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44년전 주먹밥 닮은 이팝나무꽃" 감성적 접근…'님을 위한 행진곡' 3년 연속 제창하고 행사 중 눈물도

5·18 유공자 후손들과 입장…'5·18 헌법 전문 수록' 주장에 尹 "잘 챙기겠다"

이재명·조국 등 여야 지도부와 인사는 안 해


윤석열 대통령,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입장
(광주=연합뉴스) 진성철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광주시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5·18 유가족 대표들과 함께 입장하고 있다. 2024.5.18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곽민서 기자 = 18일 오전 제44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열린 광주 국립5·18민주묘지. 윤석열 대통령이 '오월의 아이들'과 함께 정문인 '민주의 문'으로 입장했다.

취임 후 한 번도 빠지지 않고 3년 연속 5·18 기념식에 함께한 것이다. 현직 대통령이 재임 기간 3년 연속으로 기념식에 참석한 것은 노무현 전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다.

검은색 넥타이를 맨 윤 대통령은 행사 시작 전부터 5·18민주묘지 입구에서 민주 유공자 후손들과 함께 유가족 대표들을 태운 버스를 기다렸다. 오월의 어머니들과 아이들을 민주의 문에서 직접 맞이하기 위해서였다.

민주의 문 방명록에는 '우리의 자유와 번영, 미래를 이끈 오월 정신'이라는 글을 남겼다.

윤 대통령은 이어 유가족 대표들이 도착하자 한 명 한 명 목례와 악수로 맞이했고, 오른손으로 오월 어머니의 손을, 왼손으로는 민주 유공자 후손의 손을 잡고 5·18 기념탑 앞 행사장까지 함께 걸었다.

지난해에도 윤 대통령은 주요 인사가 아닌 5·18 민주 유공자 유가족들과 함께 입장했다. 특히 올해는 대를 이어 광주의 오월 정신을 계승한다는 의미로 유공자 후손 대표들도 함께했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윤 대통령은 이어진 헌화·분향도 5·18 유공자 유족 및 후손 대표들과 함께했다. 5·18 민주화운동의 진실을 기리는 경과보고 역시 유공자 후손 대표인 기승현 씨, 조선대 학생 대표 안성영 씨가 진행했다.

기념식에 참석한 학생들은 대통령과 유족 대표에게 오월의 의미를 담은 이팝나무 꽃다발을 각각 전달했다.

눈물 닦는 윤석열 대통령
(광주=연합뉴스) 진성철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광주시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기념 공연을 보던 중 눈물을 닦고 있다. 2024.5.18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email protected]


올해 윤 대통령의 기념사에서는 딱딱한 문구 대신 감정에 호소하는 표현을 강조한 부분도 눈에 띄었다.

지난해에는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세력에 맞서 싸워야 한다'는 다소 강한 표현을 앞세웠지만, 올해 윤 대통령은 "5월 광주의 거리에 이팝나무꽃이 흐드러지게 피었다"며 감성적 표현으로 말문을 열었다. 말투 역시 지난해보다 한층 차분하고 부드러워진 모습이었다.

윤 대통령은 "44년 전 5월, 광주시민과 학생들이 금남로에서, 도청에서 나눠 먹은 주먹밥을 닮은 새하얀 이팝나무꽃"이라며 5·18 민주화운동 당시 광주 시민들이 보여준 연대의 의미를 되새겼다.

윤 대통령은 여당의 4·10 총선 참패 이후 그간 일각에서 권위적이라는 지적을 받던 말투 등을 바꾸고 부드러운 소통에 노력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이제 5·18의 의미가 과거의 정치적 어젠다에 머무는 대신 미래지향적 국가 발전을 위한 개념으로 확장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특히 우리 국민이 누리는 '정치적 자유'와 '정치적 인권'은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인식을 드러내면서 이제는 '경제적 불평등' 해소와 '경제적 자유'의 보장이 필요한 때라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그러한 경제적 자유를 미래지향적으로 구현하는 데에 이른바 오월 정신이 기여해야 한다는 메시지인 셈이다.

윤 대통령은 또 "경제적 자유를 누리지 못하는 수많은 국민들"을 위해 빠른 경제 성장과 공정한 분배를 실현함으로써 서민과 중산층 중심 시대를 열겠다고 약속했다.

총선 이후 강조해온 '민생 중심 기조'를 부각함과 동시에 집권 3년 차에는 민생 경제 회복에 국정 운영의 초점을 맞추겠다는 의지를 재차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윤석열 대통령,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참석
(광주=연합뉴스) 진성철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광주시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해 묘지 입구에서 5·18유공자 후손들을 영접하고 있다. 2024.5.18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email protected]


윤 대통령은 5·18 헌법 전문 수록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았다. 윤 대통령의 기념사 도중에는 광주시의회 5·18 특위 소속 시의원 8명이 '5·18 헌법 전문 수록'이 쓰인 피켓을 들고 시위하면서 잠시 소란이 일기도 했다.

다만, 윤 대통령은 퇴장하면서 5·18 헌법 전문 수록을 언급하는 양재혁 5·18 유족회장에게 "잘 챙기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은 이날 기념식에서 5·18 민주화운동을 상징하는 '님을 위한 행진곡'을 오월 어머니들과 양손을 잡고 앞뒤로 흔들며 함께 불렀다. 과거 보수 정부에서는 노래 제창 순서를 생략하는 등 논란도 있었지만, 윤 대통령은 3년 연속 기념식에서 이 노래를 불렀다.

이후 윤 대통령은 좌우에 착석한 유족 대표와 악수한 뒤 곧바로 국립 5·18 민주묘지 1묘역에 안장된 고 박금희, 고 김용근, 고 한강운 유공자 묘소를 찾아 참배하고 유족들을 위로했다.

윤 대통령은 박금희 유공자의 언니인 박금숙 씨의 손을 잡고 "건강하십시오"라고 말했고, 독립 유공자이자 6·25 참전 용사이기도 한 김용근 유공자의 아들 김만진 씨에게도 위로를 전했다.

민주화운동 당시 고문의 후유증으로 사망한 한강운 유공자의 아들 한선호 씨에게는 "어머니 잘 모시기 바란다"고 격려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국민의힘 황우여 비대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 등 정치권 인사들과는 따로 인사를 나누지 않았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윤 대통령은 기념식 후 바로 민주묘지를 떠나지 않고 묘역으로 이동했다"고 설명했다. 행사 진행상 자연스럽게 동선이 갈렸다는 설명이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7384 황우여 "호남 안 된다는 생각하면 안돼‥우리 하기 나름" 랭크뉴스 2024.05.18
27383 힘 쓰는 로마 검투사들이 고기 못 먹고 콩으로 연명한 까닭은 랭크뉴스 2024.05.18
27382 고현정 "둘이지만 혼자였던 시간" 日 도쿄 신혼생활 고백 랭크뉴스 2024.05.18
27381 ‘쟁점 법안’ 처리 앞두고 여야 난투극, 6명 병원행…韓과 비슷한 이나라 어디? 랭크뉴스 2024.05.18
27380 신월성 2호기 자동 정지, 방사선 안전 문제 없어 랭크뉴스 2024.05.18
27379 휴가 간 호텔에 압수수색이 들어온다면? 랭크뉴스 2024.05.18
27378 “경제안개 짙어져”… 한은, 11차례 연속 금리 동결하나 랭크뉴스 2024.05.18
27377 고현정 "둘이지만 혼자였던 시간" 日 도쿄 신혼생활 회상 랭크뉴스 2024.05.18
27376 유승민 “KC 미인증 해외직구 금지, 무식한 정책” 랭크뉴스 2024.05.18
27375 “부실 감추려 한밤 중에 계단 깎아내”…분통 터진 대구 신축 아파트 입주 예정자들 랭크뉴스 2024.05.18
27374 젤렌스키, '올림픽 휴전' 제안에 "러시아만 유리" 거부 랭크뉴스 2024.05.18
27373 ‘오월정신 헌법 전문 수록’ 빠진 기념사…윤 “잘 챙겨보겠다” 답변만 랭크뉴스 2024.05.18
27372 반려견과 함께 절에서 도 닦는다…생각만 해도 행복한 ‘댕플스테이’ 어디서? 랭크뉴스 2024.05.18
27371 문 열리고 8초 만에 "탕탕탕"…'LA 한인 총격' 경찰 보디캠 공개 랭크뉴스 2024.05.18
27370 피식대학이 혹평한 백반집 사장 "밥 준 내 잘못, 연락도 없다" 랭크뉴스 2024.05.18
» »»»»» 3년 연속 5·18기념식 찾은 尹, 정치자유 넘어 경제자유 강조(종합2보) 랭크뉴스 2024.05.18
27368 젤렌스키 “파리 올림픽 휴전 없다... 러시아에만 유리한 일” 랭크뉴스 2024.05.18
27367 법원 “5·18 국가 불법행위 이후 44년 동안 정신적 손해배상 지연”…위자료 2000만원 판결 랭크뉴스 2024.05.18
27366 메밀값 21% 내려도, 평양냉면 1만5000원…그틈 파고든 집냉면 랭크뉴스 2024.05.18
27365 취업 나선 대학생 10명중 3명 “성희롱 겪어”…韓 아닌 ‘이 나라’였다 랭크뉴스 2024.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