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8월 2일 尹-이종섭 3차례 통화' 기록 나오자 "채 상병 언급 없었어"
개별 참모 "수사 권한 문제로 야단쳤을 것"... 논란 조짐에 "사견"
여권에서도 "혼선 키울 바에 윤 대통령이 나서는 게 방법"
윤석열 대통령이 5월 9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있는 모습. 뉴시스


지난해 해병대 채 상병 순직 이후 윤석열 대통령의 '격노설'을 놓고 대통령실과 여당이 오락가락 해명으로 의혹을 키우고 있다. 국민의힘 의원이 "격노가 문제인가"라고 두둔하더니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사견'을 전제로 "윤 대통령이 해병대 수사단을 야단쳤을 것"이라고 언급해 논란에 불을 지폈다.

채 상병 사건에 대해 대통령실은 "수사 중인 사안에 대해서는 언급이 부적절하다"는 공식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수사가 한창인 만큼 직접 나설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오히려 여권에서는 이번 사건을 '해병대 수사단의 잘못을 당시 이종섭 국방부 장관이 바로잡은 것'으로 보고 있다. 해병대 수사단이 수사권이 없는데도 수색과정의 지휘 권한과 관련 없는 다수를 상대로 광범위하게 혐의를 특정했다는 점에서다.

윤 대통령과 이종섭 전 장관이 지난해 8월 2일 3차례 통화한 사실은 공수처 수사에서 드러났다. 다만 대통령실은 '채 상병 관련 언급은 없었다'고 해명해왔다. 그래서 당시 통화에 문제가 없다는 논리다. 윤 대통령 격노설에 대해서도 "'이런 일은 절대 일어나면 안 된다’ 이렇게 좀 질책성 당부를 한 바 있다”는 지난달 9일 기자회견 답변이 전부라며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의 관여 의혹에 선을 긋고 있다.

하지만 지난달 31일 ‘윤 대통령이 해병대 수사단의 수사권한 문제를 지적하면서 야단을 쳤을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자 대통령실이 더 이상 뒤로 빠질 수 없는 처지가 됐다. 발언 당사자인 대통령실 고위관계자가 사견이라는 단서를 달았지만, 윤 대통령이 기자회견에서 밝힌 내용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야단'이든 '격노'든 해병대 수사단 조사 결과에 윤 대통령이 의중을 전달한 의미로 받아들여지는 대목이다. 성일종 국민의힘 사무총장은 지난달 26일 “대통령이 문제가 있다고 격노하면 안 되나. 격노한 게 죄인가”라고 윤 대통령을 엄호한 발언과 겹쳐진다.

이에 더불어민주당은 곧바로 "채 해병 사건조사에 윤 대통령이 구체적으로 개입한 것을 처음으로 인정하는 것"이라고 공세수위를 높였다. 논란이 확산될 조짐이 뚜렷해지자 한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2일 "당시 상황을 알지 못하는 관계자가 익명과 사견을 전제로 말한 것일 뿐 진실 여부와는 관계가 없다"고 차단막을 쳤다. 다른 복수의 대통령실 관계자들도 '사실과 다르다'는 취지로 진화에 나섰다.

하지만 공수처 수사가 속도를 내면서 대통령실은 우왕좌왕하는 모습이다. 이에 서로 다른 입장이 산발적으로 튀어나와 혼선을 가중시키지 말고 윤 대통령이 직접 의혹을 설명해야 한다는 요구가 적지 않다. 한 여권 관계자는 "수사가 진행되는 상황에선 대응이 또 다른 논란으로 확산할 수 있어 조심스러운 건 사실"이라고 전제를 하면서도 "대통령 관련 이슈인 만큼 어느 정도는 직접 입장을 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3747 '파경' 선우은숙, 방송 하차…"나 정말 못하겠다" 눈물 쏟았다 랭크뉴스 2024.06.02
33746 韓총리 “北 오물 풍선, 저열한 도발… 국민 안전 중점 두고 침착 대응” 랭크뉴스 2024.06.02
33745 與 “국회, 특검공화국 됐다… 文, 타지마할 진실 밝혀야” 랭크뉴스 2024.06.02
33744 CCTV로 지켜보고 메신저 감시? "사전동의·업무상 필요성 없으면 위법" 랭크뉴스 2024.06.02
33743 "훈련병 사망 중대장 살인죄로 처벌"…前의협회장, 고발한 까닭 랭크뉴스 2024.06.02
» »»»»» "尹 야단쳤을 것"... '격노설' 오락가락에 의혹 키우는 대통령실 랭크뉴스 2024.06.02
33741 [속보] 당정 "北 오물풍선·GPS 교란 강력규탄…즉각중단 촉구" 랭크뉴스 2024.06.02
33740 황우여 “건강한 당정 관계 약속…이자율 대책 필요” 랭크뉴스 2024.06.02
33739 호주 ‘딥페이크 음란물’ 최고 징역 7년 추진… 한국은? 랭크뉴스 2024.06.02
33738 日 야스쿠니 신사에 빨간색 ‘toilet’ 낙서 발견… 수사 착수 랭크뉴스 2024.06.02
33737 "뉴델리 낮 52.9도" 센서오류 탓, 실제는 3도↓…"여전히 최고치" 랭크뉴스 2024.06.02
33736 황우여 "당·정부·대통령실, 1인 3각 달리기하듯 한 호흡으로 난제 풀 것" 랭크뉴스 2024.06.02
33735 한미 국방장관회담‥'북 오물풍선, 정전협정 위반' 재확인 랭크뉴스 2024.06.02
33734 尹대통령 “아프리카와 핵심 광물 협력 기반 마련할 것” 랭크뉴스 2024.06.02
33733 "불교색 빼라" "그리 못 한다"… 뉴진스님 싱가포르 DJ 공연 결국 무산 랭크뉴스 2024.06.02
33732 "인류 최초 달 뒷면 토양 캐낸다"…'우주굴기' 中 창어6호 착륙(종합2보) 랭크뉴스 2024.06.02
33731 "영업 준비하는데 퍽"…시장∙산책로 도심 곳곳 오물풍선 소동 랭크뉴스 2024.06.02
33730 이상민 “윤 대통령, 채 상병 사건 직접 국민에게 설명해야”[떠나는 사람은 말이 있다] 랭크뉴스 2024.06.02
33729 오타니 바라보고 있는 이순신 장군[한경비즈니스 포토] 랭크뉴스 2024.06.02
33728 [단독] 플라스틱 협약 ‘회기간 작업’ 8월 방콕서…부산회의 디딤돌 되나 랭크뉴스 2024.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