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928년 건립된 ‘구덕운동장’
시, 정비 5년 만에 “재개발”
주민들 “건설업체만 배불려”
축구 전용구장으로 재개발이 추진되는 부산 서대신동 구덕운동장. 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구덕운동장 정비사업 5년 만에 재개발을 추진하자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부산의 대표 체육시설을 살리는 도시재생”이라는 부산시의 주장에 “전형적인 아파트 신축사업”이라며 주민들은 맞서고 있다.

5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2028년까지 구덕운동장 7만여㎡ 부지에 7990억원을 투입해 축구전용구장(1만5000석)을 비롯하여 체육·문화시설, 상업시설, 아파트·오피스텔을 조성한다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구덕운동장은 1920년대 초 서대신동 일대 마을 체육대회 장소로 사용되다 1928년 9월 공설운동장으로 건립됐다. 1940년 동래고보와 부산상고 학생들이 항일의거(노다이 사건)를 일으킨 역사적 장소로, 한국전쟁 때는 미군수송 부대가 주둔했다. 이후 각종 시민행사장으로 활용됐다.

1978년 부산의 유일한 시민종합운동장으로서 축구장(육상트랙 포함)·야구장, 체육관(농구장·수영장) 등을 갖추었다. 또한 1984년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1988년 서울 올림픽, 1997년 동아시안게임 등을 치렀다. 1985년 사직종합운동장이 조성되기 시작하면서 부산의 대표 체육시설이라는 지위를 잃어갔다.

구덕야구장과 구덕체육관은 정비사업(2017~2018년)으로 철거됐고, 그 자리에 생활체육공원(1만2000㎡)과 공영주차장(246면)이 조성됐다. 생활체육공원에 테니스장·풋살장·게이트볼장·다목적 구장·농구장이 들어서고 산책로·그늘막·벤치 등으로 공원이 꾸며지면서 주민의 사랑을 받고 있다.

하지만 부산시가 최근 ‘구덕운동장 일원 도시재생혁신지구 계획’을 발표한 뒤로 지역주민과의 갈등이 시작됐다. 주민들은 “정비사업을 한 지 5년 만에 또 재개발하느냐” “개발업자를 위한 재개발”이라며 비판하고 있다.

당초 지난 2월 발표한 계획에는 아파트가 530가구(3개동·38층)였으나 5월 계획에는 850가구(4개동·49층)로 늘어나면서 반발은 더 거세졌다. 지난달 23일 열린 공청회에서는 주민들의 항의성 발언이 이어지자 부산시는 서둘러 행사를 마무리했다.

공청회에서 부산시는 “축구 전용구장을 지을 장소로는 구덕운동장이 최적지”라며 “대규모 노후시설을 재개발해 지역을 활성화하고 주민 삶의 질을 증진하는 도시재생사업이 될 것”이라며 “사업비 충당을 위해 가구 수를 확대했다”고 밝혔다.

인근 주민들은 “부산시가 ‘대표 체육시설’ 운운하는 것은 아파트 개발을 위한 ‘꼼수’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60대 신모씨는 “계획을 보면 아파트 주차장은 1104면인데 관중이 1만5000명인 축구장의 주차장은 150면에 불과하다”며 “이는 애당초 대표 체육시설 건립은 마음에 없고, 건설업체 배불려주는 계획이란 것을 방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시는 가파르게 오르는 사업비를 고려할 때 속도감 있게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연말까지 시행계획 인가를 받고, 내년 중 착공할 계획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사업 진행 초기인 만큼 계속해서 주민 의견을 최대한 수렴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5204 '밀양 성폭행' 피해자 지원단체 "가해자 공개 동의한 바 없다" 랭크뉴스 2024.06.05
35203 "싸이 온다" 수만명 몰리는데…주막 머무르며 춤춘 전북경찰청장 랭크뉴스 2024.06.05
» »»»»» ‘100년 역사’ 허물고 아파트 세운다고?…부산 시민들 반발 랭크뉴스 2024.06.05
35201 AI ‘멋진 신세계’ 또는 ‘디스토피아’…“인간 멸종 초래할 수도” 랭크뉴스 2024.06.05
35200 "일본도 제쳤다는데‥" 통계 개편했더니 '줄줄이 개선'? 랭크뉴스 2024.06.05
35199 “밀양 성폭행 피해자 측, 가해자 공개 동의한 적 없다” 랭크뉴스 2024.06.05
35198 대통령실, 6개 부처 개각 착수…총리 인선은 늦어질 듯 랭크뉴스 2024.06.05
35197 12개월 연속 ‘역사상 가장 따뜻했던 O월’ 랭크뉴스 2024.06.05
35196 장마 코앞 ‘위험천만’…“사유지라 손도 못 대” [현장K] 랭크뉴스 2024.06.05
35195 ‘밀양 성폭행 사건’ 피해자 지원단체, “신상공개 유튜버가 피해자 동의 구한 적 없어” 랭크뉴스 2024.06.05
35194 尹대통령, 7개국 아프리카 정상들과 릴레이 회담 마무리…동반성장·연대 모색 랭크뉴스 2024.06.05
35193 ‘사의’ 한덕수 결국 유임…대통령실, 이상민·이정식 등 개각 가능성 랭크뉴스 2024.06.05
35192 "7일 자정까지 안 내놔야" 난감한 여‥야당은 '민생 입법 촉구' 랭크뉴스 2024.06.05
35191 ‘하수구에 불길 치솟아’…무심코 버린 담배꽁초에 119 출동 랭크뉴스 2024.06.05
35190 ‘동해선 철로’ 철거 나선 북한…“군사분계선 앞 보란듯 작업” 랭크뉴스 2024.06.05
35189 "최고의 아빠였어요"…국대 출신 40대, 3명에 새삶 주고 떠났다 랭크뉴스 2024.06.05
35188 대통령실, 김 여사 띄우기 총력전‥논란 정면 돌파? 랭크뉴스 2024.06.05
35187 "브레이크 밟아도 밀렸다" ‘죽음의 언덕’서 또 미끄러진 버스 랭크뉴스 2024.06.05
35186 22대 국회, 헌정 사상 첫 야당 단독 개원…우원식 국회의장 선출 랭크뉴스 2024.06.05
35185 수만 명 몰린 대학축제장서 춤춘 전북경찰청장 "신중하겠다" 랭크뉴스 2024.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