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쓰레기 종량제 30년. 90년대 당시 종량제 봉투 정책을 만든 심재곤 환경인포럼 회장이 4일 오후 중앙일보와 인터뷰하고 있다. 강정현 기자
1994년 12월 전국 각지에서 쓰레기 버리기 대소동이 벌어졌다. 이듬해 1월 1일자로 시행되는 ‘쓰레기수수료종량제’ 전국 시행을 앞두고서다.

쓰레기를 버리는 만큼 돈을 내도록 정책이 바뀌자 전국 곳곳이 쓰레기 무단 투기로 몸살을 앓았다. 하지만, 종량제가 시행된 지 30년이 된 지금은 전세계가 인정하는 성공적인 환경 정책으로 꼽힌다. 일본과 대만도 한국 사례를 참고해 제도를 개선하거나 도입했다.

1994년 12월 28일. 쓰레기종량제 실시에 앞서 주택가 공터에 몰래 버려진 냉장고 등 대형집기들의 모습. 중앙포토
5일 ‘환경의 날’을 맞아 종량제 정책 주역으로 꼽히는 심재곤 환경인포럼 대표를 만났다. 도입 당시 환경처 폐기물정책과장이었던 심 대표는 “사표를 품고 다니며 사생 결단으로 정책을 추진했는데, 아파트 쓰레기 집하장에 득실대던 바퀴벌레나 쥐를 보기 어려울 만큼 환경이 개선돼 뿌듯하다”고 말했다.



살해 협박 당하면서도 종량제 추진한 공무원
1990년대 초반만 해도 한국의 쓰레기 문제는 심각했다. 1인당 생활 쓰레기 배출량은 1985년 514㎏에서 1991년 778㎏까지 증가했다. 쓰레기량이 급증하면서 매립지와 소각장 부족은 만성적인 사회 문제가 됐다. 쓰레기 종량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 이유다.
새해 시행되는 '쓰레기수수료종량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담은 중앙일보 1994년 12월 29일 기사.

심 대표는 “이미 가구당 폐기물 수수료가 있었지만, 일정 수수료를 내면 마음껏 쓰레기를 버릴 수 있었기 때문에 정책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었다”면서도 “종량제 시행은 가계와 기업의 저항이 클 수밖에 없기 때문에 정치적으로 부담이 큰 정책이었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환경처 내부의 반대가 극심했다. “잘 안 되면 책임을 어떻게 질 거냐”는 말까지 나왔다고 한다. 정치권에서도 여야를 막론하고 현실성 부족을 이유로 반대했고, 시민단체들도 수수료만 오르고 또다른 봉투 쓰레기를 양산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심 대표는 당시 환경운동연합 최열 사무국장(현 환경재단 이사장) 등 일부 환경단체와 학계 등에서 말하는 종량제 도입이 옳다는 확신을 가졌다. 배출량에 비례하지 않으면 수수료를 올려도 소용이 없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YS 결단, 환경처→부로 승격시키며 지원
김영삼 대통령이 1996년 6월 5일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1회 환경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연설하는 모습. 중앙포토
그는 “폐기물 업자로부터의 살해 협박을 당할 정도로 저항이 컸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그런데도 종량제 정책을 시행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고(故) 김영삼 전 대통령의 결단이 있었다고 한다. 심 대표는 사표를 품고 당시 박윤흔 환경처 장관과 대통령 수석비서관을 쫓아다니며 설득해 장관과 대통령의 독대를 추진했다. 심 대표는 “당시로써는 생소했던 영상 슬라이드 보고를 준비했다. YS께서 ‘이건 해야 하는 일’이라며 내무부(현 행정안전부)에 환경처를 도우라고 지시해 정책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고 했다.

김 전 대통령은 정책 재가에 그치지 않고 힘을 계속 실어줬다. 환경처가 1995년 종량제 시행과 함께 환경부로 승격된 것도 이런 이유에서였다.

종량제 도입 과정에서 시민들은 혼란과 불편을 겪기도 했다. 자영업자들의 폐기물 부담으로 음식값 인플레이션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이에 대해 심 대표는 “시범 지구에서 먼저 정책 성과를 확인하고 시민 사회와 언론도 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게 중요하다. 그러면 차츰 사회적 분위기가 바뀌고 정책 수용성이 올라간다”며 “당장의 불편 사항으로 인한 정치적 유불리를 따지지 말고 사회 전체의 이익을 생각하면 결국 그게 모두의 이익으로 돌아간다는 걸 국민도 안다”고 말했다.



“쓰레기 정책 대대적 리모델링 필요”
1999년 방영된 일본 아사히TV의 한국 종량제 정책 보도 화면. 당시 심재곤 환경부 국장이 아사히TV와 인터뷰하고 있다. 강정현 기자
종량제 시행 후 한국 1인당 생활 쓰레기 배출량은 연간 350~380㎏ 수준으로 절반 가까이 떨어졌다. 한국보다 먼저 종량제를 실시했던 일본은 이제 거꾸로 한국을 부러워하게 됐다. 심 대표는 “1999년 아사히TV에서 한국의 종량제 정책을 배우겠다고 찾아왔다. 당시 일본은 36년간 한국에 청소하는 법을 가르쳐줬다고 주장하며, 그런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제는 한국의 폐기물 정책을 우리가 배워야 한다고 보도했다”고 했다. 마을 단위로 종량제를 시행하던 일본은 보도 이후 한국처럼 가구 단위 종량제로 제도를 바꿨다

김영옥 기자
하지만 코로나19를 기점으로 일회용 플라스틱 소비량이 늘면서 1인당 배출량도 2022년 446㎏을 기록하는 등 반등하고 있다. 재활용률도 정체돼 다시 한번 쓰레기 정책에 강한 혁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심 대표는 “종량제 시행 후 30년이 흘렀고 쓰레기 정책도 대대적인 리모델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5960 北 오물 풍선 뜬 시간, '최전방' 육군 1사단장은 음주 회식...군, 감찰 착수 랭크뉴스 2024.06.07
35959 삼성노조 55년만에 첫 파업…참여율 낮았다 랭크뉴스 2024.06.07
35958 “휠체어석 예매 40분 대기, 위치도 못 골라”···장애인 공연 접근권 ‘문턱’ 랭크뉴스 2024.06.07
35957 이화영 쪽 변호인 “검찰 친화 재판” 항소 뜻…“조작수사 특검해야” 랭크뉴스 2024.06.07
35956 대마도 신사 "한국인 오지 마"‥그동안 무슨 일 있었길래? 랭크뉴스 2024.06.07
35955 부럽다, 랍스터를 1000원에…대학 '아침 특식' 인기폭발 랭크뉴스 2024.06.07
35954 "중대장, 신상 털려 불안해한대요" 그래서 입건 대신 휴가? 랭크뉴스 2024.06.07
35953 ‘그들 만의 시장’… 올해 100억대 아파트 거래 4건 랭크뉴스 2024.06.07
35952 경찰, ‘재산 축소 신고 의혹’ 이상식 민주당 의원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4.06.07
35951 네타냐후 내달 24일 美의회 연설…"전범" 일부 의원 보이콧 예고 랭크뉴스 2024.06.07
35950 홍성 광천읍에서 충돌사고…2명 사망·1명 심정지 랭크뉴스 2024.06.07
35949 "유망하지만 입증하려면 시추뿐"...윤 대통령 소개 나흘 만에 입 연 액트지오의 아브레우 랭크뉴스 2024.06.07
35948 티맥스 창업주 박대연, ‘슈퍼앱’ 욕심내다 사면초가… 스틱 자금 수혈, 동아줄인가 자충수인가 랭크뉴스 2024.06.07
35947 인터넷은행 주담대 4% 육박, 시중은행보다 높아졌다 랭크뉴스 2024.06.07
35946 '쌍방울 대북송금·뇌물' 이화영, 1심 징역 9년 6개월 랭크뉴스 2024.06.07
35945 서울대병원장 "집단휴진 불허"…비대위 "환자 떠나지 않아"(종합) 랭크뉴스 2024.06.07
35944 [단독] 이재명 “내 임기 관련 당헌 개정은 하지 말자” 랭크뉴스 2024.06.07
35943 법원 “쌍방울 송금은 이재명 방북 사례금”…이화영 징역 9년6개월 랭크뉴스 2024.06.07
35942 영동대로 공사현장에 '중고 복공판'이?... 경찰은 불송치 랭크뉴스 2024.06.07
35941 '밀양 성폭행' 가해자 공개에 영상 속 관련자들 유튜버 고소 랭크뉴스 2024.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