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4일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
이란 대사, 美에 "개입 말라" 경고
이스라엘 대사 "테러단체 지정해야"
美 등 서방은 "추가 확전 막아야"
아미르 사에이드 이라바니 유엔 주재 이란대사. AP연합뉴스

[서울경제]

시리아 주재 이란 영사관을 폭격한 이스라엘에 대한 이란의 보복 공습이 이뤄진 다음 날인 14일(현지 시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긴급회의에서 만난 이란과 이스라엘 대사는 날선 신경전을 이어갔다.

아미르 사에이드 이라바니 유엔 주재 이란대사는 이날 오후 4시 뉴욕 유엔본부에서 긴급 소집된 안보리 회의에서 이란의 이스라엘 공격에 대해 “국제법에 따른 자위권을 행사할 수밖에 없었던 상황”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란은 중동 지역 긴장을 고조시키거나 전쟁을 추구하지 않는다는 일관된 입장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라바니 대사는 이스라엘의 추가 보복 공격에 대해서는 “이란은 국민과 국가 안보, 주권, 영토를 방어하기 위한 단호한 결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단언한다”고 경고했다.

이란 측은 미국과 군사적 충돌을 일으킬 가능성이 없다는 것을 강조하며 이번 사태에 대한 미국과 서방의 개입을 경계했다. 아리바니 대사는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이스라엘) 군사 목표물로 향한 이란의 드론과 미사일을 미군이 요격했음에도 우리는 자제력을 발휘해 평화에 대한 의지를 보였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과 영국은 중동에서 수십 년간 지속된 (이스라엘의) 모든 공격과 다른 범죄, 불법적인 조치에 전적인 책임이 있다”며 “미국이 이란이나 우리 자국민, 우리의 안보와 이익에 반하는 군사 작전을 시작한다면 고유의 대응권을 사용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길라드 에르단 유엔 주재 이스라엘 대사. AP연합뉴스


이스라엘 측은 “오늘 날 이란 정권은 나치 정권과 다를 바가 없다”며 강도 높게 비난했다. 길라드 에르단 유엔 주재 이스라엘 대사는 “아돌프 히틀러의 제3제국이 대륙을 가로지르는 천년제국 건설을 구상한 것처럼 이란의 급진 시아파 정권도 지역을 가로질러 그 너머를 추구한다”며 “이것이 이란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가진 이유”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스라엘의 방공 시스템이 우월한 것으로 증명됐다고 해서 이란의 잔혹한 공격이 바뀌는 것은 아니다”라며 “이란은 더 이상 대리자 뒤에 숨지 말라”고 강조했다. 에르단 대사는 안보리에 대해서도 “이스라엘이나 중동을 위해서가 아니라 세계를 위해서 행동에 나서야 한다”며 “이란의 테러 행위를 비난하고 ‘스냅백 메커니즘(위반 시 제재를 부활)’을 작동한 이란 혁명수비대를 테러 단체로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4일(현지 시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긴급회의. 신화연합뉴스


미국은 이날 이란의 보복 행위를 규탄하면서도 추가 확전은 막아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로버트 우드 유엔 주재미국 차석대사는 “안보리는 명백히 이란의 공격 행위를 비난하고 이란과 이란의 대리자들은 공격을 멈춰야 한다”고 밝혔다. 우드 차석대사는 “미국은 긴장 고조를 추구하지 않으며 우리의 행동은 순전히 방어적이었다”며 “이란의 대리 세력들이 미국이나 이스라엘에 추가로 어떤 행동을 취하면 이에 책임져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반면 바실리 네벤자 유엔 주재 러시아 대사는 미국과 서방에 비판 메시지를 날렸다. 네벤자 대사는 “미국과 영국, 프랑스는 국제법상 외교공관에 대한 불가침 원칙이 모든 나라에 동등하게 적용된다는 점을 상기하는 것조차 거부했다”며 “그에 대한 결과물을 이제 모두가 명확히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상진 유엔 주재 한국 차석대사 역시 당사국들이 확전을 방지하기 위해 자제력을 발휘할 것을 촉구했다. 김 차석대사는 “한국을 포함한 국제사회는 중동 지역에서 커지는 위험한 파급효과 가능성을 지속해서 경고해왔다”며 “중요한 것은 누가 혹은 무엇이 현 상황을 촉발했는지를 두고 손가락질하고 논쟁하기보다 주의를 이완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해결책을 찾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진행 중인 중동 지역의 이미 심각해진 긴장 고조는 즉각 중단돼야 하고 긴장을 고조시키는 행위는 비난받아야 한다”며 “당사자들은 추가적인 파급효과를 막기 위해 최대한의 자제를 발휘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16145 [스트레이트] 총선 후폭풍과 "식물 대통령" - 협치 기로에 선 한국 정치 랭크뉴스 2024.04.21
16144 일본 GDP 독일 이어 인도에 밀려… 내년 세계 5위 랭크뉴스 2024.04.21
16143 尹-韓 갈등골 깊었나…오찬 초대 거절한 이유는 랭크뉴스 2024.04.21
16142 “한국 영화 보고 싶었어요”…베이징영화제서 ‘매진’ 행렬 랭크뉴스 2024.04.21
16141 육아휴직만 보장해도 “아이 낳겠다” 3.6배 랭크뉴스 2024.04.21
16140 박지원 "조국, 이재명보다 정치 오래할듯"…與대표엔 安 추천 왜 랭크뉴스 2024.04.21
16139 기록적 한국 식품 인플레…“고착화 수준은 낮아” 랭크뉴스 2024.04.21
16138 '이 나라' 기세 무섭네… 내년이면 '세계 4위 경제대국' 日 추월 랭크뉴스 2024.04.21
16137 '친중 행보' 시험대…인도양 섬나라 몰디브서 총선(종합) 랭크뉴스 2024.04.21
16136 퇴근하고 밤 9시부터 74살 치매부모 돌봄 시작…휴가제도 있지만 랭크뉴스 2024.04.21
16135 "파묘 보러 비행기 타고 왔어요"‥한한령 속 중국 파묘 전석 매진 랭크뉴스 2024.04.21
16134 이스라엘, 가자지구 라파 공습 재개…18명 숨져 랭크뉴스 2024.04.21
16133 지자체 “불허” 주최 측 “6월 개최”…‘AV 성인 페스티벌’ 불씨 여전 랭크뉴스 2024.04.21
16132 ‘2kg 딸기 케이크’ 대전 성심당이 파리바게뜨 눌렀다 랭크뉴스 2024.04.21
16131 국회, ‘위헌 해소’ 책임 방기…개정 없이 계류 법안 33건 [정치개혁 K 2024] 랭크뉴스 2024.04.21
16130 삶은 여행이다 [양희은의 어떤 날] 랭크뉴스 2024.04.21
16129 한동훈, 윤 대통령 오찬 제안 뿌리쳐…향후 정치생명 의식했나 랭크뉴스 2024.04.21
16128 친일 미화 논란 ‘순종황제 동상’ 철거된다 랭크뉴스 2024.04.21
16127 싱가포르, 유연근무제 확대… ‘주4일제’ 도입 발판 랭크뉴스 2024.04.21
16126 이재명, 당권 재도전 ‘초유의 카드’냐 대선 직행이냐 랭크뉴스 2024.04.21