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1년 10월31일 여의도 KBS스튜디오에서 국민의힘 대선후보 제10차 조합토론회가 열린 가운데 후보들이 시작에 앞서 포토타임을 갖고 있다. (왼쪽부터) 원희룡, 윤석열, 유승민, 홍준표 후보. 국회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 국정 지지도가 취임 후 최저치인 21%라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오자 친윤석열(친윤)계 행보를 보인 홍준표 대구시장과 비윤(석열계) 유승민 전 의원이 2일 상반된 입장을 냈다. 홍 시장은 여론조사 조작 가능성까지 거론하며 믿을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고, 유 전 의원은 “정권의 생명에 빨간 불이 켜졌다”며 각성을 촉구했다.

홍 시장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글을 올려 “2017년 탄핵(정국) 대선 때 선거 1주일 전까지 내 지지율은 7~8%로 늘 한 자리 숫자로 발표됐다”며 “그 기관이 당시 그렇게 발표한 것은 정상적인 여론조사였다기보다 특정 후보의 대세론을 만들어주기 위한 작위적인 여론조작으로 나는 봤다”고 주장했다. 홍 시장 본인이 2017년 대선에서 자유한국당 대선 후보로 24.03%를 득표했다며 여론조사 무용론을 제기한 것이다.

홍 시장은 “이번 총선 여론조사도 그런 경향성을 봤고 최근 여론조사에서도 그런 것을 본다”며 윤 대통령의 지지도 조사도 믿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그는 “응답률 15% 이하는 발표를 금지하고 이른바 보정은 하지 말아야 한다”며 “응답율 10%도 안 되는 여론조사는 설계하기 따라서 얼마든지 조작할 수 있다”고 했다.

유 전 의원은 지지율을 근거로 국정에 경고등이 켜졌다고 주장했다. 그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21% 지지율이라는 한국갤럽(조사)은 이 정권의 생명에 빨간 불이 켜진 최악의 상태”라며 “중수청(중도층, 수도권, 청년층) 민심이 총선 때보다 더 나빠졌다”고 우려했다.

유 전 의원은 “총선 끝난 지 두 달이 다 되어 가는데 왜 민심은 최악으로 치닫고 있나. 대통령도, 정부 여당도 바뀐 게 아무것도 없기 때문”이라며 “총리, 장관들은 그대로 그 자리에 눌러앉았고, 용산 대통령실은 총선에서 국민 선택을 못 받은 낙선자들의 재취업센터로 변했다”고 비판했다. 또 “보수층까지 찬성 비율이 높았던 채상병 특검법을 대통령은 거부했고 여당은 재의결에서 부결시킨 것을 무슨 큰일 해낸 것처럼 자랑했다”며 “총선에서 왜 박살 났는지 그 이유도 모른 채 ‘뼈 빠지게 뛰겠다’며 어퍼컷을 날리는 대통령, ‘한 몸으로 똘똘 뭉치자’는 의원들, ‘108석도 굉장히 큰 숫자’라는 비대위원장. 이러니 국민들 염장만 지르는 거 아닌가”라고 했다.

유 전 의원은 또 “대통령의 이런 모습은 스스로 무덤을 팔 뿐”이라며 “대통령 부부에 대한 특검법만 부결시키면서 3년을 버티고 나가면 된다고 믿는 걸까, 20%선이 붕괴된다면 그때는 정신 차릴까”라고 물었다. 그는 “사실 이 정도 지지율만으로도 할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다”며 “윤석열 대통령이 정치를 몰라서 둔감한 것인지, 심지가 워낙 굳건해서 타격감이 없는 것인지 모르겠지만 21% 지지율은 집권 마지막 해에나 나타나는 지지율이라는 것 정도는 주변의 누군가가 직언해주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윤 대통령이 지난달 30일 국민의힘 의원 워크숍에서 축하주를 마신 것과 관련해서도 “채 상병 특검법이 부결된 직후 해병대 예비역들이 눈물을 흘리던 모습이 눈에 선한데, 국민의힘은 그런 민심을 외면하고 훈련병 영결식 날 어퍼컷에 맥주를 들고 환호하는 모습을 자랑스럽게 공개하는 행동들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나”라며 “김치찌개 레시피 공개하고 계란을 마는 걸로는 아무 것도 안 바뀐다”고 했다.

앞서 한국갤럽이 지난달 28일부터 사흘간 전국 성인 1001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지난달 31일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윤 대통령이 ‘잘하고 있다’는 긍정 평가는 21%로 나타났다. 지난 조사 대비 3%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윤 대통령이 취임한 2022년 5월 이후 최저치다.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 평가는 같은 기간 3%포인트 상승해 70%로 나타났다. 취임 이후 최고치다. 이 조사는 통신 3사가 제공한 무선전화 가상번호를 무작위 추출한 전화조사원 인터뷰(CATI) 방식으로 실시됐다. 응답률은 11.1%,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3790 [속보] 대통령실, 북한 오물풍선에 “북한이 감내하기 힘든 조치 착수”…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 추진 랭크뉴스 2024.06.02
33789 영화인들이 뽑은 역대 한국 영화 1위는? 랭크뉴스 2024.06.02
33788 소프트랜딩이냐 침체냐, 경계에 선 미국 경제[글로벌 현장] 랭크뉴스 2024.06.02
33787 차 유리창 깨지고 악취 진동…전국이 '오물풍선' 피해 랭크뉴스 2024.06.02
33786 추경호, 원 구성 압박에 “법사위원장 가져가려면 ‘국회의장’ 달라” 랭크뉴스 2024.06.02
33785 [속보] 대통령실, NSC 회의 개최…“북한 감내하기 힘든 조치들 착수” 랭크뉴스 2024.06.02
33784 장난감 고무 오리 1만 개로 가득 찬 강물…무슨 일? 랭크뉴스 2024.06.02
33783 당정 "모든 신교대 훈련실태·병영생활여건 긴급 점검해 개선"(종합) 랭크뉴스 2024.06.02
33782 검찰, 최재영-김 여사 첫 접견 메모 확보‥"샤넬 화장품 뜯어봐" 랭크뉴스 2024.06.02
33781 [속보] 정부 "北 감내하기 힘든 조치들 착수… 대북 확성기 방송 배제 안 해" 랭크뉴스 2024.06.02
33780 떨어진 북한 ‘오물 풍선’에 자동차 유리 박살 랭크뉴스 2024.06.02
33779 [르포] 가족도 외면한 마지막 길…늘어난 무연고자 장례 랭크뉴스 2024.06.02
33778 [단독]야놀자 美법인 설립…나스닥 상장 가속도 랭크뉴스 2024.06.02
33777 [2보] 용산 "北 감내 힘든 조치들 착수…대북확성기 방송도 배제안해" 랭크뉴스 2024.06.02
33776 ADHD 아닌 이 병이었다…산만함에 숨은 '충격 신호' 랭크뉴스 2024.06.02
33775 [속보] 대통령실 "북한이 감내하기 힘든 조치들 착수할 것" 랭크뉴스 2024.06.02
» »»»»» 윤 대통령 21% 지지율에...홍준표 “조작 가능성” 유승민 “정권에 빨간불” 랭크뉴스 2024.06.02
33773 한동훈, ‘엘시티 부실수사’ 의혹 제기 기자 상대 손배소 최종 패소 랭크뉴스 2024.06.02
33772 '강남 오피스텔 모녀 살인' 60대 구속…"도망 가능성 있어" 랭크뉴스 2024.06.02
33771 “여성 1년 조기입학…남여 서로 매력 느끼게” 국책연구원의 황당 보고서 랭크뉴스 2024.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