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욕시·경찰 "컬럼비아대 연행자 중 29%가 외부인"
해밀턴홀 조직적 점거 정황…장기농성 준비한 듯
"경찰이 시위대 내동댕이"…폭력진압 논란도


미 컬럼비아대 건물 점거농성 강제 해산하는 경찰
[EPA=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박성민 기자 = 미국 대학가에서 격화하고 있는 친(親)팔레스타인 반전 시위에 전문 선동가 등 외부인이 개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2일(현지시간)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이번 반전시위의 진앙지인 뉴욕 컬럼비아대와 인근 뉴욕시티대에서 경찰에 체포된 시위대의 명단을 분석한 결과 대학과 관련 없는 외부인이 일부 포함돼 있었다.

에릭 애덤스 뉴욕 시장과 에드워드 카반 뉴욕 경찰국장은 이날 컬럼비아대 시위대의 해밀턴홀 점거 농성을 강제 해산하는 과정에서 112명이 체포됐으며 이 가운데 29%가 학교와 관련이 없는 이들이라고 발표했다.

해밀턴홀과 캠퍼스 내에서 체포된 이들의 대부분은 20대 후반 백인 여성이었다.

또 당국에 따르면 뉴욕시티대에서는 170명이 체포됐는데 이 가운데 60%가 외부인으로 파악됐다.

두 대학에서 체포된 이들에게는 절도, 무단침입, 무질서 행위, 체포 저항, 공무집행방해 등 다양한 혐의가 적용됐다.

경찰 내부 문건에는 전국을 돌며 반정부 시위를 벌여 체포된 경력이 있는 40세 남성도 연행자 명단에 들어 있었으며, 시위대에서 그의 역할은 아직 불분명하다고 NYT는 전했다.

또 인근에 거주하는 한 남성도 포함됐고, 버몬트대 출신이라는 한 여성은 자신을 '시인이자 농부'로 소개하기도 했다.

경찰에 연행되는 컬럼비아대 시위대
[AP=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애덤스 시장은 "학생들이 '외부 선동가'들로부터 시위 지침을 받고 있었다"며 ""(이들이) 젊은이들을 급진화하려 했고, 나는 그들이 이를 완수하기까지 기다렸다가 갑작스럽게 그 존재를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컬럼비아대 해밀턴홀을 점거한 시위대가 장기 농성을 준비했다는 정황도 포착됐다. 경찰이 찍은 사진과 영상을 보면 시위대는 전자레인지와 전기 주전자, 침낭 등을 준비했으며, 매점으로 활용한 강의실에서는 채식주의자용 식품을 따로 팔기도 했다.

다른 강의실에서는 2시간 교대 보초 근무표가 발견됐다. '정치권력은 총구에서 나온다' 등의 중국 마오쩌둥 혁명 구호 3개가 적혀 있기도 했다고 NYT는 전했다.

시위대가 해밀턴홀 점거 후 농성을 준비하는 과정 등에서 이번 점거가 신중하게 조직됐다는 점도 엿보였다.

지난달 30일 새벽 수백명의 시위대가 캠퍼스 중앙에서 피켓을 들고 있는 가운데 일부가 해밀턴홀 반대편 잔디밭으로 야영 텐트를 옮기면서 주의를 분산시키는 동안 다른 시위대가 건물로 접근했다.

해밀턴홀 점거 당시 시위대를 따라 들어간 한 사진 기자는 시위대 한 명이 건물에 숨어 있다가 시위대에 문을 열어줬으며, 시위대는 곧바로 경비원에게 밖으로 나갈 것을 요구했다고 전했다.

시위대는 이어 농성 물품을 반입한 뒤 출입구를 봉쇄했다. 출입문과 창문을 쇠사슬로 묶은 뒤 자전거용 자물쇠로 잠갔다. 문 앞에는 나무 책상과 의자를 쌓았으며 자판기로 문을 막기도 했다.

컬럼비아대 시위대 해산 과정에서 경찰이 제거한 쇠사슬과 자물쇠를 들어 보이는 에드워드 카반 뉴욕 경찰국장[로이터=연합뉴스]


시위대 강제 해산 및 연행 과정에서 경찰이 지나치게 폭력적이었다는 논란도 일고 있다.

시위대 측은 해밀턴홀 정문 바깥쪽에서 경찰이 시위대를 밀치고 끌어당기는 모습이 담긴 동영상을 공개했다. 이 대학 학보사인 컬럼비아 스펙테이터는 경찰이 시위대를 바닥에 내동댕이치고, 철제 바리케이드로 내리치기도 했다고 보도했다.

인근 건물에서 진압 장면을 지켜봤다는 캐머런 존스 씨는 "학생들이 거칠게 밀쳐졌다. 시위대 한 명은 몇 분 동안 움직이지 않고 누워있었고, 손이 묶인 채 경찰에 끌려갔다"며 "대학과 경찰, 뉴욕 시장은 체면을 살리려고만 하지 경찰의 폭력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애덤스 시장은 "부상자나 폭력적 충돌은 없었다"고 반박했다. 소방 당국도 당시 병원으로 긴급 이송된 환자는 없었다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2442 고장난 ‘윤석열 GPS 외교’…국익 대신 미·일만 보고 표류 랭크뉴스 2024.05.07
22441 약초 씹어 상처에 쓱쓱…스스로 치료하는 오랑우탄 첫 발견 [잇슈 SNS] 랭크뉴스 2024.05.07
22440 한국형 점도표 확대 가능할까… 버냉키는 “英에도 권고 안한다” 의견 랭크뉴스 2024.05.07
22439 청년은 왜 팔레스타인 편이 됐나…바이든의 ‘중동의 늪’ [이정민의 워싱턴정치K] 랭크뉴스 2024.05.07
22438 뉴욕증시, 연준 금리인하 시작 기대감에 나스닥 1.19%↑ 마감 랭크뉴스 2024.05.07
22437 [단독] 尹 "총리 추천해달라, 부부동반 만나자"... 유화 제스처에도 李 "위기모면용은 안돼"[영수회담 막전막후] 랭크뉴스 2024.05.07
22436 푸틴, 취임 하루 전 전술핵 훈련 명령…미국 “무책임” 랭크뉴스 2024.05.07
22435 '선크림 공지' 안 하면 학대?…교사 98% "초 1∙2 체육 부활 반대" 랭크뉴스 2024.05.07
22434 “의대 증원 회의록 없다” 장·차관 또 고발 랭크뉴스 2024.05.07
22433 “바이든, 역대 최저 지지율에도 트럼프와는 박빙” 랭크뉴스 2024.05.07
22432 ‘영웅’만 부각시킨 죽음: 소방관은 왜 돌아오지 못했나[프롤로그] 랭크뉴스 2024.05.07
22431 이젠 떡볶이 주문도 '벌벌'‥고공행진 외식물가 랭크뉴스 2024.05.07
22430 “휴전안 수용” “라파 작전 계속”…미국은 지상전 반대 랭크뉴스 2024.05.07
22429 “전세계약 종료 연락 받았어요”… 전셋값 급등에 임대차법 4년차 덮친다 랭크뉴스 2024.05.07
22428 청담동 한복판 새벽 4시부터 ‘쾅쾅’… 과태료 11번 맞아도 막무가내 공사 랭크뉴스 2024.05.07
22427 성심당 서울 오는데…"죄송, 안 팝니다" 입맛 다시는 이유 랭크뉴스 2024.05.07
22426 미 컬럼비아대 졸업식 취소…하버드·MIT는 시위 해산 최후통첩 랭크뉴스 2024.05.07
22425 모레 2주년 '회견'‥김여사·채상병 답변은? 랭크뉴스 2024.05.07
22424 "서울 근무 중 첫사랑과 재혼…이렇게 좋은 한국, 딱 하나 아쉬워" [시크릿 대사관] 랭크뉴스 2024.05.07
22423 공무원 등 특수직역연금 평균수급액, 국민연금보다 5.5배 많아 랭크뉴스 2024.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