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ELS 일회성 비용 빼면 사실상 역대 최대 이익
ELS 배상 규모 차이로 신한·KB ‘리딩금융’ 뒤바껴
”금리인하 예상보다 늦어… 하반기 마진 하락폭도 작을 듯”

그래픽=손민균

올해 1분기 주요 금융지주와 은행의 이익 기준 순위가 크게 바뀌었다.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배상 비용에서 적게는 약 80억원부터 많게는 약 9000억원까지 거의 100배의 격차가 벌어진 데다 원·달러 환율 상승에 따른 손실 규모도 달랐기 때문이다.

다만 전반적으로 줄어든 이익에도 불구하고 ELS 등 일시적 요인을 제외하면 상당수 금융지주는 지난 1분기 사상 최대 이익을 거둔 것으로 확인됐다. 고금리 장기화가 이어지면서 예대마진(예금·대출금리 차이)을 바탕으로 이자 이익이 오히려 작년보다 더 불어난 덕이다.

28일 5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1분기 실적 공시에 따르면 순이익이 가장 많은 곳은 신한지주(1조3215억원)였다. 이어 ▲KB 1조491억원 ▲하나 1조340억원 ▲우리 8245억원 ▲NH농협 6512억원 순이었다. 지난해 전체 순이익의 경우 ▲KB 4조6319억원 ▲신한 4조3680억원 ▲하나 3조4516억원 ▲우리 2조5170억원 ▲NH농협 2조2343억원 순이었다.

신한과 KB의 순위가 뒤바뀐 데는 ELS 배상 규모 차이가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신한이 1분기 영업외손실로 처리한 ELS 투자자 피해 배상 관련 충당부채 규모(2740억원)는 KB(8620억원)의 약 3분의 1 수준이다. 신한보다도 해당 충당부채가 적은 하나(1799억원)의 순이익이 2위 KB와 151억원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 것도 같은 이유다.

은행만 비교해도 신한의 1분기 순이익은 9286억원으로 5대 은행 가운데 1위였다. 이어 ▲하나 8432억원 ▲우리 7897억원 ▲NH농협 4215억원 ▲KB국민 3895억원 순이었다. 지난해 연간 순이익의 경우 하나 3조4766억원가 가장 많았고 ▲KB국민 3조2615억원 ▲신한 3조677억원 ▲우리 2조5160억원 ▲NH농협 1조7805억원 순이었다.

신한이 3위에서 선두로 나서면서 작년 1위 하나를 밀어냈다. 2위였던 KB는 5위로 밀려났다. 은행 순위의 지각변동에서도 ELS 배상 비용 계상이 절대적 변수였다. 아울러 외환거래 규모가 큰 하나은행의 경우 1분기 원·달러 환율 상승(원화 약세)으로 발생한 외환 환산 손실(813억원)도 순이익 감소의 주요 배경으로 지목됐다. ELS 배상 등 영향으로 금융지주나 은행의 순이익은 전반적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줄었다.

4대 금융지주 본사 전경. /각 사 제공

하지만 ELS 요인을 제거하면 사실상 올해 1분기에도 주요 금융지주들은 ‘역대 최대 이익’ 기조를 이어갔다. KB금융지주의 ELS 관련 충당부채(8620억원)를 영업외손익 항목에서 뺄 경우 1분기 순이익은 1조9111억원에 이른다. 이는 기존 역대 최대 분기 이익인 2023년 1분기(1조587억원)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KB금융지주 측은 실적발표 당시 은행의 ELS 배상 비용과 손해보험의 준비금 환입 등의 일회성 요인(세후 기준)을 반영하지 않으면 1분기 그룹의 경상적 추정 순이익은 1조5930억원 정도라고 밝힌 바 있다. 사상 최대 이익 수준이다.

신한금융지주 역시 ELS 충당부채(2740억원)를 제외하면 1분기 순이익이 1조5955억원으로 역대 기록인 2022년 3분기(1조5946억원)보다 많다. 같은 방식으로 단순 계산할 경우 하나금융지주의 1분기 순이익(1조2139억원)도 2012년 1분기(1조2998억원) 하나·외환은행 합병 당시 이후 최대 규모다.

이처럼 금융지주들의 이익이 계속 늘어나는 것은 고금리 장기화의 여파로 이자이익 증가세가 지속되기 때문이다. 신한금융그룹과 신한은행의 1분기 순이자마진(NIM)은 각 2.00%, 1.64%로 작년 4분기(1.97%·1.62%)보다 0.03%포인트(p), 0.02%포인트씩 올랐다. 작년 1분기(1.94·1.59%)와 비교하면 각 0.06%포인트, 0.05%포인트 더 높다. 이에 따라 1분기 그룹 이자이익(2조8159억원)도 작년 동기(2조5738억원)보다 9.4% 불었다.

KB금융그룹과 KB국민은행의 1분기 NIM도 각 2.11%, 1.87%로 직전 지난해 4분기(2.08%·1.83%)보다 0.03%포인트, 0.04%포인트 높다. 작년 1분기 2.04, 1.79%를 각 0.07%포인트, 0.08%포인트 웃돈다.

1분기 KB금융그룹 이자이익(3조1515억원) 역시 1년 전(2조8239억원)보다 11.6% 증가했다. 더구나 한국이나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예상 시점이 물가 불안 등으로 계속 늦춰지면서, 올해 금융지주와 은행의 수익성 호조는 상당 기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김기흥 신한은행 부행장(CFO)은 26일 컨퍼런스콜에서 “1분기 NIM이 0.02%포인트 상승했는데, 유동성 예금 증가와 정책성 고금리 적금 상품의 만기 도래로 마진이 개선된 것”이라며 “하반기 금리는 기준금리 인하 등으로 소폭 하락하겠지만 전반적 마진 관리는 잘될 것 같다”고 전망했다.

이종민 KB국민은행 부행장도 25일 컨퍼런스콜에서 “핵심 예금 성장과 예·적금 비용률 하락 등에 힘입어 NIM이 높아졌다”며 “기준금리 인하가 기존 전망 대비 늦어질 가능성이 있는 만큼 올해 은행 NIM의 향후 하락 폭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21091 홍준표, 이재명 겨냥 "범인으로 지목돼 여러 재판받는 사람이…" 랭크뉴스 2024.05.03
21090 윤석열 대통령, 어버이날 기념식 참석 "기초연금 40만 원으로 상향" 랭크뉴스 2024.05.03
21089 ‘독재 정치와 경기 침체 지겨워’… 中 부자들, 이웃 나라 일본 간다 랭크뉴스 2024.05.03
21088 "씨가 날려서 돋아나드랑께요" 양귀비 걸린 섬마을 노인의 오리발 랭크뉴스 2024.05.03
21087 기아 장정석·김종국 “1억 받았지만…가을야구 사기진작 차원” 랭크뉴스 2024.05.03
21086 정부 “전공의 일부 병원 복귀… 제 자리로 돌아와달라” 랭크뉴스 2024.05.03
21085 '대포통장'으로 악용되는 모임통장, 이제 쉽게 못 만든다 랭크뉴스 2024.05.03
21084 인천공항공사, 하청업체 소송 패소…1200명 무더기 직고용 불가피 랭크뉴스 2024.05.03
21083 스쿨존 사고 10건 중 4건…“불법 주정차에 의한 시야가림으로 발생” 랭크뉴스 2024.05.03
21082 "특검 거부하면 범인" "범인 지목된 사람이…난센스" 홍준표·이재명 '범인' 공방 랭크뉴스 2024.05.03
21081 검찰, 윤관석 의원 ‘뇌물수수 혐의’ 국회사무처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4.05.03
21080 이화영 술판회유 주장에 법무부 "담배·술 등 금지물품 제공 없어" 랭크뉴스 2024.05.03
21079 4년간 스쿨존 교통사고 분석해보니…"10건 중 4건은 '이것' 때문" 랭크뉴스 2024.05.03
21078 ‘윤 정권 2년 만에’ 언론자유지수 62위…1년 새 15계단 곤두박질 랭크뉴스 2024.05.03
21077 “10년 내 초대형 IB 성장할 것” 우리금융 10년만에 증권업 진출…우리종금·포스증권 합병 랭크뉴스 2024.05.03
21076 2조 원대 도박사이트 적발...청소년도 용돈 걸고 도박 랭크뉴스 2024.05.03
21075 “편의 봐주겠다” 뒷돈 받은 KIA 장정석·김종국… 첫 재판에서 혐의 부인 랭크뉴스 2024.05.03
21074 서울 다세대주택서 10대 여성·20대 남성 숨진 채 발견 랭크뉴스 2024.05.03
21073 여기만 들어가면 거래액 '3만% 급증'…화해, 인디 뷰티 브랜드 부스팅 프로그램 랭크뉴스 2024.05.03
21072 과자·라면 소비자 몰래 용량 속이면 과태료 1000만원 부과 랭크뉴스 2024.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