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란·이스라엘 긴장, 미국 금리 정책 등
“여러 불확실성 한꺼번에 터진 상황
우리 뿐 아니라 아시아국 동반 약세”
야당 추경 편성 요구엔 부정적 입장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 참석차 미국을 방문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9일(현지시간) 워싱턴특파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워싱턴/김유진특파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9일(현지시간) 연일 고공행진 중인 원·달러 환율에 대해 이란과 이스라엘 간 충돌이 확전되지 않을 경우 안정세에 접어들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 참석 차 미국을 방문 중인 이 총재는 이날 워싱턴특파원 간담회에서 최근 원·달러 환율 급등세와 관련 “여러 불확실성이 한꺼번에 터진 상황”이라며 이란의 이스라엘 공격, 예상보다 늦어지는 미국 금리인하 시점 등으로 인해 “우리 뿐 아니라 아시아 (국가들의) 환율이 동반 약세”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향후 환율 흐름에 대해 “현재로서는 미국 통화정책의 방향도 중요하지만 특히 우리처럼 석유 소비가 많은 나라는 중동 사태가 어떻게 될 지에 따라 불확실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확전으로 인한 유가 폭등과 이란의 호르무즈 해협 봉쇄로 국제교역이 타격을 입지 않을 경우에는 “제 생각으로는 환율도 다시 안정 쪽으로 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지난 17일 워싱턴에서 처음으로 한·미·일 재무장관회의에서 3국이 원화와 엔화의 절하 속도에 대한 우려를 공유한 것과 관련해선 “일본과 우리뿐 아니라 미국이 절하 속도가 어떤 면으로 봐도 과도하다는 것을 같이 인식한 것이 중요하다”며 “공감대를 형성했다는 측면에서 상당히 의미있는 결과”라고 평가했다.

이 총재는 미국보다 한국이 먼저 환율을 인하할 지 여부는 하반기 물가상승률이 예상대로 2.3%로 내려올 지 여부에 달려있다고 말했다. 그는 “금통위에서 가장 관심을 갖는 것은 소비자 물가상승률”이라며 “지금 물가 예측의 가장 큰 변수는 유가”라고 말했다. 중동 사태 불확실성으로 인해 유가가 불안정해질 경우 하반기 물가상승률 예상치까지 도달하는 게 쉽지 않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앞서 이 총재는 이날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그는 “한국의 통화정책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정책으로부터 조금 더 독립적일 수 있게 됐다”면서 “지금은 금리 인상 시기가 아니라 금리 인하 시기로 다들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와 국제통화기금(IMF) 춘계총회 기간 미국의 ‘나홀로 경제 호황’과 그에 따른 연준의 금리 인하 지연이 세계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이 최대 관심사로 다뤄졌다고 전했다. 이 총재는 “(경제 분야) 미국 예외주의(American exceptionalism)를 말할 때 (유럽 등과의) 가장 큰 차이점이 미국에서는 생산성이 크게 증가했다는 점”이라면서 미국이 인공지능(AI) 등 기술혁신을 주도하는 가운데 “(노동시장에서) 유럽은 고용 유지에 중점을 둔 반면 미국은 소비자를 직접 보조하고 고용에 유연성을 둔 것이 인공지능(AI) 등 새로운 기술에 빠르게 접근하는 등의 생산성의 원천이 되고 있는 게 아니냐는 논의가 있다”고 전했다.

11월 미국 대선에서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할 경우 달러화 절하 추진 등 보호주의가 강화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는 “트럼프 당선 시 정책은 여러 문건을 통해 발표됐고 보호주의 색채가 커질 것으로 알려져 있다”면서도 “대선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고만 답했다. 이 총재는 미국이 집중 제기하고 있는 중국의 과잉 생산 문제에 대해선 “국내 수요에 비하면 과잉이지만 수출 중심으로 생각하면 이게 왜 과잉이냐 할 수도 있다”며 “중국의 저가 제품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의 문제는 경제뿐 아니라 협상을 통해 해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이 총재는 야당의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요구에 대해선 “재정을 쓰더라도 일반적으로 쓰기 보다 어려운 계층을 타깃해서 우선순위를 잘 가려야 한다는 게 제 생각”이라며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 총재는 고령화로 인한 복지비용을 고려하지 않은 채 다른 나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부채비율(53%) 등을 들어 재정여력이 있다고 하는 것은 “근시안적 시각”이라고도 주장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가지고 있는 저출산 등 문제는 단기적으로 재정 (지출)로 돕거나 이자율을 낮춰 해결할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어렵더라도 구조 조정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5688 전장연 드러눕고 전공의 사직하고… 힘없는 국민들만 ‘울분’ 랭크뉴스 2024.04.20
15687 "조국 위해 뛴다? 개풀 뜯어먹는 소리" 선수촌장, 틀을 깬 한마디 랭크뉴스 2024.04.20
15686 장애인단체들, 장애인의날 한성대역 승강장 누워 '다이인' 시위(종합) 랭크뉴스 2024.04.20
15685 우크라이나, 러 본토 에너지 인프라 또 공격···유류창고 화재 랭크뉴스 2024.04.20
15684 갑상선암은 '거북이 암'?… 역형성암 치료하지 않으면 3개월 이내 목숨 잃어 랭크뉴스 2024.04.20
15683 ‘윤석열은 생각하지 마’…한동훈 총선 메시지가 ‘폭망’한 이유 랭크뉴스 2024.04.20
15682 이란 본토 밖에서도 포화 계속‥사상자 다수 발생 랭크뉴스 2024.04.20
15681 인천 이슬람사원 계획 '없던 일로'…유튜버, 땅계약 해지 랭크뉴스 2024.04.20
15680 대통령실 “이재명 회담, 구체적으로 정해진 바 없어” 랭크뉴스 2024.04.20
15679 연금개혁 토론회…“기초연금 현행 유지” vs “수급 범위 축소” 랭크뉴스 2024.04.20
15678 2달여 만에 순항미사일 도발…북한 “목적 달성” 랭크뉴스 2024.04.20
15677 “살고싶다”며…지하철역서 드러누운 장애인단체들 왜? 랭크뉴스 2024.04.20
15676 대통령실 “회동 날짜·형식 아직 미정”…조국 “나도 만나야” 랭크뉴스 2024.04.20
» »»»»» 이창용 한은 총재 “이란·이스라엘 확전 않는다면 환율 안정세로 전환” 랭크뉴스 2024.04.20
15674 인천 청라국제도시 거리서 흉기 휘두른 20대 남성 체포 랭크뉴스 2024.04.20
15673 "인천 이슬람 사원 짓겠다"던 유튜버, 결국 무산…무슨 일 랭크뉴스 2024.04.20
15672 美 아프리카서 힘 빠졌나…'러 밀착' 니제르서 병력 1천명 철수 랭크뉴스 2024.04.20
15671 민주, 'G7 정상회의 초청 불발' 가능성에 "외교 정책기조 전환해야" 랭크뉴스 2024.04.20
15670 인천 '이곳' 길거리서…20대男 흉기로 허공에 수차례 휘둘러 왜? 랭크뉴스 2024.04.20
15669 대통령실 “윤 대통령-이재명 영수회담, 날짜·형식 안 정해져” 랭크뉴스 2024.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