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석회의가 열린 5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회관. 채혜선 기자
의대 증원에 반발해 총파업(집단 휴진) 찬반 투표를 진행 중인 대한의사협회(의협)가 5일 의대 교수 단체들과 연석회의를 열고 대정부 투쟁 방식을 논의했다. 의협이 전 회원을 대상으로 진행 중인 투표는 시작 하루 만에 투표율이 40%에 육박했다.



‘큰 싸움’ 예고한 의협, 9일 투쟁 방향 공개
의협은 이날 낮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대한의학회,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와 제3차 비공개 연석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선 집단휴진 방식이나 정부가 전날(4일) 발표한 전공의 사직서 수리 방침 등에 대한 대응 전략이 논의됐다고 한다. 의협은 전날 정부가 각 수련병원에 내린 사직서 수리금지 명령 등을 철회한다고 밝히자 “의대 증원 절차 전면 중단이라는 확고한 목표를 위해 의협이 앞장서서 ‘큰 싸움’을 본격적으로 전개하겠다”라며 집단행동을 예고했다.

최안나 의협 총무이사는 1시간 30분간 이어진 회의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의료 정상화를 위해 하루가 급한데 정부는 이를 해결할 의지도 능력도 없음이 확인됐다”며 “이제 의협을 중심으로 이 문제를 해결해나가기로 (이날) 뜻을 모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공의나 의대 교수뿐 아니라 개원의·봉직의 등 전 직역 의사가 이 문제를 해결해나갈 것”이라며 “정부에게 각 직역이 많은 방법으로 호소했으나 정부는 중단 의지가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장이 지난달 30일 오후 서울 중구 덕수궁 대한문 앞에서 대한의사협회가 주최한 대한민국정부, 한국의료 사망선고 촛불집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
의협은 오는 9일 전국의사대표자대회에서 구체적인 투쟁 방향을 공개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의협은 지난 4일 오후 5시부터 오는 7일 정오까지 회원 13만 명을 대상으로 집단 휴진 관련 찬반 투표를 진행 중이다. 의협은 투표에서 ‘의협의 강경한 투쟁을 지지하느냐’ ‘6월 중 계획한 휴진을 포함한 단체 행동에 참여하겠느냐’고 묻고 있다. 찬반 비율이 공개되고 있지 않지만, 이날 오후 5시 기준 5만437명(39%)이 투표에 참여한 것으로 파악됐다. 최 이사는 “의협 역사 120년 중 회원의 민의·총의를 모으는 투표에 가장 놀라운 만큼 압도적인 숫자가 참여했다”고 말했다.

의협 측은 ‘큰 싸움’이 뜻하는 정확한 투쟁 방식은 밝히지 않고 있다. 내부에선 전면 휴진 등이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의협 관계자는 “보안상 이유로 내부에서 논의 중인 내용은 외부에 공개할 수 없지만 정부의 입장 변화를 끌어낼 수 있는 보다 강력한 투쟁 방식”이라고 주장했다. 다른 의협 관계자는 “날짜나 방식은 내부 회의를 통해 결정할 테지만 전면 휴진 여부를 두고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이번 투표에 참여했다는 한 4년 차 전공의는 “정부가 의사 집단행동을 못 하게끔 한다는 전날 발표 뒤 이번에 정말 끝을 봐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고 말했다.

개원의 사이에선 집단 휴진에 대한 회의적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서울에서 의원을 운영하는 40대 A씨(전문의)는 “휴진은 안 하는 게 아니라 못 하는 것”이라며 “병원장들이 휴진에 따른 손실을 감당하면서까지 (의협 집단행동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기는 쉽지 않다”라고 말했다. 2020년 의료계 총파업 때도 개원의 참여율은 10%대에 그쳤다.

한편 정부가 집단 사직한 전공의와 관련한 각종 명령을 철회한 당일(4일) 병원으로 돌아온 전공의는 8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날 기준 전국 211개 수련병원에 출근한 전공의는 1021명(전체 7.4%)이다. 이는 지난 3일(1013명)보다 8명 늘어난 수치다. 전체 전공의 1만3756명 가운데 나머지 92.6%가 여전히 복귀하지 않은 것이다.

대구의료원에 따르면 지난 2월 사직서를 낸 전공의 4명 가운데 1명이 복귀했고 3명의 사직서가 이날 처리됐다. 서울 ‘빅5’ 병원 관계자는 “복귀한 전공의가 1명에 불과하다. 다들 눈치만 보고 있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는 “복귀하는 전공의가 다시 집단행동을 하지 않는 이상 행정처분을 하지 않겠다”라며 전공의들의 복귀를 촉구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5138 "최고의 아빠" 인라인 국대 출신 40대, 3명 살리고 하늘의 별로 랭크뉴스 2024.06.05
35137 법원, '이선균 수사정보 최초 유출' 검찰 수사관 영장 기각 랭크뉴스 2024.06.05
35136 WSJ도 보도한 '푸바오 학대' 의혹…中 103kg 몸무게 영상 공개 랭크뉴스 2024.06.05
35135 정부 행정명령 철회에도··· 의료계 “완전 철회 아니다” 반발, 손해배상 소송도 예고 랭크뉴스 2024.06.05
35134 임성근, 내용은 늘었는데 혐의자에서 제외‥보고서 3개 비교 랭크뉴스 2024.06.05
35133 가짜 양주 먹이고 바가지…2억 원 뜯어낸 유흥주점 적발 랭크뉴스 2024.06.05
35132 교감 때린 학생 보호자, 경찰에 고발돼…“학생 치료 절실” 랭크뉴스 2024.06.05
35131 “7일까지” 못 박은 우원식…민주, 법사·운영위 등 11개 1차 선출 전망 랭크뉴스 2024.06.05
35130 “수혈 거절, 이틀 뒤 사망” 진료 거부는 일상이었다 랭크뉴스 2024.06.05
35129 장미란 교체되나…문체부 2차관에 '친윤' 이용 전 의원 검토 랭크뉴스 2024.06.05
35128 양말로 세대 나누는 Z세대 랭크뉴스 2024.06.05
35127 "가장 믿음직한 아빠 될게" 밀양 성폭행범 각별한 부성애 이유는 랭크뉴스 2024.06.05
35126 미 전략폭격기 한반도에서 7년 만에 실사격 훈련…‘잔인한 6월’ 되나 랭크뉴스 2024.06.05
35125 [스페이스K 2024] 100명 중 90명은 ‘NO’라고 한 우주산업… ‘제2의 전성기’ 왔다 랭크뉴스 2024.06.05
35124 日연구소 "北 핵탄두 50기 보유 추정…1년만에 10기 증가" 랭크뉴스 2024.06.05
35123 [단독] 수리 맡겼더니…못 믿을 삼성전자 서비스센터 랭크뉴스 2024.06.05
35122 단란주점서 법카 쓴 삼성창원병원 교수 “노래방 기기 있는 술집” 해명 랭크뉴스 2024.06.05
35121 '갤럭시 링' 흥행 자신감? 노태문, 삼성전자 주식 3.6억어치 사들여 랭크뉴스 2024.06.05
35120 전세계서 '멸종 위기'인데 한국선 '유해조수' 취급…삼국시대부터 함께한 '이 동물' 랭크뉴스 2024.06.05
» »»»»» 의협 "큰 싸움" 예고…'집단휴진' 투표 하루 만에 40% 육박 랭크뉴스 2024.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