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48개국·4개 국제기구와 공동선언
공급망 협력 '핵심광물대화' 출범
ICT 역량강화 교육 프로그램 확대
전자정부·디지털무역 등 지원도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 지지 재확인
윤석열 대통령이 4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공동언론발표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아프리카연합(AU) 의장국 무함마드 울드 가주아니 모리타니아 대통령. 연합뉴스

[서울경제]

한국과 아프리카연합(AU) 주요국이 동반 성장·지속가능성·연대 등 3대 의제에 걸쳐 협력을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전 세계 광물 자원의 30%를 보유한 아프리카와 4차산업의 핵심 광물인 코발트와 리튬·니켈 등의 안정적 공급망 구축을 위한 ‘핵심광물 대화’도 출범한다. 아프리카 국가들은 또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외교적 노력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4일 일산 킨텍스 2전시장에서 열린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후 공동 언론 발표에서 “한국과 아프리카 관계의 새로운 장을 열게 됐다”며 “한국과 아프리카는 동반 성장, 지속 가능한 발전, 국제 평화와 안보를 위해 굳게 연대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과 아프리카 48개국 및 4개 국제기구 대표는 총 25개 항목의 공동 선언문도 채택했다. 윤 대통령은 “아프리카와 함께 만드는 미래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한국과 아프리카 국가들은 우선 교역과 투자를 늘리기 위해 비즈니스 파트너십을 강화한다. 윤 대통령은 “아프리카 각국의 실질 수요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유무상 원조 체제를 발전시켜나가기로 했다”며 “2030년까지 100억 달러 수준으로 공적개발원조(ODA) 규모를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양측은 또 △경제동반자협정(EPA) △무역투자촉진프레임워크(TIPF) △이중과세방지협정(DTAA) △투자보장협정(IPA) 등 경제협력의 제도적 기반을 강화한다.

한국 기업의 원활한 아프리카 진출도 지원한다. 윤 대통령은 “약 140억 달러의 수출금융을 관련 기업에 제공할 것”이라며 “한국의 우수한 기업들이 아프리카에 더욱 활발하게 진출해 지속 가능한 인프라 확충에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전체 인구의 60%가 25세 이하인 아프리카의 성장 잠재력을 현실화하기 위한 교육 협력도 확대된다. 윤 대통령은 “테크 포 아프리카(Tech 4 Africa) 이니셔티브를 통해 디지털 분야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적극 추진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아프리카의 전자정부 도입 지원,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을 통해 디지털 기반 무역 증진도 지원한다.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한국과 아프리카는 ‘핵심광물 대화’를 출범시킨다. 첨단산업 선도국인 한국과 핵심 광물을 보유한 아프리카 국가들의 협력을 통해 핵심 광물의 안정적 공급을 보장하고 핵심 광물과 관련된 기술협력을 촉진한다. 한국 기업이 아프리카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면서 핵심 광물 개발 기회도 모색하기로 했다. 윤 대통령은 “호혜적 협력을 통해 공급망의 안정을 꾀하면서 전 세계 광물 자원의 지속 가능한 개발에도 기여하는 모범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 평화와 안보 부문에서 한·아프리카의 연대도 활발해진다. 우리나라가 내년까지 유엔안보리 비상임이사국을 맡게 됨에 따라 유엔 등 국제 무대에서 아프리카 국가들과 협력을 더욱 강화하기로 한 것이다. 북한 문제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서도 아프리카와 협력한다. 윤 대통령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해 안보리 결의를 충실히 이행해야 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했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역대 최초로 열린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에서 아프리카 국가들과 총 조약·협정 12건, 양해각서(MOU) 34건이 체결됐다고 밝혔다. 또 이번 회의를 통해 한·아프리카 대화의 수준을 최고위급으로 격상하고 정상 차원의 네트워크를 구축했다고 덧붙였다. 기존에는 외교장관 협의체인 한·아프리카 포럼(KOAF)과 경제장관 협의체인 한·아프리카 경제장관회의(KOAFEC)를 중심으로 고위급 협의체가 운영됐다. 윤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의를 통해 총 25개국 아프리카 정상들과 양자 회담을 한다. 이날까지 총 17개국 정상을 만났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5786 "오늘 점심은 마트?" 런치플레이션에 직장인 식당보다 마트 찾아 랭크뉴스 2024.06.07
35785 “동해 석유 15년 훑었지만 유망성 없다”…6년 일찍 철수한 호주 기업 랭크뉴스 2024.06.07
35784 남북 강경대치, 윤 대통령에겐 어떤 이득 있을까 [6월7일 뉴스뷰리핑] 랭크뉴스 2024.06.07
35783 [속보]아브레우 고문 "동해 심해 저류층 발견…석유·가스 실존여부 확인중" 랭크뉴스 2024.06.07
35782 ‘원조 친명’ 김영진 “이재명, 설탕만 먹다가 이빨 다 썩을 수도”[단독 인터뷰] 랭크뉴스 2024.06.07
35781 바이든 “우크라, 미국 무기로 크렘린 공격은 안 돼” 랭크뉴스 2024.06.07
35780 한국 의료 정말 멈추나···서울대병원 17일부터 휴진·의협도 파업투표 강행 랭크뉴스 2024.06.07
35779 나경원, 차기 당 지도체제 논쟁에 “단일지도체제가 더 적합” 랭크뉴스 2024.06.07
35778 '현충일 욱일기' 슬그머니 철거…신상 털기·현관 앞 오물 세례 랭크뉴스 2024.06.07
35777 현관에 오물·낙서 세례… 결국 욱일기 철거한 ‘그 집’ 랭크뉴스 2024.06.07
35776 ‘동해 석유 매장 가능성 분석’ 아브레우 박사 오늘 기자회견 랭크뉴스 2024.06.07
35775 워마드서 얼차려 사망 훈련병 조롱…육군 "명예훼손 중단" 촉구 랭크뉴스 2024.06.07
35774 '간헐적 단식' 창시자 실종사건…그리스 시미섬에 무슨 일이 랭크뉴스 2024.06.07
35773 문재인, 김정숙 여사 논란 거듭 반박‥"제발 품격있는 정치 하자" 랭크뉴스 2024.06.07
35772 “일방적 폭행 아니다” 교감 뺨 때린 초등생 부모 반박 랭크뉴스 2024.06.07
35771 [여의춘추] 스스로 분쟁하는 나라마다 황폐해질 것이요 랭크뉴스 2024.06.07
35770 [속보] 추경호 "오늘 상임위원 명단 제출못해…10일 의총서 대응논의" 랭크뉴스 2024.06.07
35769 '강남 오피스텔 모녀살해' 박학선 송치‥피해자에 죽을죄 지었다" 랭크뉴스 2024.06.07
35768 “재조사하면 응하겠다”… 밀양 가해자 추정글 논란 랭크뉴스 2024.06.07
35767 1200억 대박은 저주가 됐다…통영 케이블카의 절규, 왜 랭크뉴스 2024.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