 간, 곱창 등 육류 내장 부위 역시 피해야 할 대상이다. 등푸른 생선, 과당이 많이 들어 있는 주스나 청량음료도 통풍 위험을 높일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위·식도 역류 질환은 위장의 내용물이 식도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을 막는 하부식도 괄약근(조임근)을 느슨하게 하는 음식이 주의 대상이다. 초콜릿과 고지방 육류가 대표적이다. 노혜미 교수는 “초콜릿은 하부식도 괄약근을 느슨하게 하고, 고지방 육류도 위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 위산 분비를 촉진해 하부식도 괄약근을 느슨하게 할 수 있다”며 “특정 음식을 먹고 나서 증상이 심해졌는지 기록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지방과 설탕이 많이 든 유제품이나 매운 음식도 증상을 악화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티라민 혈관 수축해 편두통 악화
편두통 환자라면 와인과 치즈가 경계 대상이다. 특히 레드와인의 경우 ‘레드와인 두통증후군’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편두통을 유발하는 흔한 원인 중 하나다. 레드와인의 성분 중 티라민, 타닌, 케르세틴 등이 각각 혈관 수축, 세로토닌 과다 분비, 알코올 분해 억제를 초래해 증상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 치즈 역시 티라민이 많이 함유돼 편두통 악화 요인으로 작용한다.

섬유근육통과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는 일명 ‘포드맵’ 음식을 피하는 게 좋다. 포드맵(FODMAP)은 발효가 쉽게 되는 올리고당(Fermentable Oligosaccharides), 이당류(Disaccharides), 단당류(Monosaccharides), 폴리올(Polyol·설탕보다 당도가 낮은 고밀도 감미료)의 앞글자를 딴 것으로 포도당과 달리 장에서 100%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대장에서 발효되면서 가스를 발생시켜 증상을 악화한다. 한마디로 장에서 잘 흡수되지 않고, 남아서 발효되는 저분자량 탄수화물이다. ▶유당(이당류) 함량이 높은 우유·치즈·아이스크림 ▶과당(단당류) 함량이 높은 사과, 배, 망고, 건조 과일, 아스파라거스, 꿀, 과일 주스

▶프룩탄(다당류) 함량이 높은 양파·양배추·마늘 ▶갈락토올리고당(다당류) 함량이 높은 콩류·견과류 ▶폴리올 함량이 높은 옥수수·배·사과·블랙베리·콜리플라워·버섯 등이 포드맵 식품에 해당한다. 고기동 교수는 “질환이 있다고 이들 식품이나 음식을 절대로 먹어선 안 된다는 의미는 아니다”고 전제하고 “하지만 과도하게 섭취하면 문제가 되는 만큼 해당 질환이 있다면 주의 할필요는 있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6197 당심이 민심이고 무조건 옳다? 논쟁 불붙은 ‘당원 중심 민주당’ 랭크뉴스 2024.06.08
36196 "아프면 어디로 가야 하나요?"...결국 동네병원까지 문 닫나? 랭크뉴스 2024.06.08
» »»»»» 약 먹어도 안 듣는 편두통, 혹시 이 음식 좋아하세요? [건강한 가족] 랭크뉴스 2024.06.08
36194 올 시즌 벌써 세 번째...김승연 한화 회장의 승리요정 꿈의 결과는 랭크뉴스 2024.06.08
36193 한미, 10∼12일 워싱턴서 주한미군 주둔비용 분담 3차 협상 랭크뉴스 2024.06.08
36192 [인터뷰] 48억원짜리 유전자 치료제 개발한 혈우병 종가...“기존 약 잘 팔려도 혁신 멈춰선 안돼” 랭크뉴스 2024.06.08
36191 '갑질폭행' 양진호측 "폭로자 보호 취소하라" 소송 냈으나 패소 랭크뉴스 2024.06.08
36190 ‘엽기 갑질’ 양진호 “폭로자 보호 취소하라” 소송 패소 랭크뉴스 2024.06.08
36189 “아버지가 맞았어요” 온통 피범벅…택시기사 폭행 충격 랭크뉴스 2024.06.08
36188 "라면이 아니라 삼계탕을 더 많이 먹었어요"... 육상 레전드 임춘애 [K스포츠 레전드 열전] 랭크뉴스 2024.06.08
36187 尹 항의에 ‘입틀막’…카이스트 졸업생, 업무방해 무혐의 랭크뉴스 2024.06.08
36186 [영상]남한강에 펼쳐진 한미 육군의 위용…공병장비·항공·기갑 협동 작전[이현호 기자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4.06.08
36185 "우리 스타님, 하고 싶은 대로 해~"... 우쭈쭈 팬덤이 무책임 연예인 만들다 랭크뉴스 2024.06.08
36184 "함부로 처분할 수도 없고"…김호중 사건이 소환한 앨범기부 랭크뉴스 2024.06.08
36183 면죄부에 파업으로 응답… 도 넘은 의사 집단행동 랭크뉴스 2024.06.08
36182 "동해 심해 가스전 탐사 성공률 20%…이제 시추할 때" 랭크뉴스 2024.06.08
36181 해외 유출 ‘현왕도’ 수십 년 만에 신도 품으로 랭크뉴스 2024.06.08
36180 심쿵! 사랑 아니라 병입니다 ‘부정맥’ 랭크뉴스 2024.06.08
36179 대북전단 향한 북한의 ‘선택적 분노’…이번 목적은? [뒷北뉴스] 랭크뉴스 2024.06.08
36178 광주 유흥가 칼부림 2명 사상…“이권 다툼 추정” 랭크뉴스 2024.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