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가구 월평균 소득·소비 추이. /신한은행 제공

대한민국 보통사람의 월평균 가구 소득은 544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 대비 4.4% 증가한 것이지만, 월평균 소비가 5.7% 늘어 생활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신한은행이 전국 만 20∼64세 경제활동자(근로자·자영업자 등) 1만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23년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 월평균 소득은 544만원으로 집계됐다. 2022년(521만원)보다 4.4%(23만원) 늘었으나 같은 기간 가구 월평균 소비는 261만원에서 276만원으로 5.7%(15만원) 증가했다.

가구 소득에서 지출 항목별 비중은 ▲소비 50.7%(276만원) ▲부채상환 9.9%(54만원) ▲저축·투자 19.3%(105만원) ▲예비자금 20.1%(109만원)로 조사됐다. 소비 중에서는 식비(23.2%)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고 이어 교통·통신비(14.5%), 월세·관리금·공과금(12.7%), 교육비(10.1%), 의료비·건강보조제 구입비(5.1%) 순으로 비중이 컸다.

경제활동자 중 직장인 5000명에게 따로 지난해보다 올해 소비가 더 늘었냐고 묻자 38.7%가 “그렇다”고 답했다. 이들 가운데 96.1%는 소비 증가가 물가 상승과 영향이 있다고 했다.

68.6%의 직장인은 올해 도시락을 싸거나 약속이 없는 날 구내식당을 이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점심값을 줄이려고 노력한 적이 있었다. 더구나 점심값 절약 그룹의 68.3%는 여전히 현재 평균 점심값(6000원)이 비싸다고 인식했고, 22.6%는 5000원까지 더 줄이겠다고 밝혔다.

살림이 팍팍해지자 직장인 5000명 가운데 16.9%는 두 가지 이상의 직업을 가진 이른바 ‘N잡러’였다. 부업을 하는 이유의 61.9%는 생활비와 노후 대비 등 경제적 요소였다. 본업 외 부업의 종류는 20대와 40대의 경우 서비스직(식당·카페·편의점 등)이 가장 흔하고 30대와 50·60대에서는 크리에이터·블로그·유튜버 직종, 과외·강사가 1위를 차지했다.

가구 평균 자산 추이. /신한은행 제공

우리나라 보통사람의 평균 자산은 6억294만원으로 조사됐다. 2022년보다 4.8%(2788만원) 늘어 6억원을 넘어섰다. 하지만 소득 계층별 자산 증가 규모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소득 5구간(상위 20%) 고소득 계층의 자산은 평균 11억6699만원으로 1년 사이 4564만원 늘었지만, 같은 기간 1구간(하위 20%·1억6130만원)과 2구간(하위 20∼40%·3억3391만원)의 자산 증가 폭은 각각 1291만원, 1582만원에 불과했다.

가구 자산 가운데 종류별 비중은 부동산이 79.7%로 가장 크고 금융자산과 기타자산은 각 13.6%, 6.7%를 차지했다. 2022년과 비교해 부동산 비중(80.2→79.7%)은 소폭 줄어든 대신 금융자산(13.5→13.6%)이 늘었다. 부동산만 따로 들여다보면, 가구의 부동산 자산은 평균 4억8035만원으로 전년보다 4.2%(1926만원) 불었다.

열 가구 중 약 여섯 가구(64.8%)는 “부채를 갖고 있다”고 답했다. 다만 2022년(66.8%)보다는 부채 가구 비율이 낮아졌다. 소득 계층별로 부채 가구 비율과 상승폭(전년 대비)은 ▲5구간 71.0%(-5.0%P) ▲4구간 74.9%(-1.1%P) ▲3구간 69.8%(-4.0%P) ▲2구간 60.0%(-4.2%P) ▲1구간 48.4%(+4.4%P)로 조사됐다. 소득 최하위층을 제외한 모든 계층에서 빚을 진 가구의 비중이 축소된 셈이다. 부채를 가진 가구의 평균 부채 잔액은 1억201만원으로 1년 새 7% 줄었다. 하지만 월 부채 상환액은 고금리 영향으로 평균 85만원에서 93만원으로 8만원 늘었다.

‘향후 1년(2024년)의 가계 생활 형편 전망’을 묻자 47.2%는 “2023년과 비슷할 것”이라고 답했고, 30.2%는 나빠질 것으로 우려했다. 형편이 나아질 것으로 예상한 비율은 22.6%에 불과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4283 최장 열흘 ‘골든위크’ 日관광객 한국으로 몰려온다 랭크뉴스 2024.04.17
14282 의협 "대통령, 총선 후 의정대치 언급 안 해…시간 없다" 랭크뉴스 2024.04.17
14281 ‘매화냐, 생리대냐’…中 기차역 디자인 두고 현지 시끌 랭크뉴스 2024.04.17
14280 우연의 일치? 박영선, 총리설 직전 “곧 한국서 뵙겠다” 랭크뉴스 2024.04.17
14279 '6곳서 거부' 김해 60대 심장환자 부산서 숨져…"의료공백 영향" 랭크뉴스 2024.04.17
14278 [단독]국민의힘, 22일 당선자 총회서 새 비대위원장 추인…윤재옥 유력 랭크뉴스 2024.04.17
14277 세계가 마주한 트리플 쇼크...푸틴, 시진핑 그리고 트럼프? 랭크뉴스 2024.04.17
» »»»»» 대한민국 보통사람 月 544만원 벌어… 소득 4.4% 늘 때 소비는 5.7%↑ 랭크뉴스 2024.04.17
14275 "내려!" 아내는 벽돌로 남편 차 내리쳤다…한밤 하노이 무슨일 랭크뉴스 2024.04.17
14274 “알리·테무보다 믿을만”…2000만 이용자 몰린 ‘이곳’ 랭크뉴스 2024.04.17
14273 김건희에게 남은 시간이 많지 않다 랭크뉴스 2024.04.17
14272 "尹, 무참히 사과하는 순간 올 것"‥"개사과 연상" 이틀째 맹폭 랭크뉴스 2024.04.17
14271 여기에도 없다니…서울대병원 산과 전임의 ‘0명’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4.04.17
14270 손흥민 父 “자식과 친구처럼 지내는 부모? 직무유기죠” 랭크뉴스 2024.04.17
14269 해병대 예비역들 “이날만 기다려왔습니다…특검법 수용하십시오”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4.04.17
14268 전남친 폭행에 여대생 숨졌는데… 체포됐던 가해자는 풀려나 랭크뉴스 2024.04.17
14267 손웅정 “부모들, 부·성공 향한 ‘앞바라지’ 너무 많다” 랭크뉴스 2024.04.17
14266 "조국, 청와대 옆 한식집에서‥" 주장했던 보수 유튜버 결국 랭크뉴스 2024.04.17
14265 우리집은 보통가구일까? 월 544만원 벌어야 '보통가구' 랭크뉴스 2024.04.17
14264 교제폭력 12번 신고…치료받던 20살 여성 열흘 만에 사망 랭크뉴스 2024.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