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해 '상저하고' 예상했지만…반도체 경기 반등 더뎌지며 법인세 급감
1분기 '깜짝 성장'·소비 개선 등 청신호도…10조원대 결손 관측


(CG)
[연합뉴스TV 제공]


(세종=연합뉴스) 박재현 기자 = 지난해 제조업 불경기의 여파가 올해 '법인세 쇼크'로 나타나면서 2년 연속 세수 결손 우려가 커지고 있다.

남은 기간 작년만큼 세수가 들어오면 30조원대 '펑크'가 발생한다는 계산이 나오지만, 정부는 하반기부터는 세수 상황이 나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2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올해 1∼4월 국세 수입은 125조6천억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8조4천억원 줄었다.

예산 대비 세수 진도율은 34.2%로, 56조4천억원의 대규모 '세수 펑크'가 발생한 작년(38.9%)보다도 더 낮았다.

국세 수입 감소의 '주범'은 법인세였다.

1∼4월 법인세수는 22조8천억원으로 작년보다 12조8천억원 감소했다. 세수 진도율(29.4%)도 작년 4월 기준(33.9%)을 밑돌았다.

법인세 세수 감소는 예견된 일이었다.

정부는 지난해 8월 올해 예산안을 국회에 제출하면서 국세 수입을 작년보다 33조2천억원(8.3%) 줄어든 367조3천억원으로 전망했다.

반도체를 비롯한 제조업 불황이 장기화하면서 법인세가 전년보다 감소할 것이라는 관측에 따른 것이었다.

[그래픽] 국세수입 현황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31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4월 국세수입 현황에 따르면 올해 1~4월 국세수입은 법인세수가 13조원 가까이 줄어들며 총 125조6천억원으로 집계돼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8조4천억원 줄었다.
[email protected]
X(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문제는 실제 법인 실적 부진이 정부 예상보다 더 심각했다는 것이다.

당초 정부는 반도체 경기가 작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회복하면서 '상저하고'의 경기 반등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실제 반도체 경기 회복이 예상보다 더뎌지면서 기업들의 실적 부진은 연말까지 이어졌고, 경기 역시 '상저하중' 정도 흐름을 보이며 느리게 반등했다.

지난해 12월 코스피 결산 기준으로 상장기업 705개의 지난해 개별 기준 영업이익은 39조5천812억원으로 전년보다 44.96% 줄었다.

법인세 세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삼성전자·SK 하이닉스 등 반도체 대기업들은 영업 적자를 기록하는 등 부진을 면치 못했다.

이 같은 악재 속에서 법인세 세수는 정부 예상보다 더욱 큰 폭으로 떨어졌고, 4월까지 발생한 세수 결손의 주된 원인이 됐다.

세수 재추계 결과 발표하는 정정훈 기재부 세제실장
[연합뉴스 자료사진]


남은 기간 지난해와 똑같이 세금이 걷힌다고 가정하면 올해 세수는 335조7천억으로, 예산보다 31조6천억원이 덜 걷히게 된다.

2년 연속 수십조원대 '세수 펑크'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의미다.

정부는 남은 기간 작년보다 세수 상황이 개선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기대를 밑돌았던 제조업 경기 반등이 올해 1분기에 본격화하면서 나타난 '깜짝 성장' 흐름이 하반기 세수에 반영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에 따라 종합소득세가 들어오는 5월, 법인세 예납이 들어오는 8월 이후에는 세입 예산과 실제 세수의 차이가 상당 부분 줄어들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다.

지난해보다 소비 심리가 개선되면서 부가가치세 등 다른 세목들의 수입이 개선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인 요소다.

다만 하반기 세수 상황이 개선되더라도 상반기 법인세 '쇼크'로 인한 결손 폭을 모두 메우기에는 충분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4월까지 비슷한 세수 감소가 발생한 과거 사례에 비춰봤을 때, 올해 역시 10조원대 세수 결손은 불가피할 것이라는 게 기재부 안팎의 관측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올해도 세수 결손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는 하지만, 작년만큼 대규모 '펑크'가 나오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5월 세수 상황을 보면 구체적인 결손 규모에 대한 전망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3558 ‘얼차려 중대장’ 살인죄 처벌 가능할까… 법조계 “어려울듯” 랭크뉴스 2024.06.02
33557 1위 볼보, 뒤쫓는 스카니아… 수입 상용차 시장도 치열 랭크뉴스 2024.06.02
33556 '헌재 합헌'에도…대통령실·국회 '종부세 개편론' 탄력 [뒷북경제] 랭크뉴스 2024.06.02
33555 스위프트도 당했다... 활개 치는 딥페이크 성범죄 막을 길 없나 랭크뉴스 2024.06.02
33554 티샷 날리고 카트 타자마자‥내리막 '우어억!' 날벼락 랭크뉴스 2024.06.02
33553 "알뜰살뜰 모은 5000만 원"... 고수들은 하반기 '이렇게' 불린다 [내돈내산] 랭크뉴스 2024.06.02
» »»»»» 2년 연속 세수 결손 가시화…작년만큼 걷으면 30조대 '펑크' 랭크뉴스 2024.06.02
33551 트럼프, 유죄 평결 후 무당층 표심 이탈…“49% 후보직 사퇴해야” 랭크뉴스 2024.06.02
33550 의대 '지방유학' 어디로…강원, 학생수 대비 지역인재 규모 1위 랭크뉴스 2024.06.02
33549 ‘호국보훈의 달’ 군장병 사기 떨어뜨리는 ‘의외의 복병’ [일터 일침] 랭크뉴스 2024.06.02
33548 '채상병 특검' 연일 압박‥"VIP 격노 진실 드러나" 랭크뉴스 2024.06.02
33547 "강형욱 회사는 훈련소계 삼성"… 갑질에 우는 훈련사들 랭크뉴스 2024.06.02
33546 또 오물풍선 살포‥"서울·경기서 90여 개 식별" 랭크뉴스 2024.06.02
33545 교장은 명함에 '이 문구' 새겼다…지방 일반고의 의대진학 사투 랭크뉴스 2024.06.02
33544 강아지 '애기'라 부르는 한국인…타일러 "아픈 거 아닐까요?" 랭크뉴스 2024.06.02
33543 ‘양심적 병역거부자’ 오승환씨가 아들을 데리고 헌재에 간 이유 랭크뉴스 2024.06.02
33542 정부, 종부세 '다주택 중과'부터 손질…중과-기본세율 일원화 랭크뉴스 2024.06.02
33541 ‘헬리코박터 제균치료’ 엇갈린 의견들…그래도 하는 게 낫다 랭크뉴스 2024.06.02
33540 [단독]"앗, 실수! 반대로 바꿔줘"…유독 그들만 허용되는 '꼼수 번복' 랭크뉴스 2024.06.02
33539 "2600만원 주는 것보다 키즈카페가 더 효과"…출산지원금 쇼크 랭크뉴스 2024.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