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이정석|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강박장애는 강박사고, 강박행동을 보이는 정신질환이다. 원하지 않는 생각·충동·장면 등이 반복적으로 떠오르는 것이 강박사고이며, 강박사고나 특정 규칙에 따라 일어나는 반복적인 행동이 강박행동이다. 강박사고나 강박행동은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소모하게 하고 학업과 직업 등 여러 영역에서 심각한 장애를 유발한다.

이정석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강박장애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손에 세균이 있다는 생각이 계속 떠올라 불안해지고 그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하루에도 수십번씩 손을 씻는 것과 같은 ‘청결강박’과 문이 잘 닫혔는지, 가스불이 잘 꺼졌는지 등을 자꾸 확인하는 ‘확인강박’이 있다. 그 외 증상으로 ‘대칭·정렬 강박’은 물건이 바르게 배열되어 있는지를 반복적으로 확인하는 경우를 말한다.

2021년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9년 강박장애로 치료받은 환자 중 20대가 28.3%로 가장 많았다. 강박장애 환자 중 20대가 많은 이유는 10대 후반이나 20대 초반에 발병했을 때 치료를 받지 않아 악화하다가 일상생활에 방해가 될 정도로 심해져서 20~30대에 병원을 찾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 20대는 막 청소년기에서 벗어나 성인에게 주어진 역할들을 수행하는 시기이므로 미래에 대한 불안감, 학업, 직장생활에서의 어려움 등이 스트레스로 작용하는 것도 영향을 미친다. 강박장애는 많은 사람에게 생소할 수도 있지만 평생 유병률이 2~3% 정도로 비교적 흔한 질환이다.

강박장애로 진단되려면 강박사고 또는 강박행동이 있어야 하며, 무엇보다 그러한 증상이 시간을 소모하게 하거나 심각한 고통을 유발하고 사회적·직업적 영역에서 장애를 초래해야 한다. 흔히 매사에 꼼꼼하고 일 처리나 자기관리를 완벽하게 하는 사람을 두고 강박장애가 아니냐고 오해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러한 꼼꼼함과 완벽주의가 사회적·직업적으로 장애를 주지 않는다면 강박장애라고 보기는 어렵다.

강박장애는 생물학적인 원인과 심리적인 원인에 따라 발생한다. 생물학적 원인으로는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인 세로토닌 시스템의 이상과 뇌의 전두-선조 신경회로의 기능적 이상이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심해지면 강박 증상이 악화하는 양상이 여러 연구에서 확인되어, 심리적인 원인도 강박 증상에 관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치료로는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가 도움이 된다.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약물인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는 우울증에도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강박장애 치료 시에는 우울증보다 고용량의 약물이 필요하다. 약물치료를 시작하고 일반적으로 4~6주 후 효과가 나타나며, 때에 따라 최대 8~16주 후 효과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외에도 다양한 약물이 존재하고 개인에 따라 약물 반응·부작용 발생에 차이가 있으므로 인내를 가지고 약물치료에 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지행동치료에는 완벽주의, 과도한 책임감 등 강박장애 환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생각들을 좀 더 현실적인 생각으로 바꾸어보는 인지치료와 행동치료가 포함된다.

행동치료로는 ‘노출 및 반응방지’ 기법이 대표적이다. ‘노출’은 강박 증상을 유발하는 자극에 노출하는 것을 말하며, 청결강박이 있는 사람이 더러운 물건을 만지는 것이 한 예다. ‘반응방지’는 강박 증상을 유발하는 경우에도 강박행동을 하지 않고 견뎌 보는 것이며, 청결강박이 있는 사람이 더러운 물건을 만지고 난 뒤 손을 씻지 않고 지내보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강박장애는 저절로 좋아지는 경우는 거의 없어 치료받지 않으면 대부분 증상이 지속되고, 심한 불안을 유발하므로 불안감을 달래기 위해 술이나 약물에 의존하기도 한다. 강박장애가 지속되다 만성화되면 우울증, 양극성장애 등 기분장애가 동반되기도 하며 심한 경우 자살이나 자살 시도로 이어지기도 한다. 강박장애를 가진 사람 입장에서는 병원에 가는 것이 꺼려지거나 과연 치료가 될지 의심할 수도 있겠지만 일단 병원에서 치료를 받으면 증상이 호전되어 삶의 질이 좋아질 수 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 »»»»» 완벽주의자와 착각하는 ‘강박장애’…저절로 낫지 않는 ‘병’입니다[톡톡 30초 건강학] 랭크뉴스 2024.05.04
21371 의대 교수들 "증원 확정시 1주간 집단휴진‥5월 10일 전국 휴진" 랭크뉴스 2024.05.04
21370 휘발유 6주 연속 상승, “다음주는 내릴려나”…경유 5주 만에 하락 랭크뉴스 2024.05.04
21369 아이유·최우식도 하소연하는 불면증…“이렇게 하면 잘자요”[건강 팁] 랭크뉴스 2024.05.04
21368 대통령실, 정보공개 소송 또 졌다‥'성난' 판결문 살펴보니 [서초동M본부] 랭크뉴스 2024.05.04
21367 이재용 ‘쪽방촌 후원’, 최태원은 ‘가족간병 지원’…CEO 선행 릴레이 [줌컴퍼니] 랭크뉴스 2024.05.04
21366 “우리 애 의대 입시 어쩌나”… 갈팡질팡 의대 증원에 혼란 빠진 학부모들 랭크뉴스 2024.05.04
21365 미, AI 전투기에 한발 더?…무기 통제는 여전히 논란 랭크뉴스 2024.05.04
21364 [스타트UP] 북촌·서촌 누비는 이 남자 “한옥, 전 세계 알릴래요” 랭크뉴스 2024.05.04
21363 '10년간 2.8조 투입' 조현범의 빅픽처…한온시스템 품고 재계 30위 도약 랭크뉴스 2024.05.04
21362 스쿨존 사고 주범은 주·정차 차량‥"10건 중 4건은 시야 방해 탓" 랭크뉴스 2024.05.04
21361 방예담 작업실서 성행위 몰카?…이서한 "연출 상황" 재차 해명 랭크뉴스 2024.05.04
21360 스펀지밥, 일본 소니 소속될까 랭크뉴스 2024.05.04
21359 "조퇴해요!" 다급한 산후도우미‥'촉 발동' 아기 아빠 대반전 랭크뉴스 2024.05.04
21358 얼마나 뜨겁길래… 수몰 필리핀 도시 54년 만에 물 밖으로 랭크뉴스 2024.05.04
21357 잦은 내전과 지진이 일본인의 마음에 남긴 것···‘쇼군’[오마주] 랭크뉴스 2024.05.04
21356 여보, 어린이날 '집콕'이야?…2년 연속 야속한 비 얼마나 오나 랭크뉴스 2024.05.04
21355 신용카드 보다 더 큰 ‘○○페이’ 시장, 높은 수수료율 손보나 랭크뉴스 2024.05.04
21354 [시승기] 배터리로만 73㎞ 주행… BMW PHEV 530e 랭크뉴스 2024.05.04
21353 “자율이긴 한데”… 더워진 날씨에 직장인들 반바지 눈치싸움 랭크뉴스 2024.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