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가구 월평균 소득·소비 추이. /신한은행 제공

대한민국 보통사람의 월평균 가구 소득은 544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 대비 4.4% 증가한 것이지만, 월평균 소비가 5.7% 늘어 생활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신한은행이 전국 만 20∼64세 경제활동자(근로자·자영업자 등) 1만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23년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 월평균 소득은 544만원으로 집계됐다. 2022년(521만원)보다 4.4%(23만원) 늘었으나 같은 기간 가구 월평균 소비는 261만원에서 276만원으로 5.7%(15만원) 증가했다.

가구 소득에서 지출 항목별 비중은 ▲소비 50.7%(276만원) ▲부채상환 9.9%(54만원) ▲저축·투자 19.3%(105만원) ▲예비자금 20.1%(109만원)로 조사됐다. 소비 중에서는 식비(23.2%)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고 이어 교통·통신비(14.5%), 월세·관리금·공과금(12.7%), 교육비(10.1%), 의료비·건강보조제 구입비(5.1%) 순으로 비중이 컸다.

경제활동자 중 직장인 5000명에게 따로 지난해보다 올해 소비가 더 늘었냐고 묻자 38.7%가 “그렇다”고 답했다. 이들 가운데 96.1%는 소비 증가가 물가 상승과 영향이 있다고 했다.

68.6%의 직장인은 올해 도시락을 싸거나 약속이 없는 날 구내식당을 이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점심값을 줄이려고 노력한 적이 있었다. 더구나 점심값 절약 그룹의 68.3%는 여전히 현재 평균 점심값(6000원)이 비싸다고 인식했고, 22.6%는 5000원까지 더 줄이겠다고 밝혔다.

살림이 팍팍해지자 직장인 5000명 가운데 16.9%는 두 가지 이상의 직업을 가진 이른바 ‘N잡러’였다. 부업을 하는 이유의 61.9%는 생활비와 노후 대비 등 경제적 요소였다. 본업 외 부업의 종류는 20대와 40대의 경우 서비스직(식당·카페·편의점 등)이 가장 흔하고 30대와 50·60대에서는 크리에이터·블로그·유튜버 직종, 과외·강사가 1위를 차지했다.

가구 평균 자산 추이. /신한은행 제공

우리나라 보통사람의 평균 자산은 6억294만원으로 조사됐다. 2022년보다 4.8%(2788만원) 늘어 6억원을 넘어섰다. 하지만 소득 계층별 자산 증가 규모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소득 5구간(상위 20%) 고소득 계층의 자산은 평균 11억6699만원으로 1년 사이 4564만원 늘었지만, 같은 기간 1구간(하위 20%·1억6130만원)과 2구간(하위 20∼40%·3억3391만원)의 자산 증가 폭은 각각 1291만원, 1582만원에 불과했다.

가구 자산 가운데 종류별 비중은 부동산이 79.7%로 가장 크고 금융자산과 기타자산은 각 13.6%, 6.7%를 차지했다. 2022년과 비교해 부동산 비중(80.2→79.7%)은 소폭 줄어든 대신 금융자산(13.5→13.6%)이 늘었다. 부동산만 따로 들여다보면, 가구의 부동산 자산은 평균 4억8035만원으로 전년보다 4.2%(1926만원) 불었다.

열 가구 중 약 여섯 가구(64.8%)는 “부채를 갖고 있다”고 답했다. 다만 2022년(66.8%)보다는 부채 가구 비율이 낮아졌다. 소득 계층별로 부채 가구 비율과 상승폭(전년 대비)은 ▲5구간 71.0%(-5.0%P) ▲4구간 74.9%(-1.1%P) ▲3구간 69.8%(-4.0%P) ▲2구간 60.0%(-4.2%P) ▲1구간 48.4%(+4.4%P)로 조사됐다. 소득 최하위층을 제외한 모든 계층에서 빚을 진 가구의 비중이 축소된 셈이다. 부채를 가진 가구의 평균 부채 잔액은 1억201만원으로 1년 새 7% 줄었다. 하지만 월 부채 상환액은 고금리 영향으로 평균 85만원에서 93만원으로 8만원 늘었다.

‘향후 1년(2024년)의 가계 생활 형편 전망’을 묻자 47.2%는 “2023년과 비슷할 것”이라고 답했고, 30.2%는 나빠질 것으로 우려했다. 형편이 나아질 것으로 예상한 비율은 22.6%에 불과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7242 ‘80억대 전세사기’ 빌라왕 배후 컨설팅업체 대표 징역 8년 확정 랭크뉴스 2024.04.24
17241 가정폭력 50대 분리조치 해제 요구 중 결국 아내 살해 랭크뉴스 2024.04.24
17240 노인 비율 15% 넘어서…셋 중 한 명 “노후 준비 못 했다” 랭크뉴스 2024.04.24
17239 이재명 대표연임 ‘추대’ 군불…원내대표 ‘찐명’ 박찬대로 정리중 랭크뉴스 2024.04.24
17238 [특징주] “땡큐 테슬라” LG엔솔·삼성SDI 등 이차전지株 강세 랭크뉴스 2024.04.24
17237 유일하게 남은 서울대 '소아투석' 교수들도 사직…아픈 아이들 발등에 불 랭크뉴스 2024.04.24
17236 ‘찐친’끼리만 이용한다는 SNS '로켓 위젯', 요즘 뜨는 이유 랭크뉴스 2024.04.24
17235 고금리·개발비 상승에 호텔 재개발 투자 감소… “관광객 수 회복 기대” 랭크뉴스 2024.04.24
17234 “빵이나 파는 게 어디서, 퉤!”…난동부린 ‘빵집 진상’ 랭크뉴스 2024.04.24
17233 "분리조치 해제 안 해?"… 분리조치 어기고 아내 찾아가 살해한 남편 랭크뉴스 2024.04.24
17232 막내딸 꿈 1만원 주고 샀더니 복권 5억 당첨…무슨 꿈이길래 랭크뉴스 2024.04.24
17231 "추미애도 웃네 말 들어…그간 악마화 프레임 갇혔구나 생각" [화제의 당선인] 랭크뉴스 2024.04.24
17230 정부 “지역의료 정상화는 헌법적 책무…의료개혁 흔들림 없다” 랭크뉴스 2024.04.24
17229 첫 신생아 특별공급 ‘성남신촌’ 경쟁률 61.7대 1 랭크뉴스 2024.04.24
17228 [속보] 정부 “지역의료 정상화는 헌법적 책무…의료개혁 흔들림 없다” 랭크뉴스 2024.04.24
17227 "美서만 200억원어치 팔릴것” 1020 입맛 사로잡은 韓과자는 랭크뉴스 2024.04.24
17226 추미애, 정성호 저격 “김건희 특검법 영수회담 의제 되겠느냐는 엉뚱한 말씀해” 랭크뉴스 2024.04.24
17225 정부 “지역의료 정상화는 헌법적 책무…의료개혁 흔들림 없이 추진” 랭크뉴스 2024.04.24
17224 정부 "지역·필수의료 살리기 더 못미뤄…흔들림 없이 의료개혁" 랭크뉴스 2024.04.24
17223 "성관계 놀이하자" 아파트 발칵‥초등생이 여아 성추행 랭크뉴스 2024.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