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최근 공개 활동을 중단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을 11일 서울의 한 도서관에서 봤다는 목격담이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화제다. 사진 디시인사이드 캡처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알쏭달쏭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공식적으로는 4ㆍ10 총선 참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잠행을 택했다. 그러나 물밑 행보라기엔 도처에서 목격담이 흘러나온다.

목격담은 크게 두 갈래로 정리된다. 하나는 식사 정치다. 그는 인천 계양을에서 낙선한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과 12일 저녁 서울의 한 중식당에서 저녁을 함께했다. 원 전 장관이 먼저 만남을 제안했다고 한다. 어떤 대화를 나눴는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전당대회 개최 등 당 현안 관련 이야기를 나눴을 것으로 보인다. 한 전 위원장은 총선 과정에서 영입한 민주당 출신의 이상민 의원과도 조만간 만날 계획이다.

앞서 한 전 위원장은 비대위원장 사퇴 닷새 뒤인 지난달 16일 자신의 우군인 비대위원들과 저녁을 함께했고, 지난 3일 저녁엔 자신의 비서실장을 지낸 김형동 의원과 당 사무처 당직자 등 20여명을 시내 모처 중식당에서 만났다. 총선 과정에서 두 차례 갈등했던 윤석열 대통령의 지난달 오찬 제안을 건강 상의 이유로 거절한 것과 대비된다.

목격담의 또 다른 하나는 인터넷 커뮤니티를 통한 입소문(바이럴)이다. 한 전 위원장 팬클럽인 ‘위드후니’, 디씨인사이드 ‘한동훈 갤러리’ 등엔 사용자들이 연일 한 전 위원장의 모습이 담긴 사진과 함께 주요 활동을 중계하다시피 전한다. 원 전 장관과의 식사 당일인 12일 오후 9시 무렵 디씨인사이드에 “도곡동 XXX에 (한 전 위원장이) 원희룡이랑 같이 들어왔고 본 사람 되게 많대. 안 믿으면 관둬”라는 글이 올라오는 식이다.

지난 1일 서울 강남구 도곡동 자택 인근에서 편안한 차림으로 통화하며 거닐고 있는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사진 엑스
한 전 위원장이 자택 인근인 도곡동에서 통화하며 걷는 뒷모습이나, 분홍색 골전도 이어폰을 착용하고 양재오솔숲도서관에서 책을 읽는 모습 등도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처음 게시돼 확산됐다. 의도했든 아니든 한 전 위원장에 대한 일종의 바이럴 마케팅이 이어지는 모양새다.

한 전 위원장이 도서관에서 읽은 것으로 알려진 김보영 작가의 「종의 기원담」은 교보문고 국내소설 일간(12일 기준) 베스트셀러 순위에서 전날보다 14계단 급등한 6위에 올랐다. 김근식 전 국민의힘 비전전략실장은 13일 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한 전 위원장이) 책을 봤다는 건, 본다는 의미도 있지만 책 보는 걸 보여주고 싶은 또 하나의 의도하지 않은 의도도 있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선 한 전 위원장의 최근 행보가 윤 대통령의 정계 입문 전 그것과 닮았다는 반응이 많다. 윤 대통령도 2021년 3월 초 검찰총장에서 퇴임한 이후 그해 6월 대선 도전을 공식 선언하기까지 철저히 잠행하되 근황과 생각은 간접적으로 퍼뜨리는 방식을 택했다. 당시 권성동ㆍ정진석 의원 등 정치인과의 접촉은 물론이고 각계 전문가나 보훈 관련 유공자 등의 만남이 모두 목격담이나 전언 형태로 기사화됐다.

이 때문에 당 안팎에선 “한 전 위원장이 윤 대통령과 각을 세우면서도 정치적 유산은 그대로 이어받은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대선 당시 윤 대통령을 지지했던 단체가 최근 한 전 위원장 자택 인근에 “그대가 있기에 희망을 보았습니다”란 문구가 적힌 현수막을 걸기도 했다. 대선 때 윤 대통령을 지지했던 신평 변호사는 9일 SBS 라디오에 나와 “지난 대선 과정을 통해 윤석열 후보를 지원하는 조직이 전국 각지에 설치됐는데, 그 조직이 한 전 위원장 측으로 다 흡수됐다”고 주장했다.

4월 17일 오전 국회 헌정회관 앞에 국민의힘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응원하는 화환이 놓여있다. 연합뉴스
한 전 위원장의 노출이 잦아지자 국민의힘에선 그의 당권 도전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한 전 위원장 측 인사도 “조기 등판할 경우 집중 공격을 받아 한 전 위원장이 소진되고 고생할 가능성이 크다”면서도 “반드시 넘어야 할 과제라면 시간을 늦출 필요가 없다”라고 말했다.

상대적으로 높은 지지율은 한 전 위원장의 등판을 부추긴다. 에이스리서치(뉴시스 의뢰)의 지난 8~9일 ‘국민의힘 대표 적합도 조사’에서 한 전 위원장은 26%를 기록해 유승민 전 의원(28%)의 뒤를 이었다. 국민의힘 지지층 대상으로 한정했을 땐 한 전 위원장의 적합도가 48%로 가장 높았다.(※만 18세 이상 1000명 대상 무선 ARS조사. 표본오차(95% 신뢰수준)는 ±3.1%포인트.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조.)

다만, 여권에선 총선 참패 책임을 지고 물러난 비대위원장이 뒤이은 당 대표 경선에 뛰어드는 것이 정치 도의에 어긋난다는 의견이 상당하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9일(현지시간) UAE 아부다비에서 가진 동행기자단 간담회에서 “여당이 ‘이ㆍ조(이재명ㆍ조국) 심판론’ ‘운동권 심판론’을 해서 야당의 정권 심판론 프레임에 스스로 걸어 들어갔다”며 한 전 위원장의 총선 전략을 비판했다. 영남 중진 의원은 “친윤 핵심 이철규 의원도 총선 책임론이 부각되며 원내대표 경선에 불출마했다”며 “원톱으로 선거를 이끈 한 전 위원장이 당권에 도전한다면 대선 패배 후 당권에 도전한 이재명 민주당 대표와 다를 게 뭐냐”고 꼬집었다.

대선 경선 출마자는 선거 1년 6개월(2025년 9월8일) 전에 당 대표를 사퇴해야 하는 국민의힘의 ‘당권ㆍ대권 분리’ 당헌도 한 전 위원장의 당권 도전을 제약한다. 대선에 나서려면 당 대표 임기(2년) 절반가량만 채우고 중도 사퇴해야 하는데, 한 전 위원장을 비롯해 유승민 전 의원이나 나경원ㆍ안철수ㆍ김태호 의원 등도 해당 당헌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황우여 비대위원장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당권ㆍ대권 분리는) 여러 논란을 거쳐 확립된 20년 된 전통”이라며 “(개정은) 신중히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1795 눈 오는 석가탄신일…강원 5월 대설특보, 설악산 10㎝ 쌓였다 랭크뉴스 2024.05.15
21794 美 4월 소비자 물가 3.4%↑… “상승세 둔화” 랭크뉴스 2024.05.15
21793 석가탄신일 행사 참석 두 부부에 차량 돌진… 2명 사망, 5명 부상 랭크뉴스 2024.05.15
21792 윤석열 대통령-조국 대표, 5년 만에 공식 석상서 조우 랭크뉴스 2024.05.15
21791 "축제인가, 콘서트인가"…아이돌 섭외에 등골 휘는 '대학 축제' 랭크뉴스 2024.05.15
21790 [2보] 美 4월 소비자 물가 3.4%↑…올해 첫 상승세 완화 랭크뉴스 2024.05.15
21789 '뺑소니' 김호중, 매니저에 경찰 대리출석 요청 정황(종합) 랭크뉴스 2024.05.15
21788 5월 중순에 강원 산지 '대설특보'... 예상적설량 최대 7㎝ 랭크뉴스 2024.05.15
21787 ‘전 여친 폭행 사망 사건’ 부검 결과 뒤집혀…가해자 구속영장 랭크뉴스 2024.05.15
21786 경찰, ‘거제 교제폭력’ 가해자 영장신청…“폭행이 사망원인” 랭크뉴스 2024.05.15
21785 리콴유 가문 ‘반세기 집권’ 막 내려… 싱가포르 새 총리 로런스 웡은 누구? 랭크뉴스 2024.05.15
21784 학교 급식 떡이 왜 당근마켓에?‥"학교 급식 빼돌렸나" 랭크뉴스 2024.05.15
21783 [1보] 美 4월 소비자 물가 3.4% 상승…상승세 다소 완화 랭크뉴스 2024.05.15
21782 사찰 찾은 부부동반 보행자 일행에 SUV 돌진…남편들 사망(종합) 랭크뉴스 2024.05.15
21781 의대교수들 "법원 '의대증원 효력정지' 기각시 근무시간 재조정" 랭크뉴스 2024.05.15
21780 담배인데 담배 아니다? '규제 사각지대' 합성니코틴, 담배로 규제한다 랭크뉴스 2024.05.15
21779 "입틀막 불통에 침묵" 반성문 쓴 소장파‥"김여사·채상병은?" 물었더니 랭크뉴스 2024.05.15
21778 바이든 “중국산 전기차 과잉, 공정 경쟁 위협…미 근로자 보호할 것” 랭크뉴스 2024.05.15
21777 의대교수단체 “법원, ‘의대증원 효력정지’ 기각하면 근무시간 재조정” 랭크뉴스 2024.05.15
21776 日 도쿄전력, 17일에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6차 방류 랭크뉴스 2024.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