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VIP 격노설 반박 의견서 공수처 제출
"대통령 위법 지시라면 나도 피해자"
법리적 쟁점 제시하며 향후 공방 예고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3월 21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한 후 차량에 오르고 있다. 공동취재단


해병대원 사망 수사외압 의혹의 핵심 피의자인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자신은 'VIP(대통령) 격노설'과 무관하다는 입장을 재차 확인했다. 그는 설사 윤석열 대통령이 격노해서 위법한 지시를 했더라도, 자신은 '피의자'가 아니라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행위의 '피해자'에 해당한다며 무고함을 호소했다.

이 전 장관의 법률대리인 김재훈 변호사는 24일 'VIP 격노설'과 관련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제출한 의견서 내용을 공개했다. 이 전 장관 측은 입장문에서 "이 전 장관은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의 격노를 접한 사실이 없다"며 "대통령을 포함한 그 누구에게도 '임성근 해병대 1사단장을 (조치 의견에서) 빼라'는 말을 듣거나 지시한 사실이 없다"고 주장했다.

'VIP 격노설'의 시작은 지난해 7월 31일이다. 이날 오전 대통령실 회의에서 해병대 수사단의 해병대원 사망 사건 조사 결과(사단장 등 8명에게 혐의 적용)를 보고 받은 윤 대통령이 격노했고, 이어 대통령실이 군에 압박을 가했다는 의혹이다. 대통령의 격노 사실을 전달받은 국방부가 △해병대 수사단의 사건 경찰 이첩을 보류시키고 △이미 이첩된 사건 기록도 부당하게 회수했다는 내용으로 이어진다.

이 전 장관은 'VIP 격노'를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 등에게 전달해, 이첩 보류와 기록 회수를 지시한 당사자로 지목됐다. 하지만 이 전 장관은 △대통령의 격노 자체를 접하지 못했고 △'임 사단장 제외' 등에 대한 내용도 지시받거나 지시한 적 없다면서 연관 의혹을 부인했다.

'격노'를 강조하는 것이 일종의 '프레임'이라는 점도 지적했다. 이 전 장관 측은 "격노인지 여부는 ①발언자와 청취자의 관계 ②청취자가 느끼는 주관적 감정에 따라 다를 수 있다"며 "대통령이 차분하게 지시했으면 죄가 안 되고, 격한 목소리로 말하면 죄가 되는 것이냐"고 반문했다.

다만 이 전 장관은 '격노가 없었다'가 아니라 '격노를 접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는데, 자신과 관여된 부분에서만 의혹을 방어하겠다는 의도로 이런 표현을 선택한 것으로도 보인다. 격노 의혹이 있는 대통령실 회의에는 이 전 장관이 참석하지 않았기 때문에, 격노가 실제 있었다라도 '격노를 접한 사실이 없다'는 이 전 장관의 해명이 틀리지는 않은 것이다.

나아가 이 전 장관은 윤 대통령이 격노해 위법한 지시를 했다고 하더라도, 법리상 자신은 죄가 없다고 강조했다. 지시를 받고 따른 자신은 직권남용의 피해자일 뿐, 가해자가 아니라는 논리다. 이 전 장관 측은 "(설령 대통령이 위법한 지시를 했다고 해도) 장관은 그 지시에 따라, 결재 번복이라는 의무 없는 일을 억지로 한 피해자"라며 "장관을 피고발인(피의자)으로 본 의혹 제기 자체가 말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사건 이첩 및 회수, 결재 및 보류 모두 군사법원법상 국방부 장관의 권한이며,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의 권한이 아니라는 점도 강조했다. 또 국방부 조사본부 재검토를 통해
바뀐 내용(혐의자를 2명으로 축소)도 사건 이첩 시 딸려 보내는 '조치 의견'
일 뿐,
사건 기록은 모두 이첩했기 때문에 '수사 외압' 역시 성립하지 않는다
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전 장관 측의 이런 해석은 박정훈 대령 측 입장과 180도 다르다. 박 대령은 "수사단장의 독자적 내사 권한을 침해 당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박 대령 측 변호를 맡았던 김경호 변호사는 "개정 군사법원법상 수사단장에게는 변사자에 대한 내사 권한과 이첩 의무가 있다"며 "국방장관이든 해병대 사령관이든, 그 내사 내용에 대해 가감하거나 이첩을 보류하는 권한은 없다"고 강조했다. 향후 수사나 재판 과정에선 이 점을 두고 치열한 법리 다툼이 예상된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30003 “너무나 잔혹”…‘아내살해’ 변호사 징역 25년 선고 랭크뉴스 2024.05.24
30002 대통령실 “연금개혁, 거절 표현 쓴 적 없어... 국회 합의가 먼저” 랭크뉴스 2024.05.24
30001 '박근혜 최측근' 정호성 대통령실 합류에 여권서도 '의아' 랭크뉴스 2024.05.24
30000 27년 만의 의대 증원 확정···‘교육부 VS 의대생’ 갈등 가팔라지나 랭크뉴스 2024.05.24
29999 검찰인사위 개최…‘김건희·김정숙 여사 수사 1·4차장 인선 관심’ 랭크뉴스 2024.05.24
29998 김호중 꾸짖은 판사…"똑같은 사람인데 매니저는 처벌받아도 괜찮나" 랭크뉴스 2024.05.24
29997 “채상병 특검법 처리하라”…재표결 앞두고 시민단체·야당 모인다 랭크뉴스 2024.05.24
29996 2025학년도 의대 입학 정원 오늘 확정…27년만의 증원 랭크뉴스 2024.05.24
29995 가방, 인형 넘어 CD플레이어도 준다···'실물앨범 무용론' 돌파구 찾는 엔터업계 랭크뉴스 2024.05.24
29994 당신의 연애, 학교가 도와드립니다 ‘연애의 첫 단추’ 랭크뉴스 2024.05.24
29993 [단독]고금리 허덕이는 중기…저리 지원금 5000억 두달만에 동났다 랭크뉴스 2024.05.24
29992 ‘아내 살해’ 대형 로펌 출신 미국변호사 1심 징역 25년 선고 랭크뉴스 2024.05.24
29991 신뢰 회복 쉽지 않은 카카오…쇄신 고삐 당겼지만 3개월 간 20% 빠진 주가 랭크뉴스 2024.05.24
29990 공무원 동원해 퀴어축제 막은 홍준표…법원, 손해배상하라 랭크뉴스 2024.05.24
29989 변심한 외국인, 삼성전자 1조원 던지고 SK하이닉스 1조원 ‘사자’ 랭크뉴스 2024.05.24
29988 "망막 훼손될 만큼 학폭"…학급교체에도 피해학생 2차가해 호소 랭크뉴스 2024.05.24
» »»»»» 이종섭 "VIP 격노, 접한 사실이 없어" 의혹 계속 부인 랭크뉴스 2024.05.24
29986 ‘27년만의 의대 증원’ 확정…내년 1509명 더 뽑아 랭크뉴스 2024.05.24
29985 검찰, '문재인 정부 블랙리스트' 조국·임종석 무혐의 결론 랭크뉴스 2024.05.24
29984 “협조 약속하고 비밀번호 함구하나?” 유치장 앞 김호중에 물어보니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4.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