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내년 예산 편성 과정에서 “협업 예산 도입” 공표
2021·2022년도 활용… 과제수 12→17→20개로
과제별 TF서 5월 말 공동 예산 요구안 제출해야
“빠듯한 재정 타개 묘수 될까” 총지출 증가율 주목

‘협업 예산’ 체계가 3년 만에 부활한다. 협업 예산이란 부처별로 예산안을 짜 예산당국의 심사를 받는 전통적 방식이 아니라, 특정 과제를 중심으로 여러 부처가 예산을 공동 요구하는 것을 말한다. 기획재정부는 저출생 등과 관련한 20개 내외의 과제를 선정해 이런 방식으로 예산 심의를 할 방침이다. 재정 여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지출 효율화를 꾀하는 것이다.

18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기재부는 최근 경제관계장관회의를 통해 내년도 예산 편성 과정에서 ‘협업 예산’ 방식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기재부 관계자는 “이번에 20개 안팎으로 협업 예산 과제들을 선정할 방침”이라고 했다. 저출생 대응, 청년 지원, 첨단·전략 산업 인력 양성 등과 관련한 투자 사업들이 협업 예산 대상이다.

정부세종청사 전경. /조선DB

이 제도는 2021년도 예산 편성 당시 처음 도입됐고, 다음 해에도 적용됐다. 도입 첫해 12개였던 협업 예산 과제는 이듬해 17개로 확대된 바 있다. 기존 19개 부처별 예산 편성 틀에 구애받지 않고, 사업 내용을 중심으로 한 예산 편성 방식을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는 의도였다. 그리고 2년 동안은 시행되지 않았다.

기존에도 여러 부처가 관련된 중요 민생 사안의 경우엔, 기재부 예산실이 편성 과정에서 유사·중복 과제를 걸러내는 등 조율을 했었다. 그런데 이번에는 부처들이 먼저 예산 요구 과정에서부터 협업을 해야 한다. 과제별로 관련 부처 관계자와 전문가로 구성된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TF가 여느 부처와 마찬가지로 5월 말까지 예산 요구안을 기재부에 제출해야 하는 것이다.

2021년도 예산 편성 당시를 예로 들면, 200억원 규모의 디지털성범죄 대응 예산에 대해 ‘인식개선(교육·여가)→유포차단(과기·방통)→단속·수사(경찰)→피해자 지원(여가·방통)’ 등 전과정에 필요한 예산을 관련 부처가 협업해 편성했다.

이는 빠듯한 재정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지출 구조조정의 일환이기도 하다. 정부 관계자는 “재정을 아끼자는 취지도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최근 부족한 세수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지난해엔 ‘세수 펑크’가 발생했고 올해도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주요 대기업의 법인세 ‘0원’ 납부 여파로 세수 부족 우려가 나오고 있다.

올해 들어 경기 회복세가 관찰되지만, 내년 나라곳간이 극적으로 넉넉해지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기획재정부가 지난해 8월 내놓은 ‘2023~2027년 중기 재정 전망’에 따르면, 내년 국세수입은 401조3000억원으로 전망됐다. 10년 만에 ‘전년 대비 감소’로 편성한 올해 국세수입 예산(367조3000억원)보다 9% 증가한 것에 그친다.

지난해 8월 24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에서 추경호 당시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24년도 예산안' 내용을 발표하는 모습. /뉴스1

협업 예산의 결과물은 올해 8월 말 발표될 내년도 예산안에 담길 예정이다. 정부는 올해 예산에서 전년 대비 총지출 증가율을 ‘역대 최저’ 수준인 2.8%로 묶어두는 등 ‘재정 절약’을 단행했다. 내년 총지출 증가율도 협업 예산을 통해 얼마나 억제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앞서 기재부는 지난 3월 발표한 ‘2025년도 예산안 편성 및 기금운용계획안 작성 지침’을 통해 “건전 재정 기조를 확립하겠다”면서 “재량지출(전체 재정지출에서, 법령에 따라 이미 지출 규모가 결정돼 통제가 불가능한 ‘의무지출’을 제외한 나머지 지출)의 10% 이상을 감축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7215 美 보건당국 "워싱턴 DC·12개 주에서 코로나19 확산 가능성" 랭크뉴스 2024.05.18
27214 의료계, 법원 결정에 '막말' 논란… 의협 회장, 판사에 "대법관 자리로 회유" 의혹 랭크뉴스 2024.05.18
27213 경찰, 국과수서 '김호중 사고 전 음주 판단' 감정 결과 받아 랭크뉴스 2024.05.18
27212 ‘시스루룩’ 입은 김정은 딸 주애…“北 여성들 충격받아” 랭크뉴스 2024.05.18
27211 북, 전술탄도미사일 유도기능 개선 시험…"정확성·신뢰성 검증"(종합) 랭크뉴스 2024.05.18
27210 [이지 사이언스] 징그러운 곤충?…'미래 식량' 안성맞춤 랭크뉴스 2024.05.18
27209 "추모에도 자격이 있나요"... 5·18 정신 잇는 하나의 시민들 랭크뉴스 2024.05.18
27208 [미술로 보는 세상] '시간'이라는 인간의 운명 랭크뉴스 2024.05.18
27207 게임스톱 폭등 이끈 ‘포효하는 야옹이’의 귀환, 밈 주식 열풍 재현될까 랭크뉴스 2024.05.18
27206 [OK!제보] 바닥에 널브러진 생닭들…유명 치킨점의 충격 실태 랭크뉴스 2024.05.18
27205 "메모리카드 못 찾아"‥전직 총장 대리를 변호사로 랭크뉴스 2024.05.18
27204 ‘오월정신 기린다’…여야 300명, 5·18 맞아 광주 총집결 랭크뉴스 2024.05.18
» »»»»» 3년 만에 부활한 ‘협업 예산’… 20여개 과제 예산, 공동으로 꾸려진다 랭크뉴스 2024.05.18
27202 간헐적 ‘저탄고지’ 식단, 세포 노화 막는다…장기간 유지하면 역효과도 랭크뉴스 2024.05.18
27201 [꼰차장] 지친 당신, 소리 질러~ “럭키비키” 랭크뉴스 2024.05.18
27200 [떡상해부] 한달새 주가 2.5배로 뛴 화장품 유통회사, 왜? 랭크뉴스 2024.05.18
27199 “국민은행 예·적금보다 낫다” KB국민은행 영구채 발행에 투자자 솔깃 랭크뉴스 2024.05.18
27198 여의도 150m 상공 뜨는 '서울의 달'…주민들 "안전하냐" 걱정 랭크뉴스 2024.05.18
27197 "5·18 정신, 헌법에"‥이번엔 가능할까? 랭크뉴스 2024.05.18
27196 5ㆍ18민주화운동 44주년…이 시각 국립5·18민주묘지 랭크뉴스 2024.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