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톈안먼 민주화 시위 35주년 앞두고 여론조사
"아깝게 실패한 민주화 운동...나도 동참했을 것"
"톈안먼 시위 표현 자체가 생소하다" 반응도
중국 베이징 시민들이 중국공산당의 상징이자 베이징의 심장부인 톈안먼 광장 앞을 지나가고 있다. 베이징=조영빈 기자


"1989년 톈안먼 광장으로 돌아간다면, 시위에 참여하겠습니까?"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이 '6·4 톈안먼 민주화 시위(이하 톈안먼 시위)' 35주년을 앞두고 중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의 질문이다. 지난달 10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이메일을 통해 실시한 이 조사에선 의외로 "당연히 참여할 것"이라는 응답이 많이 나왔다. 반면 톈안먼 시위 자체가 무엇인지 모르는 반응도 여전히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RFA는 조사 결과를 보도하면서 정확한 응답자 규모와 비율 등은 공개하지 않았다.

"대학생이었다면, 나도 시위 동참했을 것"



매트라는 닉네임의 네티즌은 이번 조사에서 "당시 시위자들은 국가를 전복시키려 했던 게 아니라, '개혁'을 원했던 것"이라고도 지적했다. 이어 "시위 당시 나는 10대에 불과했는데, 만약 내가 대학생이었다면 반드시 시위에 동참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네티즌 릴리도 "그런 기회가 또 있다면 참여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당시 시위는 민주주의에 가장 근접했던 움직임이었지만, 결국은 실패로 끝이 났다"고 안타까워했다.

톈안먼 시위는 1989년 6월 4일 대학생과 젊은이 수만 명이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정치 개혁과 민주화를 요구한 사건이다. 중국은 군부를 동원해 이를 유혈 진압했고, 이후 중국에서 톈안먼 시위를 공개 언급하는 것은 금기가 됐다. 바이두 등 포털사이트와 주요 SNS에서 '톈안먼 사건', '6·4 사건' 같은 단어를 검색하면 "관련 결과를 찾을 수 없다"는 메시지만 뜬다.

이번 조사에선 톈안먼 시위에 대한 회의적 반응도 적지 않았다. 칭다오에 거주하는 중학생이라고 자신을 소개한 한 네티즌은 "우리에게 6·4 시위라는 표현은 그 자체로 생소하다"며 "우리는 중국공산당과 국가를 제대로 구분조차 하지 못한다"고 적었다. '당이 곧 국가'라는 교육 탓에 '민주화'의 개념조차 흐릿하다는 뜻이다.

1989년 6월 4일 톈안먼 민주화 시위 당시 흰색 셔츠에 검은 바지를 입은 남성 '탱크맨'이 시위대를 진압하려 광장으로 들어오는 탱크를 홀로 막아서고 있다. 베이징=AP 연합뉴스


"35주년 앞두고 희생자 유족 인터뷰 금지"



"동참할 용기는 없다"는 솔직한 반응도 많았다. 반항자라는 닉네임의 네티즌은 "그 자리에 내가 있다고 해도 직접 참여하긴 어려울 것 같다"며 "다만 내가 가진 다른 능력을 활용해 시위를 돕겠다"고 말했다. 또 다른 네티즌도 "당시 시위를 지지하지만 동참할 용기는 없다"고 답했다.

한편 톈안먼 시위 35주년을 앞두고 베이징에는 다시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중국 당국은 최근 시위 희생자 유족들에게 언론 인터뷰 금지령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인권 변호사 등 톈안먼 시위를 옹호해 온 민주화 인사들에 대한 공안의 감시 수위도 높아졌다고 RFA는 전했다.

중국은 매년 6월 4일 시위가 일어났던 톈안먼 광장 출입을 통제하고 주요 장소에서 불심검문을 실시하는 등 사회 감시 체계를 강화한다. 기습적인 반정부 시위 등이 일어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다. 톈안먼 시위 34주년을 하루 앞둔 지난해 6월 3일에는 한 여성이 베이징 국가체육장에서 성조기와 현수막을 흔들며 시위를 벌이다 경찰에 곧바로 체포되기도 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8766 [OK!제보] "여자애라 머리 때려"…유명 고깃집 사장의 폭행과 협박 랭크뉴스 2024.06.01
28765 "하루벌이 20만→3만원 추락"…다이소 잘나가자 망한 그들 랭크뉴스 2024.06.01
28764 美 배우, 헤어진 여자친구 찾아가 흉기로 찌른 혐의로 기소 랭크뉴스 2024.06.01
28763 '스피또 발권오류로 20만장 회수' 동행복권 전·현직 대표 송치(종합) 랭크뉴스 2024.06.01
28762 서울 맞벌이가정 24% "우울"…워킹맘·대디 하루 휴식 1시간 랭크뉴스 2024.06.01
28761 [속보] 한미일외교차관 공동성명 "완전한 한반도비핵화" 재확인 랭크뉴스 2024.06.01
28760 한미일 "北 위성·미사일 강력 규탄…완전한 비핵화 확인"(종합2보) 랭크뉴스 2024.06.01
28759 바이든 "이, 3단계 휴전안 제시"‥하마스 "환영" 랭크뉴스 2024.06.01
28758 "AI 시대 팩스·서류뭉치 웬말"... 경제 침체에 관료주의 깨부수려는 독일 랭크뉴스 2024.06.01
28757 “북한 위성발사는 비싼 불꽃놀이”…한미일, 북한 도발 대응 조율 랭크뉴스 2024.06.01
28756 "장미 목욕 꿈꿨는데" 욕조 가득 채운 치앙마이 벌레떼, 무슨 일 랭크뉴스 2024.06.01
28755 "고철 덩어리 안찍을래"…3년 설득 끝 걸작 탄생[미미상인] 랭크뉴스 2024.06.01
28754 평가제도 개편에 뒤숭숭한 한은… “하반기 인사자 불리” vs “장기연구 위해 불가피” 랭크뉴스 2024.06.01
28753 환율이 8개월 만에 60% 급등…폭망한 ‘김정은노믹스’? [뒷北뉴스] 랭크뉴스 2024.06.01
28752 [단독] 최태원측 "판결문 비공개" 요청…김시철 재판장 거부했다 랭크뉴스 2024.06.01
28751 [지방소멸 경고등] 신교대 떠나고 기차 멈추고…활기 잃은 '연천군 제3도심' 신서면 랭크뉴스 2024.06.01
» »»»»» "다시 1989년 톈안먼 시위로 돌아간다면?" 중국인의 답변은 랭크뉴스 2024.06.01
28749 ‘수신료 분리징수 시행령’ 합헌···“TV수신료 안 내도 되나요?”[QnA] 랭크뉴스 2024.06.01
28748 사우디 펀드, 중국 AI 스타트업에 투자 단행…“美 독주 견제 관측” 랭크뉴스 2024.06.01
28747 트렌드포스 "삼성전자 노조 파업 선언, 메모리 생산 영향 없어" 랭크뉴스 2024.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